인공지능 정부

$28.35
SKU
979119305863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1/6 - Fri 01/1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1/1 - Fri 0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12/31
Pages/Weight/Size 173*243*30mm
ISBN 9791193058633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인공지능 정부』는 현재 인공지능 대전환 시대에 대응해 우리 정부도 현재의 디지털 정부를 빠르게 인공지능 정부로의 전환을 준비하기 위한 도움이 되고자 현황 분석 및 미래 비전과 방향성을 제시하는 정책 제안을 담은 책이다.
Contents
제1장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제1절 들어가며
제2절 인공지능 개념 및 유형
1. 인공지능 유형 분류
2. 인공지능 기술 계층
3. 인공지능 기술 종류
제3절 인공지능의 역사: AI 겨울은 또다시 찾아올 것인가?
1. 인공지능의 태동과 첫 번째 AI 겨울
2. AI 황금기와 AI 겨울을 초래한 전문가 시스템의 등장
3. 딥러닝 기술의 등장과 발달
4. 알파고의 등장과 지속되고 있는 AI 열풍
5. 생성형 AI의 혁명을 통해 폭발하고 있는 AI 성장세
6. AI 겨울은 다시 찾아올 것인가?
제4절 인공지능 관련 주목해야 할 키워드
1. 생성형 AI
2. 보편화된 생성형 AI
3. 소버린 AI
4. 신뢰할 만한 인공지능
제5절 나가며

제2장 인공지능 정부의 등장

제1절 전자정부에서 디지털 정부로의 패러다임 변화
1. 전자정부의 등장
2. 디지털 정부의 등장
3. 전자정부와 디지털 정부의 차이점 비교
제2절 디지털 정부에서 인공지능 정부로의 전환
1. 디지털플랫폼정부의 등장
2. 인공지능 정부로의 전환
3. 인공지능 정부란 무엇인가?
제3절 인공지능 정부의 구성 요소들
1. 인공지능 정부의 구성 요소들
2. 인공지능 정부의 구성 요소들(현황)
제4절 인공지능 정부의 주요 적용 업무들
1. 인공지능 정부의 주요 적용 업무들
2. 인공지능 정부의 주요 적용 업무들(현황)
제5절 인공지능 정부 구현의 주요 이슈들
1. 인공지능 정부 구현의 주요 이슈들
2. 인공지능 정부 구현의 주요 이슈들(현황)
제6절 인공지능 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 방안들
1. 인공지능 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 방안들
2. 인공지능 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 방안들(현황)
보론(補論): 세 모녀 사건으로 본 인공지능 정부의 미래 모습
1. 송파구 세 모녀 사건 개요(2014년)
2. 수원시 세 모녀 사건 개요(2022년)
3. 인공지능 정부의 선제적 서비스

제3장 정책과정에서의 인공지능 활용과 이슈

제1절 서론: 정책과정과 인공지능
1. 정책학의 등장과 정책과정
2. 인공지능의 등장과 정책
3. 이 장의 서술 구조
제2절 정책의제설정과 인공지능
1. 정책의제설정의 정의 및 의의
2. 인공지능의 적용
3. 사례
4. 기회 및 우려
제3절 정책형성과 인공지능
1. 정책형성의 정의 및 의의
2. 인공지능의 적용
3. 사례
4. 기회 및 우려
제4절 정책의사결정과 인공지능
1. 정책의사결정의 정의 및 의의
2. 인공지능의 적용
3. 사례
4. 기회 및 우려
제5절 정책집행과 인공지능
1. 정책집행의 정의 및 의의
2. 인공지능의 적용
3. 사례
4. 기회 및 우려
제6절 정책평가와 인공지능
1. 정책평가의 정의 및 의의
2. 인공지능의 적용
3. 사례
4. 기회 및 우려
제7절 생각할 문제들
제8절 결론: 인공지능과 정책의 미래

