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관료제를 시민사회와 기업 부문에 대비되는 정부와 행정을 의미합니다. 특히 입법, 행정, 사법을 구성하는 정부 중에서도 행정에서 계층제와 규칙을 바탕으로 하는 관료제의 특징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관료제 및 시민사회에 관한 이론 정리와 함께 궁극적으로 관료제가 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민주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제언이 담겨 있습니다.
Contents
제1부 관료제의 이론과 역사
제1장 관료제의 의미와 시각 그리고 트릴레마
제1절 관료제의 두 얼굴
제2절 관료제의 의미와 변화 그리고 애드호크라시
제3절 관료제와 관료에 대한 시각과 트릴레마
제2장 관료제의 가치와 가치갈등
제1절 관료제의 가치갈등과 트릴레마
제2절 관료제의 다양한 가치
제3절 관료제의 가치갈등과 조화
제4절 능률성과 형평성의 갈등 조정 사례
제5절 합법성과 절차적 합리성의 갈등과 조정 사례
제3장 정부와 관료제
제1절 정부의 필요성
제2절 정부구조론
제3절 한국 정부 관료제의 구조
제4절 정부와 행정의 행위자
제4장 관료제 이론가
제1절 고전 이론가
제2절 베버의 관료제론
제3절 베버의 관료제에 대한 비판
제2부 시민사회의 이론과 역사
제5장 자유주의와 시민사회
제1절 정부의 한계
제2절 자유민주국가의 토대
제3절 시민사회의 의미와 경험
제4절 심의민주주의의 의미와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