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렌 키르케고르 입문: 주관성, 아이러니, 현대성의 위기』는 덴마크의 유명한 종교 작가인 키르케고르의 삶과 작품을 살펴봅니다. 키르케고르는 코펜하겐 거리를 거닐던 시절부터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도발하고, 매료시키고, 짜증을 유발한 독특한 인물입니다. 키르케고르는 생애 말년에 자기 작품에 대한 유일한 모델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뿐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책은 이 말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습니다. 존 스튜어트는 키르케고르에게 이 말이 무엇을 의미했는지 탐구하고 그의 글쓰기와 논증 전략의 다양한 측면이 어떻게 소크라테스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 스튜어트는 초기 저작임에도 불구하고 키르케고르의 후기 발전과 저술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아이러니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 책이 『이것이나 저것이냐』와 『두려움과 떨림』과 같은 그의 유명한 이후의 저서들에 등장하는 많은 내용에 대한 토대를 마련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덴마크 사상가 쇠렌 키르케고르에 대한 입문서로 여러 책들이 있으며, 키르케고르 사상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그의 사상을 소개하는 방법 또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각 입문서는 고유한 강점과 약점을 가집니다. 이 책에 사용한 접근 방식에 분명한 강점이 있지만, 이것 역시 많은 방식 중 하나의 접근 방식일 뿐입니다. 이 책은 키르케고르의 복잡한 사상이나 저술에 대해, 포괄적이거나 혹은 특별히 대표적인 개요를 독자 여러분에게 제공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로부터 비롯된 키르케고르 사상의 한 올을 잡아, 그것을 발전시키는 것이 본서의 전략입니다. 이 올이야말로, 키르케고르가 가졌던 동기와 방법, 그의 글쓰기 스타일을 우리가 잘 이해하도록 매우 중요한 설명을 해 주는, 가장 핵심적인 가닥입니다.
2.1. 마르텐센과 1830년대의 코펜하겐 대학 57
2.2. 헤겔 소개 63
2.3. 서양 문화사에서 소크라테스에 대한 헤겔의 이해 65
2.4. 살고 죽기 위한 진리(A Truth for Which to Live and Die) 68
2.5. 소크라테스의 방법과 아이러니에 대한 헤겔의 관점 70
2.6. 헤겔의 소크라테스 마이유틱스와 아포리아 해석 73
2.7. 소크라테스, 선, 소피스트에 대한 헤겔의 해석 76
2.8. 소크라테스의 다이몬에 대한 헤겔의 해석 79
2.9. 소크라테스의 재판에 대한 헤겔의 분석 81
2.10. 전통과 개인적 자유의 충돌 84
3. 소크라테스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관점 87
3.1. 소크라테스의 다이몬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관점 88
3.2. 마르텐센의 파우스트 90
3.3. 소크라테스의 재판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분석 93
3.4. 의심 그리고 『옛 비누 저장고와 새 저장고 간의 갈등』 96
3.5. 키르케고르의 요하네스 클리마쿠스, 혹은 De omnibus dubitandum est 99
3.6. 소피스트 그리고 소크라테스의 유산 102
3.7. 소크라테스와 그리스도 106
3.8. 안드레아스 프레데릭 벡과 『아이러니의 개념』에 대한 첫 번째 비평 107
3.9. 양날의 검으로서의 지식 110
4. 키르케고르, 하이버그 그리고 역사 115
4.1. 키르케고르의 『아이러니의 개념』 2부 서론 117
4.2. 독일의 낭만주의 119
4.3. 키르케고르의 ‘방향을 위한 관찰’ 121
