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의 길

행정학자들의 이야기
$24.95
SKU
979119305800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4/28
Pages/Weight/Size 173*243*30mm
ISBN 9791193058008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학문의 길』은 오랜 기간 한가지 주제의 연구에 매진을 해 온 행정학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열 명의 학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후학들에게 학문에 대한 진정성과 연구과정 그리고 탐구 과정에의 노력을 엿볼 수 있다.
Contents
■ 무엇을 위한 행정학 방법론인가? : 문제 지향과 지식 성장을 위한 행정학 이론을 중심으로 | 고길곤 |
I. 들어가는 말
II. 방법론의 개념과 연구 영역의 변화
III. 인식론과 계량방법론
IV. 과학의 시대를 위한 방법론에서 소통의 시대를 위한 방법론으로
V. 인과이론을 위한 방법론의 동경과 좌절
VI. 무엇을 위한 방법론이 돼야 하는가?

■ 한국 정부조직 연구의 탐구 | 김근세 |
I. 들어가는 말
II. 왜 국가론의 관점에서 정부조직을 연구하게 됐는가?
III. 연구 성과와 과제
IV. 한국 정부조직의 역사적 분석: 역사적 제도주의 접근
V. 한국 정부조직의 정치적 접근: 파워엘리트 이론

■ 공공봉사동기 연구 | 김상묵 |
I. 들어가는 말
II. 공공봉사동기 연구
III. 연구 과정의 교훈
IV. 연구 과제
V. 나오는 말

■ 지공주의(地公主義): 제 평생의 연구 주제를 소개합니다 | 김윤상 |
I. 나의 학문, 나의 인생
II. 지공주의의 잠재력: 화합과 평화의 초석
부록 1. 한국 휩쓴 팬데믹 부동산 투기를 막을 백신 있다
부록 2. 탄생 100주년 존 롤스의 토지 정의

■ 내부고발 생애연구의 회고 | 박흥식 |
I. 들어가는 말
II. 내부고발 연구의 계기: 현실은 우연이고 필연이다
III. 내부고발 연구
IV. 성과
V. 나오는 말

■ 비교 복지국가 연구: 한국 사례를 토대로 한 ‘작은복지국가론’의 일반화 | 양재진 |
I. 들어가는 말
II. 복지국가이론의 유럽중심주의와 작은 복지국가 연구의 필요성
III. 작은 복지국가 연구의 태동과 발전
IV. 나오는 말

■ 한국 지방자치 이론의 구축을 향해서: 생애연구의 시작과 끝 | 유재원 |
I. 들어가는 말: 좋은 질문을 찾아 나선 연구 여정
II. 지방자치 제도 선택에 대한 정치적 분석: 지방자치는 정치적 과정이다
III. 분권은 선인가?: 분권지상주의와 분권만능주의의 환상에서 깨어나라
IV. 자치정부는 얼마나 자율적이며, 얼마나 지방 시민사회에 반응적인가?: 법적 및 정치적으로 집권적인 중앙-지방 간 관계; 정치공동체가 아니라 문화공동체로서 지방 시민사회
V. 지방정치의 구조와 과정에 대한 이론화 작업과 단체장주의
Ⅵ. 지방서비스 공급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구조적인 제약은 무엇인가?: 지역 간 경쟁이 약하고 재정의존도가 높은 지방정부 체제
Ⅶ. 지방 거버넌스 연구와 계층제 건재론
Ⅷ. 생애연구로부터 도출된 한국 지방자치의 특색: 제약돼 있지만 한계 없는 도시

■ 한국 정부관료제 연구: ‘공직’ 개념의 재발견 | 윤견수 |
I. 들어가는 말
II. 왜 관료제 연구인가?
III. 관료제 연구의 분석 단위: 공직
IV. 공직 체계의 분류와 관료제의 유형
V. 공직의 정체성 변화: 관료제와 정치
VI. 공직 수행의 원형: 개발연대 관료제
VII. 앞으로의 관료제 연구: 고위공직제
VIII. 나오는 말

■ 공공성: 행정학의 핵심이자 사회적 삶의 지표 | 임의영 |
Ⅰ. 들어가는 말
II. 만남
III. 열매
IV. 계획
V. 나오는 말

■ 그리움의 행정학: 공자와 한국 행정 연구 | 정성호 |
I. 들어가는 말: 우연과 필연, 그리고 그리움
II. 나의 그리움: 민주화, 공공화, 주체화 그리고 변화
III. 나오는 말: 학문적 그리움 키우기/죽이기
Author
한국행정학회 생애연구성과 공유·확산 위원회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를 나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를 거쳐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정책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정치학과에서 교수 생활을 하였고, 2015년에는 초빙교수로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서 연구년을 보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정치·행정 시스템 내면에 숨어 있는 역사적·사회적·경제적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해오고 있다. 2011년부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의 편집장을 비롯하여 각종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다수의 책과 논문을 써왔다.

Kilkon Ko is a professor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He is also a director of the Asia Regional Information Center, SNUAC, and is the editor-in-chief of the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He is specialized in data analytics, program evaluation, policy analysis, and corruption. He has published numerous books and articles including “Mediation & Moderation Effect”,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capacity in Korea: contemporary trends and lessons”, and “Estimation of Impact of Comprehensive Tests of the COVID-19 in South Korea”.
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를 나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를 거쳐 미국 피츠버그 대학교에서 정책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정치학과에서 교수 생활을 하였고, 2015년에는 초빙교수로 싱가포르 국립대학교에서 연구년을 보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의 정치·행정 시스템 내면에 숨어 있는 역사적·사회적·경제적 문제에 대한 고민을 해오고 있다. 2011년부터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이며,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의 편집장을 비롯하여 각종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다수의 책과 논문을 써왔다.

Kilkon Ko is a professor of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 He is also a director of the Asia Regional Information Center, SNUAC, and is the editor-in-chief of the Asi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He is specialized in data analytics, program evaluation, policy analysis, and corruption. He has published numerous books and articles including “Mediation & Moderation Effect”, “The change of administrative capacity in Korea: contemporary trends and lessons”, and “Estimation of Impact of Comprehensive Tests of the COVID-19 in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