제4장 국내 공공부문 종사자의 AI 활용과 인식

제1절 공공부문 종사자들이 보는 AI에 대한 기대와 우려
1. AI가 나의 업무를 도울 수 있을까?
2. AI는 인간의 직무를 대체할까, 보완할까?
3. AI는 사회적 문제 해결의 축복일까, 아니면 위협일까?
제2절 공공부문에서의 AI 활용 경험
1. 고객 서비스의 비서: 챗봇
2. 맞춤형 정보 제공을 위한 추천 시스템
3. 반복 업무를 대신하는 RPA
4. 새로운 가능성을 여는 생성형 AI
제3절 공공부문에서 기대되는 AI의 역할과 가능성
1. 행정 효율성 향상
2. 민원 대응의 혁신과 신속성 향상
3. 데이터 분석을 통한 위험 예방 및 사전 대응
4. 사회적 문제 해결과 혁신적인 공공서비스
제4절 공공부문 종사자들이 생각하는 AI 기술의 위험 요소
1. 책임성 및 투명성
2. 개인정보 및 사생활 보호
3. 의사결정 편향과 통제 어려움
제5절 공공부문에서의 AI 활성화를 위한 지원 방안
1. 전문 인력 교육 및 훈련
2. 예산 지원 및 비용 절감 방안
3. 데이터 인프라 개선 및 보안 강화
4. 정책 및 규제 정비
5. 외부 전문가 자문 및 협력

제5장 정부의 인공지능 도입이 정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제1절 서론
제2절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검토
1. 정부혁신과 기술의 도입
2. 정부 성과
3. 정부의 인공지능 도입과 정부 성과
제3절 연구설계
1. 분석 대상 및 방법
2. 변수의 조작화 및 측정
제4절 분석결과
1. 기초통계 분석
2. 정부의 인공지능 도입이 정부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제5절 결론

제6장 지방정부 재난관리 분야 인공지능 활용 현황

제1절 서론
제2절 재난관리의 발달과 인공지능 활용
1. 서론
2. 재난과 재난관리
3. 재난관리와 인공지능
4. 재난 조기경보 시스템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5. 소결
제3절 재난관리 분야 인공지능 활용 사례
제4절 재난관리 분야 인공지능 활용의 미래

제7장 국방 분야의 AI 활용

제1절 AI 현대 전쟁
제2절 국방 AI와 치명적 자율살상 무기체계
제3절 전쟁에 국방 AI는 어떻게 활용되는가?
1. 정보전과 심리전에서의 AI 활용
2. 전투 의사결정에서 국방 AI 활용
3. AI의 전투 수행: AI와 드론의 결합
제4절 대한민국 국방 AI
제5절 국방 AI의 부작용: 디스토피아의 시작인가?
제6절 결론

제8장 인공지능 시대의 정치와 국회

제1절 인공지능과 정치
1. 정보통신기술과 정치
2. 인공지능의 등장과 정치 환경의 변화
제2절 국회의 인공지능 활용
1. 국회의원
2. 입법지원조직
3. 국민청원
4. 유관기관
제3절 유용성과 한계
1. 유용성
2. 한계
제4절 인공지능 국회를 위한 과제
1. 정치 데이터와 소버린 AI
2. 인공지능 모델에 대한 규제
3. 이용자 리터러시
4. 정책의 적응성과 연속성의 조화

