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삼가해 강설을 논강하다

$29.16
SKU
9791192476834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1/27
Pages/Weight/Size 152*225*25mm
ISBN 9791192476834
Categories 종교 > 불교
Description
『금강경』의 심오한 가르침,
현대의 언어와 의미로 다시 태어나다!
『금강경』, 누구나 읽어 보아야 할 단 한 권의 불교 경전
『금강경』의 심오한 가르침을 명쾌하게 해설하다


『금강경』은 대승불교와 한국선불교에서 가장 중요하고 또 가장 널리 알려진 경전 가운데 하나이다. 불교에 특별한 관심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이라도 어디선가는 들어 봤을 공(空), 보살(菩薩),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 같은 개념들이 바로 『금강경』에서 다루어진다. “응당히 머문 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應無所住 而生其心)”와 같은 유명한 구절도 이 경전에 나온다. 하지만 『금강경』의 가르침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금강경』이 펼쳐 보이는 공(空)의 세계는 우리의 일상적인 분별과 언어로는 파악하기도 그려내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한량없고 셀 수 없고 가없는 중생을 멸도하되 실로는 멸도를 얻은 중생이 없느니라”와 같이 일견 모순되어 보이는 가르침에서 우리가 느끼는 혼란도 『금강경』이 갖는 이러한 성격에서 비롯된다.

그래서 예로부터 수많은 선지식들이 『금강경』에 대한 해석을 남겨왔다. 『금강경』에 대한 대표적인 해석서로는 『금강경오가해』가 단연 손꼽힌다. 『금강경오가해』는 『금강경』에 대한 부대사(傅大士)의 찬(贊), 육조(六祖)의 구결(口訣), 규봉(圭峯)의 찬요(纂要), 야부(冶父)의 송(頌), 종경(宗鏡)의 제강(提綱)을 모은 것이다. 『금강경삼가해』는 이 『금강경오가해』 가운데 육조와 야부와 종경의 글을 뽑고, 거기에 조선 초기의 고승인 함허(涵虛)의 설의(說誼)를 더하여 엮은 책이다.

수행의 첫 단계는 무엇보다도 바른 안목을 갖추는 것이며, 바른 안목이 서게 되면 반드시 체험하여 견성할 수 있다. 무각 스님을 비롯하여 원철 스님, 성진 스님 등 불교계의 중진스님들이 참여하는 한국선불교연구회는 『금강경』을 함께 참구하며 그 바른 면목을 찾아내고자 했다. 먼저 『금강경삼가해』에 대한 무각 스님의 강설이 일 년이 넘게 진행되었고, 이 강설 내용은 여러 차례에 걸친 한국선불교연구회 워크숍에서 되새겨지고 또 되새겨졌다. 이 과정을 통해 『금강경』의 한 구절 한 구절, 『금강경』에 대한 선지식들의 해석 한 마디 한 마디에 담긴 깊은 의미가 선불교의 관점에서 현대적인 언어와 의미로 풀어내어졌다. 이 책 『금강경삼가해 강설을 논강하다』는 『금강경삼가해』와 함께한 이 치열한 여정의 결과물을 모아서 정리한 것이다. 너무도 심오하기에 선뜻 이해되기 어려운 『금강경』의 가르침이, 수행의 첫 단계가 되어야 할 ‘바른 면목’이 비로소 이 책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와 닿는 생생한 가르침으로 다시 태어났다. 이 책은 『금강경』이 품고 있는 빛나는 금강의 세계, 주관과 객관에 대한 분별적 집착에서 벗어난 대자유의 세계로 가는 길을 여실하게 펼쳐 보인다.
Contents
서문

제1 법회인유분 法會因由分

법회가 열린 인연
믿음의 성취
나는 누구인가?
듣는다는 것에 대하여
진리가 하나라는 데 대하여
시간에 대하여
부처란 무엇인가?
존재란?
여래의 법공양

제2 선현기청분 善現起請分

수보리가 법을 청하다
우리 마음 가운데 선남자 선여인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

제3 대승정종분 大乘正宗分

내 마음 안의 구류중생
무여열반, 완전한 깨달음

제4 묘행무주분 妙行無住分

머무름이 없는 마음이 부처의 마음
허공 같은 마음

제5 여리실견분 如理實見分

몸의 형상 아닌 형상을 보라
부처는 찾는 그 마음속에 있다

제6 정신희유분 正信希有分

청정한 한생각이 바른 믿음이다
선근을 심었다는 뜻
부처님의 마음과 내 마음이 둘이 아닌 까닭에 다 알고 다 본다
법상과 비법상
법과 비법이 둘이 아니다

제7 무득무설분 無得無說分

무유정법 아뇩다라삼먁삼보리
무위법으로 차별을 두다

제8 의법출생분 依法出生分

복덕과 복덕성에 대하여
이 경의 출처

제9 일상무상분 一相無相分

수다원
사다함
아나함
아라한

제10 장엄정토분 莊嚴淨土分

얻을 바 없음이 참으로 얻음이다
머문 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

제11 무위복승분 無爲福勝分

무위의 복이 유위의 복보다 수승함

제12 존중정교분 尊重正敎分

바른 가르침을 존중하라

제13 여법수지분 如法受持分

금강반야바라밀
이름하여 32청정행

제14 이상적멸분 離相寂滅分

희유한 공덕을 성취한 사람
일체상을 떠난 것이 곧 일체제불
제일바라밀이란 머무는 바 없는 마음이다
무엇이 바르게 머무는 것인가
자성은 본래 무실 무허이다
Author
무각,한국선불교연구회
고우, 무비, 지안, 통광, 설우, 혜거 스님 등이 참여한 ‘경전연구회’를 10년 넘게 이끌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부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공생선원 선원장으로이다. 무각스님은 승가사 상륜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으며 무문관 등 제방선원에서 안거를 성만하였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상담심리 박사를 수료하고, 동 대학원 선학과에서 환성지안선사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득하였다. 동국대학교와 제방선원 등에서 ‘종횡무진 화엄경 강설과 선치료 법회’를 개설하였으며 BBS불교방송에서 ‘선어록 강설’을 펼치고 있으며 현재 속리산 청운사 여여선원장으로 정진하고 있다.

펴낸 저서로 『임제록』, 『돈오입도요문론』, 『선문촬요』, 『선요』, 『선가귀감』 등의 선어록과 『금강경오가해』, 『화엄경』, 『능엄경』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그대 삶이 경전이다』와 『선은 이론이 아니라 체험이다』가 있다.
고우, 무비, 지안, 통광, 설우, 혜거 스님 등이 참여한 ‘경전연구회’를 10년 넘게 이끌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포교부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공생선원 선원장으로이다. 무각스님은 승가사 상륜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였으며 무문관 등 제방선원에서 안거를 성만하였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에서 상담심리 박사를 수료하고, 동 대학원 선학과에서 환성지안선사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득하였다. 동국대학교와 제방선원 등에서 ‘종횡무진 화엄경 강설과 선치료 법회’를 개설하였으며 BBS불교방송에서 ‘선어록 강설’을 펼치고 있으며 현재 속리산 청운사 여여선원장으로 정진하고 있다.

펴낸 저서로 『임제록』, 『돈오입도요문론』, 『선문촬요』, 『선요』, 『선가귀감』 등의 선어록과 『금강경오가해』, 『화엄경』, 『능엄경』 등을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그대 삶이 경전이다』와 『선은 이론이 아니라 체험이다』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