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사회 변화의 동력, 장마당 세대

$30.24
SKU
9791192292137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31 - Thu 06/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28 - Thu 05/3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6/21
Pages/Weight/Size 152*225*35mm
ISBN 9791192292137
Categories 사회 정치 > 정치/외교
Description
우리는 오늘 현재 통일의 중심에 서 있다. 통일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 이대로가 좋다는 현실 안주의 자세, 불가능하다는 비관적인 시각,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일의 시간은 다가오고 있다. 현 세기에 한반도의 통일과 한민족의 통합은 반드시 이루어진다고 확신한다. 나누어진 것은 합해지고 합해진 것은 나누어지는 것이 역사의 흐름이고 역사를 주관하시는 자의 뜻이기 때문이다. 이 책은 통일이 가까운 날에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믿음으로 탈북청년, 특히 장마당 세대를 통한 통일의 이야기이다. 탈북민은 한국 사회에서 가장 이질적인 집단이면서도 우리 사회가 함께하고 포용해야 할 존재들이다. 이들의 존재는 남북의 분단의 증거임과 동시에 남과 북의 거리를 극복할 수 있는 잠재적 자원이라는 특수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그들 중 특히 탈북청년은 체제의 반대편에서 가난과 억압, 절망의 삶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어린 나이에 탈북하여 한국 사회에 정착하였다. 작게는 새로운 존재자의 삶을 살아가는 그들의 아픔을 함께하는 사회적인 공존, 크게는 한반도 통일의 길잡이, 협력자로서의 그들의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이야기이자, 북한 사회 변화의 동력인 장마당 세대에 관한 이야기이다.
Contents
책을 내면서 _ 4

제1부 통일의 길목에서 ― 17

제1장 통일의 걸림돌 _ 19
제2장 연구방법 _ 28
제3장 연구대상 _ 44

제2부 통일담론과 탈북민 ― 63

제1장 한반도 통일과 국제 질서 _ 65
1.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과 지 전략 _ 65
2. 한반도의 비핵화와 동북아 평화 질서 _ 71
제2장 통일 패러다임의 전환 _ 74
1. 새로운 통일 패러다임의 정립 _ 74
2. 정치, 경제적 통일담론 _ 78
3. 인문학적 통일담론 _ 83
제3장 통일의 시금석, 탈북민 _ 104
제3부 장마당 세대의 탄생 ― 109
제1장 북한의 장마당 세대란? _ 111
제2장 장마당 세대 탄생 배경 _ 119
1. 역사적 배경 _ 119
2. 북한의 경제 사회적 배경 _ 122

제3장 장마당 세대, 탈북청년의 가치관 변화 _ 130

제4부 장마당 세대 탈북청년의 트라우마 양상 ― 139

제1장 김정은 시대 탈북 양상의 변화 _ 141
1. 탈북의 사회구조적 배경 _ 141
2. 새로운 탈북 유형 출현 _ 147
3. 탈북청년들의 개별적 탈 북 동기 _ 154
4. 장마당 세대 탈북청년의 특징 _ 166
제2장 탈북 트라우마 요인 _ 170
1. 탈북 트라우마 관점의 재정립 _ 170
2. 탈북 전 북한에서의 트라우마 요인 _ 176
3. 탈북 노정에서의 트라우마 요인 _ 184
4. 중국 체류 과정에서의 트라우마 요인 _ 196
5. 국내 정착 과정에서의 트라우마 요인 _ 208
제3장 탈북 트라우마와 정체성 변화의 관계 _ 220

제5부 탈북청년의 정체성 변화 양상 ― 227

제1장 정체성의 개념과 유형 _ 229
제2장 개인적 성격의 정체성 _ 236
1. 인정 욕구 실현의 new-being 정체성 _ 238
2. 인신매매의 기억 탈출의 new-bein 정체성 _ 240
3. 가난의 탈출의 new-bein 정체성 _ 242
4. 불가능한 꿈 실현의 new-bein 정체성 _ 244
제3장 집단적 성격의 정체성 _ 246
1. 이중 정체성 _ 246
2. 이방인 정체성 _ 263
3. 가족 정체성 _ 277
제4장 탈북청년의 정체성과 사회적 갈등 _ 287

제6부 탈북 상처의 치유와 공존 ― 291

제1장 김정은 시대 탈북청년의 사회적 갈등 특징 _ 293
1. 탈북민 세대에 따른 사회적 갈등의 차이 _ 293
2. 정서적 갈등 _ 299
3. 경제적 갈등 _ 309
제2장 치유와 공존의 방안 _ 316
1. 남한 사회 속 탈북민의 치유와 공존 _ 317
2. 분단체제 속 남북한 주민의 치유와 공존 _ 333

제7부 장마당 세대와 북한 사회 변화의 가능성 ― 353

제1장 북한 사회 변화의 동력, 장마당 세대 _ 355
제2장 장마당 세대에 의한 북한 사회 변화의 전망 _ 359

제8부 김정은 시대 탈북청년의 구술 자료 ― 369

제1장 구술조사 계획 _ 372
제2장 주제별 구술 내용 _ 375
제3장 개인별 탈북 생애사 _ 478
참고문헌 _ 537
Author
김기연
부산대학교 경제과 졸업/ 부산대 행정대학원 졸업(석사)/ 공군장교 전역 / 한국도로공사 퇴임 / 2021년 통일인문학 박사 학위 취득(건국대학교)/ 탈북청년 사역(2017-2023, 6월 현재)
부산대학교 경제과 졸업/ 부산대 행정대학원 졸업(석사)/ 공군장교 전역 / 한국도로공사 퇴임 / 2021년 통일인문학 박사 학위 취득(건국대학교)/ 탈북청년 사역(2017-2023, 6월 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