4.4. 요한 루드비그 하이버그의 『현시대 철학의 의의에 대하여』 124
4.5. 키르케고르의 “아이러니의 세계사적 타당성” 128
4.6. 소크라테스의 아이러니와 낭만주의 아이러니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헤겔 비판 131
4.7. 역사와 소크라테스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헤겔 비판 134
4.8. 개성을 위한 현대의 분투 139
5. 키르케고르와 낭만주의적 주관주의 143
5.1. 피히테 소개 145
5.2. 피히테에 대한 헤겔과 키르케고르의 분석 147
5.3. 슐레겔과 티크의 피히테 이론의 자기화(appropriation)151
5.4. 키르케고르의 슐레겔 분석 155
5.5. 키르케고르와 폴 마틴 뮐러 159
5.6. 통제된 아이러니에 대한 키르케고르의 생각 161
5.7. 키르케고르의 논문심사와 이 작품의 수용 165
5.8. 키르케고르와 레기네 올센 167
5.9. 자기 자신을 창조하는 것에 대한 현대의 문제 170
6. 키르케고르의 소크라테스적 과제 개념과 저술의 시작: 1843년 175
6.1. 키르케고르의 베를린 체류 176
6.2. 매개에 대한 논쟁 그리고 『이것이냐 저것이냐』의 개념 179
6.3. 낭만적 아이러니스트로서의 미학자 A: 디아프살마타(Diapsalmata) 182
6.4. 『이것이냐 저것이냐』에 대한 즉각적 반응 188
6.5. 키르케고르의 다음 작품들 190
6.6. 보편적 개인과 단독자 192
6.7. 믿음의 역설(paradox) 195
6.8. 법과 양심의 현대적 충돌 197
7. 키르케고르의 소크라테스적 과제 그리고 가명 저작의 발전, 1844-6년 201
7.1. 키르케고르의 『철학의 부스러기』 202
7.2. 키르케고르의 『불안의 개념』 205
7.3. 키르케고르의 『서문』과 요한 루드비히 하이버그와의 논쟁 209
7.4. 키르케고르의 『인생길의 여러 단계』 213
7.5. 잡지 『코르사르』와의 갈등 216
7.6. 키르케고르의 『결론의 비학문적 후서』 소개 222
7.7. 키르케고르의 “부스러기 속에 있는 문제” 225
7.8. 키르케고르의 “처음이자 마지막 설명” 228
7.9. 병행 저작 232
7.10. 일기와 노트북 235
7.11. 주관적 진리로서의 소크라테스와 기독교 238
8. 키르케고르의 소크라테스적 과제와 후반부 저술: 1846-55년 243
8.1. 키르케고르의 사회관과 국왕 크리스티안 8세와의 관계 243
8.2. 『다양한 정신을 위한 건덕적 강화』와 『사랑의 역사』에 나타난 소크라테스 247
8.3. 키르케고르의 『관점』 251
8.4. 1848년 혁명과 『죽음에 이르는 병』 253
8.5. 키르케고르의 『기독교의 실천』 256
8.6. 덴마크 국교회에 대한 공격 260
8.7. 『순간』 마지막 호 262
8.8. 키르케고르의 질병과 죽음 266
8.9. 키르케고르의 장례와 매장 267
8.10. 키르케고르의 유산 271
8.11. 기독교인의 자기화(Appropriation) 274
참고 자료 _279
색 인 _291
Author
존 스튜어트,이창우,최정인
키르케고르와 헤겔의 사유를 중심으로 19세기 대륙 철학을 전공한 철학자이자 철학사가. 코펜하겐 대학의 쇠렌 키르케고르 연구센터 부교수로서 키르케고르 연구 총서의 편집 책임을 맡았으며, 현재는 슬로바키아 과학원의 철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헤겔 정신현상학의 통일성: 체계적 해석≫, ≪키르케고르의 재고된 헤겔과의 관계≫, ≪관념론과 실존주의: 헤겔과 19?20세기 유럽철학≫, ≪철학서들에서 내용과 형식의 통일: 정합성의 위기≫ 등이 있다.
키르케고르와 헤겔의 사유를 중심으로 19세기 대륙 철학을 전공한 철학자이자 철학사가. 코펜하겐 대학의 쇠렌 키르케고르 연구센터 부교수로서 키르케고르 연구 총서의 편집 책임을 맡았으며, 현재는 슬로바키아 과학원의 철학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헤겔 정신현상학의 통일성: 체계적 해석≫, ≪키르케고르의 재고된 헤겔과의 관계≫, ≪관념론과 실존주의: 헤겔과 19?20세기 유럽철학≫, ≪철학서들에서 내용과 형식의 통일: 정합성의 위기≫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