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7세는 초등 적응을 넘어 성인에 이르는
삶의 기본기를 만들어 줘야 할 황금기!”
20년 아동심리상담 전문가가 전하는
초등학교 가기 전, 꼭 알아야 할 5~7세의 모든 것
★ 30만 부모의 초등교육멘토 이은경 선생님 추천!
5~7세는 아이의 자율성과 사회성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시기이다. 이제 막 유아기를 지나 초등 입학을 앞둔 이 시기에 아이는 독립심을 키우고, 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감을 쌓으며 세상과 본격적인 첫걸음을 내딛는다. 하지만 이 시기의 부모는 넘쳐나는 육아 정보 속에서 ‘무엇이 맞는지, 어떻게 해야 내 아이에게 가장 좋은지’를 고민하면서 더 큰 혼란과 불안을 겪기도 한다.
이 책은 그런 부모들을 위한 따뜻하고 현실적인 육아 안내서다. 아이의 기질과 발달 단계를 이해하는 법, 아들·딸 육아의 차이, 학습보다 관계가 중요한 이유부터 초등 입학을 준비하는 생활 습관과 스마트폰 예절까지 폭넓은 내용을 담았다. 특히 부모들이 자주 겪는 육아 고민을 Q&A 형식으로 풀어내어, 당장 실천할 수 있는 팁과 위로를 함께 전한다.
정보보다 중요한 건 방향이다. 육아의 정답을 찾기보다 내 아이와 나의 삶에 맞는 길을 찾도록 도와주는 이 책은, 흔들리지 않고 중심을 지키며 아이를 키우고 싶은 모든 부모에게 꼭 필요한 길잡이가 되어줄 것이다.
Contents
추천의 글
프롤로그
PART 1. 5~7세 아이의 부모라면
찾아라, 우리 아이 애착 코드
육아의 2가지 포인트
아들 육아 VS. 딸 육아
부모와 함께 있고 싶은 아이들
5세는 학습보다 관계가 우선이다
육아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이론
혼자 할 수 있는 것이 많은 5~6세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는 시기, 7세
아날로그의 긍정적인 힘
PART 2. 육아 정보에 휘둘리지 않으려면
육아 정보의 홍수 시대
정보가 과도해서 오는 불안 해결법
육아서를 고르는 기준
집 안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을 주자
삶의 기본은 부모가 가르쳐야 한다
5~7세 부모가 꼭 갖추어야 할 것
미취학 시기에 중요한 3가지
PART 3. 초등 입학 전 챙겨야 할 것들
초등 입학 전 ‘관계’가 전부다
반복적인 일상을 스스로 살아내는 힘
5~7세, ‘좋은 아침’을 만들어야 할 시기
스마트폰은 사용 예절을 가르친다
아이들에게는 바깥 놀이가 필요하다
엄마표 학습을 하기 전에
내 아이가 느린 기질을 가지고 있다면
PART 4. 5~7세 우리 아이 육아 상담소
첫째가 다시 어린애가 되었어요
우리 아이에게 맞는 훈육법을 알려주세요
아이와 어떻게 놀아줘야 할지 모르겠어요
좋은 아빠가 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아이들을 공평하게 대하는 게 힘들어요
몇 살부터 따로 재울 수 있나요?
영상이 없으면 밥을 먹지 않아요
화 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화가 나요
아이랑 무슨 대화를 해야 할지 모르겠어요
먹이는 것 때문에 식사 때마다 전쟁이에요
쌍둥이라 남들보다 육아 고민도 2배로 해요
Author
김지혜
20년 차 아동심리상담 전문가로 석사과정에서 아동심리치료를 전공했고, 박사과정에서 심리재활학(놀이치료)으로 학위를 받았다. 현재 지음 아동심리상담센터를 운영하며 영유아부터 청소년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을 상담하고, 부모들의 육아 고민에 도움을 주고 있다. 20년간 상담 현장에서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불안한 부모를 많이 만났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5~7세 육아 방법의 필요성을 느껴 『관계 육아』를 집필하게 되었다. 미취학기 자녀를 둔 부모의 걱정과 불안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부모의 삶을 응원한다. 훨씬 좋아지는 사례를 보며 큰 보람을 느끼고 또 다른 부모를 만날 수 있는 힘을 얻는다. 현재는 상담대학원에 출강하고 있고, 부모 교육 강사로 활동한다. 육아와 관련된 유튜브 <지음TV> 운영과 브런치 작가로 육아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발행하고 있다.
20년 차 아동심리상담 전문가로 석사과정에서 아동심리치료를 전공했고, 박사과정에서 심리재활학(놀이치료)으로 학위를 받았다. 현재 지음 아동심리상담센터를 운영하며 영유아부터 청소년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을 상담하고, 부모들의 육아 고민에 도움을 주고 있다. 20년간 상담 현장에서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불안한 부모를 많이 만났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5~7세 육아 방법의 필요성을 느껴 『관계 육아』를 집필하게 되었다. 미취학기 자녀를 둔 부모의 걱정과 불안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부모의 삶을 응원한다. 훨씬 좋아지는 사례를 보며 큰 보람을 느끼고 또 다른 부모를 만날 수 있는 힘을 얻는다. 현재는 상담대학원에 출강하고 있고, 부모 교육 강사로 활동한다. 육아와 관련된 유튜브 <지음TV> 운영과 브런치 작가로 육아에 도움이 되는 콘텐츠를 발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