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판은 기초적 갈등이론을 더 추가했다. 그리고 기존 사례 중에 유사한 사례를 정리하고 최근 부상한 갈등 사례를 더 추가했다.
Contents
제1편 기초적인 협상이론
제1장 조직 간 관계
제1절 조직 간 관계의 기본 인식
제2절 조직 간 협력이론
제3절 조직 간 갈등이론
제2장 갈등관리 개관
제1절 갈등관리 방법
제2절 갈등관리 유형
제3장 협상에 의한 갈등 해결
제1절 협상의 개념
제2절 협상의 유형
1. 승패협상
2. 상생협상
제3절 협상의 기본 요소
1. 이해관계
2. 객관적 기준의 설정
3. 갈등관리: 협상·조정·중재의 개시
4. 프레임 설정 및 전환: 갈등관리를 위한 틀짜기
5. 창조적 대안의 모색
제4절 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1. 협상의 무기
2. 감정의 처리
제5절 협상의 절차관리
1. 협상 준비
2. 협상 수행의 전략과 전술
3. 협상의 교착 상태 해소
4. 협상의 종결
제4장 공공갈등 관리 시스템
제1절 공공갈등 관리제도
1. 공공기관의 갈등 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
2. 공공갈등관리 관련 법률안과 국내 공공갈등 관련 개별 법령·제도 비교
제2절 외국의 공공갈등 관리제도
1. 미국
2. 프랑스
3. 영국
제3절 한국 지자체의 갈등관리 체계
1. 서울시 갈등관리 체계
2. 대구시 갈등관리 체계
제4절 갈등영향분석의 적용
1. 갈등영향분석의 방법
2. 갈등영향분석의 적용과 한계
제5절 숙의민주주의의 적용
1. 숙의민주주의의 개념
2. 숙의민주주의적 공론조사의 유형
3. 숙의민주주의 공론조사 사례
4. 숙의민주주의의 한계와 개선 방향
제5장 조정
제1절 조정의 이해
1. 조정의 개념
2. 조정의 역사
3. 조정의 성격
제2절 조정을 바라보는 네 가지 시각
1. 만족이론
2. 사회정의이론
3. 전환이론
4. 억압이론
제3절 조정의 절차
제4절 우리나라 조정제도
제6장 중재
제1절 중재의 개념
제2절 중재의 절차
제3절 우리나라 중재제도
제4절 조정-중재 및 약식기소
제5절 ADR 방법 선택 시 고려 사항
제7장 갈등 사례 분석모형
제1절 옹호연합모형
1. 옹호연합모형의 개념
2. 옹호연합모형의 기본 전제
3. 옹호연합모형의 구성 요소
제2절 제도분석틀 모형
1. 제도분석틀 모형의 개념
2. 제도분석틀 모형의 구성 요소
제3절 정책 네트워크이론
1. 정책 네트워크이론의 개념
2. 정책 네트워크의 구성 요소
제4절 정책갈등 프레임워크 모형
1. 정책갈등 프레임워크 모형의 개념
2. 정책갈등 프레임워크 모형의 구성 요소
3. 정책갈등 프레임워크 모형의 사례 적용: 대구시 사업장 폐기물 처리방식 갈등 사례
제5절 담론분석
1. 담론분석의 개념
2. 프레이밍과 담론분석
3. 프레이밍의 유형과 기법
4. 공공갈등의 담론분석 사례
제6절 근거이론
1. 근거이론의 개념
2. 근거이론 적용의 유용성과 한계
제8장 협상과 문화: 국제적 시각
제1절 다문화 협상전략의 이해
제2절 다문화 협상을 위한 일반적 규칙
제2편 주요 갈등사례 분석
제9장 갈등사례 분석 개관
제10장 교통갈등 사례 분석
사례 1. 대구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 지정 갈등(관-민 갈등, 2003~2009)
사례 2. 플랫폼 운송사업과 택시산업 간 갈등(민-민 갈등, 2013~2020)
사례 3. 수성구 진달래공원 산책로 정비사업 갈등(민-민 갈등, 2012~2015)
사례 4. 대구시 북구 회전교차로 설치사업 갈등(관-민 갈등, 2010~2011)
사례 5. 구리-포천 고속도로 건설 갈등(관-관 갈등, 2007~2017)
제11장 경제갈등 사례 분석
사례 6. 대구 농수산물도매시장 시설현대화사업 갈등(민-민 갈등 2013~2024)
사례 7. 대구 성서2차산단 열병합발전 건설 갈등(관-민-민 복합 갈등, 2015~2021)
사례 8. 위천국가공단 조성 갈등(관-관 갈등, 1995~1999)
사례 9. 경기도 부천시 햇살가게 노점 갈등(관-민 갈등, 2012~2015)
사례 10. 대구 중구 동성로 노점정비사업 갈등(관-민 갈등, 2007~2009)
사례 11. 부산 구포가축시장 갈등(민-민 갈등, 1950년대 후반~2020)
제12장 수자원갈등 사례 분석
사례 12. 대구 취수원 다변화 갈등(관-관 갈등, 1991~2024)
사례 13. 울산 반구대 암각화 보존 갈등(관-관 갈등, 2000~2021)
사례 14. 한탄강댐 건설 갈등(관-민 갈등, 1995~2009)
제13장 도시계획갈등 사례 분석
사례 15. 제주해군기지 건설 갈등(관-민 복합 갈등, 1993~2018)
사례 16. K-2·대구공항 통합 이전 갈등(관-관-민 갈등, 2007~2024)
사례 17. 대구 동물원 이전 갈등(관-관 갈등, 2011~2024)
사례 18. 서울시 청계천 복원사업 갈등(민-관 갈등, 2007~2015)
사례 19. 장기미집행 도시공원 일몰제 갈등(관-민 갈등, 2016~2020)
제14장 환경갈등 사례 분석
사례 20. 대구 팔공산 구름다리 설치 갈등(관-민 갈등, 2015~2020)
사례 21.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설치 갈등(관-민 갈등, 2001~ )
사례 22. 경기도 하남시 추모공원(광역화장장) 건설 갈등(관-관-민 갈등, 2006~2008)
사례 23. 부천시 추모공원 조성 갈등(관-민 갈등, 2005~2011)
사례 24. 경기도 광명시와 서울 구로구 간의 환경기초시설 설치 갈등(관-관 갈등, 1993~2000)
사례 25. 구미시-칠곡군 가산하수처리장 건설 갈등(관-관 갈등, 2011~2012)
사례 26. 경주 방폐장 부지 선정 갈등(민-관 갈등, 1986~2014)
제15장 의료갈등 사례 분석
사례 27. 한약 조제권을 둘러싼 한약분쟁 갈등(제3자 조정 사례. 민-민 갈등, 1993)
사례 28. 국립서울병원 이전 갈등(제3자 조정 사례. 관-민 갈등, 1989~2010)
사례 29. 제주 녹지국제병원 갈등(관-민 갈등, 2003~2023)
사례 30. 의료사고 분쟁 갈등(민-민 갈등, 2012)
제16장 행정갈등 사례 분석
사례 31. 대구 수성구 민원배심제 운영제도(2000년~ )
사례 32. 청도군-포항시 새마을운동 발상지 갈등(관-관 갈등, 2009)
사례 33. 김천시-구미시 KTX 신역사 명칭 갈등(관-관 갈등, 2003~2010)
사례 34. 달성군과 수성구의 관할구역 경계변경 조정 갈등(관-관 갈등, 2023)
사례 35. 강사법 제정 관련 갈등(관-민 갈등, 2011~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