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를 읽는 법

$21.60
SKU
979119216937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5/27
Pages/Weight/Size 140*210*17mm
ISBN 9791192169378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개념의 이해와 역사의 매력

『역사를 읽는 법』은 다른 색깔로 비칠 수 있는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하나는 역사의 매력을 알려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역사 용어와 개념을 보다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전하는 것이다. 정보의 암기에서 벗어나 다양한 사료를 통해 낯선 과거와 만나고 소통한다면, 과거를 통해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바라본다면, 두 가지 과제가 결코 다른 길 위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개념을 분명히 한다는 것은 개념을 자신의 언어와 표현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뜻이다. 과거 인간의 삶 속에 투영된 낯선 언어와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줄곧 질문을 던진다.

광주교대에서 예비 교사들에게 역사를 가르치는 저자는 학생들과의 수업에서 “고조선의 영토를 그려보라”는 질문을 던지고, “국경은 무엇인가?” “근대적 국가 개념에 입각한 영토 개념을 고조선의 역사에 적용할 수 있는가?”라며 질문을 이어간다. 질문은 책 곳곳에서 등장한다.
“역사학에서는 ‘다시는 돌아올 수 없다.’는 ‘불가역성’에 관한 논의가 있다. 그렇다면 20세기 초반의 ‘파시즘’은, ‘홀로코스트’는 다시 되풀이되지 않을까?”
“5. 18의 원인은 5. 17일까, 12. 12일까? 혹은 10. 26일까? 아니면 1970년대 박정희의 유신 독재일까?” “김재규가 박정희를 죽이지 않았다면, 전두환의 쿠데타와 5. 18은 없었을까?”

이러한 ‘역사적 가정historical if’ ‘역사 추체험’을 통해 인물과 사건, 시대를 좀 더 풍부하게 읽어내자고 제안한다. 즉, 역사적 상상력을 통해 시대를 읽어내며 ‘역사적 사건의 원인과 결과’ ‘우연과 필연의 관계’ 등을 되짚어, 개념을 단단하게 자신의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Contents
1장 기원과 시간성

기원에 관한 호기심 / 과거 시간의 재조명 / 과거의 새로운 해석 / 역사의 ‘불가역성’
시대착오와 시간 지체

2장 시대적 맥락

시대착오성과 영토 민족주의 / 전통시대와 시대 읽기 / 근현대와 시대 읽기
시간적 감각과 맥락 읽기 / 가치와 교환가치의 맥락 읽기
문학으로 공간과 시간을 깊게 읽기 / 정치적 선택과 맥락

3장 시기를 나눈다는 것

공동체의 시간과 개인의 시간 / 사관과 시기 구분 / 근대와 시간의 압축
일제강점기와 전시체제기 / 분단시대와 전환시대 / 세대론과 시대 공존

4장 사료의 선택

사료와 역사적 상상력 / 문학작품과 그림의 해석 / 사진 자료의 해석
감추어진 이미지와 자료

5장 사료의 활용

익숙한 사료와 낯선 사료 / 사료의 범위와 선택 / 이미지의 활용 / 원전의 번역과 윤문
개념의 번역과 해석 / 문헌의 변천 과정 / 텍스트 분석과 검열

6장 역사의 서술

역사가의 객관성 / 역사가의 과거 해석 / 역사가의 연구 주제 / 동학농민운동의 연대 의식
한말 의병과 안중근의 의거 / 역사 서술과 용어의 선택 / 칭기즈칸을 통한 몽골 이해
역사가의 역할과 선택

7장 우연과 필연

역사적 사건의 원인과 결과 / 연쇄적인 인과관계의 구성 / 우연과 필연의 관계
안중근과 이재명의 의거, 그리고 김산 / 광주학생운동 재구성해보기 / 특수성과 보편성

8장 누구의 관점인가

다양한 해석과 관점 / 관점에 따른 다양한 시선 / 남성의 시선과 여성의 시선
민족사와 민족문화의 구성 / 민중과 대중의 관점 / 역사가의 관점 세우기

9장 인물의 평가

위인의 등장과 위인전의 구성 / 위인의 삶과 변곡점 / 왕건의 정치적 포용력
태종 이방원의 역사적 역할 / ‘쓰러지지 않는’ 부도옹 흥선대원군
순종의 죽음과 6. 10 만세운동 / 인물에 대한 세상의 평가와 기억
인물의 성공과 실패 / 인물 평가의 균형 잡기

10장 좋아하는 인물

20살에 만난 22살의 전태일 / 갈림길과 신채호의 선택 / 실천을 앞세운 안창호
큰 물결 방정환 / 바다의 바람 심훈 / 태평천국운동의 스다카이와 공자의 제자 자로
권위의식 없는 2인자 이관술 / 역사적 인물에 관한 기억

11장 역사교육과 상상력

역사 수업과 추체험 / 역사교육과 역사 교과서 / 제국주의와 식민지의 상반된 역사 서술
교양 역사와 역사 수험서 / 조선 미술과 야나기 무네요시 / 〈세한도〉와 관련 인물 이야기
역사 대중화의 공과

12장 역사의 현재성

전쟁에 관한 역사적 교훈 / 제국주의의 오리엔탈리즘 / 공간의 재해석과 스펙터클
장소에 대한 사랑 / 타자의 역사와 타자와의 소통 / 사실(史實)의 지혜와 교훈
역사 공부와 탈신화
Author
류시현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최남선의 ‘근대’ 인식과 ‘조선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근현대 사상사·문화사를 중심으로 서양 사상 수용에서의 번역 문제와 한국적 정체성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이다. 지은 책으로는 『최남선 연구』,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5』(공저), 『인문학의 싹』(공저)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동경삼재(홍명희·최남선·이광수)’를 통해 본 한말 일제 초 조선의 지성계」, 「1910~20년대 전반기 안확의 ‘개조론’과 조선 문화 연구」 등이 있다.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났고, 고려대학교 사학과에서 『최남선의 ‘근대’ 인식과 ‘조선학’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 근현대 사상사·문화사를 중심으로 서양 사상 수용에서의 번역 문제와 한국적 정체성의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현재 광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이다. 지은 책으로는 『최남선 연구』,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 5』(공저), 『인문학의 싹』(공저)이 있고, 주요 논문으로는 「‘동경삼재(홍명희·최남선·이광수)’를 통해 본 한말 일제 초 조선의 지성계」, 「1910~20년대 전반기 안확의 ‘개조론’과 조선 문화 연구」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