제9장 인공지능 시대의 행정학: 역할과 도전 과제

제1절 배경 및 목적
제2절 디지털 융합과 인공지능 활용의 필요성
1. 복잡한 사회 문제와 정부의 난제
2. 디지털 기술의 역할과 한계
3. 인공지능 기술로의 확장과 의미
4. 인공지능 활용의 사례와 효과
5. 인공지능 활용의 도전과 과제
6. 행정학의 새로운 도전과 기회
제3절 기술 변화 속 행정학 전공자의 역할
1. 행정학 지식 학습의 중요성
2. 코딩 지식보다 중요한 인과적 추론의 논리 이해
3. 기술과 정책의 효과적인 결합
4. 교육의 방향성과 필요한 역량
5. 사회과학 고전 문헌의 가치 강조
6. 소결
제4절 공공행정에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알고리즘
1. 빅데이터 활용의 의미와 도전 과제
2. 기존 통계 분석과 빅데이터 분석의 차이점
3.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한 빅데이터 활용의 확장
4. 공공행정에서의 인공지능 활용 사례
5. 인공지능 알고리즘 활용의 도전과 과제
6. 소결
제5절 과학과 행정을 조화시키기 위한 행정학자의 역할
1. 캐플런의 ‘두 집단’ 이론 개요
2. 지식 활용의 두 수준: 도구적 활용과 개념적 활용
3. 두 집단 간 간극 해소를 위한 행정학자의 역할
4. 알백의 연구와 행정학자의 역할
5. 인공지능 시대의 행정학자의 역할
6. 소결
제6절 인공지능 시대 행정학자의 역할 적용: 세종시 공공자전거 사례를 중심으로
1. 사례 배경
2. 캐플런의 ‘두 집단’ 이론과 행정학자의 매개 역할
3. 인공지능과 디지털 트윈 기술의 활용에서 행정학자의 역할
4. 행정학자의 매개 역할이 가져온 성과
5. 인공지능 시대 행정학자의 역할 재조명
제7절 결론

제10장 지능형 정부 구현을 위한 정책 과제와 방안

제1절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디지털 정책
1. 디지털 기술과 인공지능의 의미
2. 인공지능 시대의 디지털 정책 쟁점
제2절 행정에서 인공지능 도입의 의미
1. 인공지능의 도구적 위치와 행정혁신
2. 인공지능 기반 의사결정과 정책결정
3. 공공부문에서의 구체적 변화
제3절 지능형 정부의 구현을 위한 과제와 해소 방안
1. 인공지능 기술과 기술 윤리
2. 인공지능 정책: 진흥과 규제의 균형
3. 정책의 블랙박스와 변화 관리
4. 인공지능의 역기능 관리
5. 경험적 지식의 부족과 지속 관리
제4절 인공지능 시대의 도래와 행정혁신

제11장 인공지능의 명과 암: 인공지능 역기능과 향후 정책 대응 방향

제1절 인공지능의 확산과 일상화 그리고 우려
1. 인공지능의 확산과 우려
2.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
제2절 인공지능 확산에 따른 역기능 사례와 윤리적 이슈
1. 인공지능 역기능 및 부작용 사례
2. 인공지능 윤리적 이슈의 복잡화
제3절 인공지능 역기능을 방지하기 위한 그간의 노력: 인공지능 윤리 정책을 중심으로
1. 국내 인공지능 윤리 정책 동향
2. 국내 인공지능 윤리 가이드라인 동향
3. 국제사회 윤리정책 동향
제4절 인공지능 역기능 대응을 위한 과제

제12장 인공지능 법제

제1절 문제 제기
제2절 인공지능 법제 선행연구 분석
1. 인공지능 관련 주요 법적 쟁점
2. 인공지능에 관한 법제 정비
제3절 국내외 인공지능 법제 현황
1. 국외 인공지능 법제 현황
2. 우리나라 인공지능 법제 현황
제4절 인공지능 법제 정비를 위한 정책 제언
Author
한국행정학회 정부의미래연구회,서울대 지능정보사회 정책연구센터
김동욱(Kim Dongwook) 교수는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와 행정학과 석사를 거쳐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로 부임한 이래로 정책분석평가, 전자정부, 정보통신정책을 가르치고 있다. 2011~2013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장, 2014~2016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 『새 정부조직 설계』(2008, 법문사), 『정부 기능과 조직』(2012, 법문사), 『정보미디어 정책평가와 과제』(2015, 대영문화사), 『스마트 지능정보시대 혁신을 위한 정책』(공저, 2017, 서울경제경영)이 있다.
김동욱(Kim Dongwook) 교수는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학사와 행정학과 석사를 거쳐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정책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4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로 부임한 이래로 정책분석평가, 전자정부, 정보통신정책을 가르치고 있다. 2011~2013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장, 2014~2016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원장을 역임하였다. 주요 저서로 『새 정부조직 설계』(2008, 법문사), 『정부 기능과 조직』(2012, 법문사), 『정보미디어 정책평가와 과제』(2015, 대영문화사), 『스마트 지능정보시대 혁신을 위한 정책』(공저, 2017, 서울경제경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