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내음 가득한 125가지 섬살이, 섬밥상 이야기
다 읽고나면 당장 바다로 달려가고 싶다.
얼마나 다행인가! 우리는 어디든 잠시만 달려가면
어렵지 않게 그 바다와 밥상을 만날 수 있고,
그곳을 지키고 사는 사람들과 이야기할 수 있으니.
최근 오징어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아 ‘금징어’라고까지 불리고, 어민들은 “오징어 씨가 말랐다.”고 하소연한다고도 한다. 아직 확정적이지는 않지만,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탐욕 가득한 남획과 기후 위기다. 낯설지 않다. 우리 밥상을 오랫동안 지켜왔던 명태가 우리 바다에서 사라진 이야기를 우리는 잘 알고 있다. 서민 밥상의 단골이었던 청어와 갈치 또한 마찬가지다. 이제는 도루묵까지 비슷한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남획으로, 기후 변화로 바다 생물이 궁지에 내몰릴 때면, 어민들도 곤경에 처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바다 생물, 그리고 바다와 함께 사는 사람이, 그 생명들이 어우러져 사는 섬과 바다가 몸살을 앓고 있을 때도 역시 섬을 찾아다니고 있을 한 사람이 있다.
“나는 그를 ‘섬박사’라 부른다. … 그의 글에는 섬사랑이 가득하다. 그의 섬살이 기록은 조곤조곤 들려주는 시다. … 이 책은 섬의 가치를 전하는 섬밥상이다.”
『그리운 바다 성산포』의 이생진 시인이 “섬박사”라고 부르는 김준 박사(어촌사회학), 그는 30여 년 동안 섬을 다니며 지속가능한 어촌과 어업, 주민이 행복한 섬마을과 섬살이에 주목해왔다.이 오랜 발걸음 끝에 김준 박사가 2023년 끝자락, 도서출판 따비에서 선보이는 《섬살이, 섬밥상―갯내음 찾아 떠나는 바다 맛 여행》은, 그럼에도 감칠맛 나는 풍성한 밥상으로 우선 독자들 곁으로 다가온다. 아이러니하지만, 이 책에는 두 가지 빛깔의 풍경을 담을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현실이다.
Contents
제철 표시 ─ 봄 ◐ 여름 ○ 가을 ◑ 겨울 ●
추천사―그의 섬살이 기록은 조곤조곤 들려주는 시다 4 / 책을 내며―섬의 가치로 섬밥상을 차리다 6
서해
강화·옹진
후포 밴댕이회―부드럽고 달콤한 이 맛에 제철 산지를 찾을 수밖에 ◐○ 20
대청도 홍어―참홍어, 삭히지 않은 싱싱한 맛 ○ 24
백령도 냉면―허기와 고향생각을 달래는 차가운 냉면, 뜨거운 면수 28
백령도 놀래미찜―값은 헐하지만 귀한, 생태관광지에 서식하는 어류 31 / + 점박이물범의 날 34
장봉도 상합탕―‘으뜸 조개’ 백합을 맛보되, 갯벌 파헤치는 일은 삼가주시기를 36
장봉도 소라비빔밥―국내외에서 인정한 건강한 섬, 전복보다 맛있다는 소라 39 / + 연평도 꽃게잡이 42
태안·보령·서천
안면도 대하장―먼 길 떠나는 사람에게 꼭 챙겨 먹일 음식 ◑ 46
우럭젓국―산 자에게도 망자에게도 통하는 신통방통한 깊은 맛 ○ 50
삽시도 바지락칼국수―국물이 시원하지 않으면 오히려 이상한, 푸드 마일리지 제로의 맛 53
벌벌이묵―겨울이 제철인 박대껍질로 만든 묵 56
장항 붕장어구이―정성 가득한 손질에 굽기 딱 좋은 양념을 더한 맛 59
군산
박대구이―군산 사람들은 박대가 아니면 관심이 없다 ● 62
째보선창 반지회비빔밥―성질은 급하지만, 부드럽고 달콤한 살맛 ◐○ 65
+ 고군산군도 시어머니 갯벌 68 / + 서해와 남해의 만남, 양태미역국 ◑ 70
부안·고창
곰소 젓갈백반―갯벌의 어패류와 천일염이 만들어낸 밥도둑 한 상 74
백합죽―이제는 사라진, 그리운 새만금갯벌의 맛 77
만돌마을 뻘밥―김발 포자 붙이기 날 먹은 망둑어전 80 / + 만돌마을 김농사철 84
심원 동죽김치찌개―세계자연유산 갯벌이 내준 동죽의 묵직하고 강한 감칠맛 86 / + 물총칼국수 단상 90
영광
칠산바다 유월병어―부드럽고 고소한 그 맛, 괜히 버터피시가 아니다 ○ 92
물걸이무침―김장보다 더 기다려지는 생새우무침의 맛 ◑ 96
염산포구 중하젓―말린 중하는 조미에 최고, 중하젓은 씹는 맛까지 더해 ◑ 100
새우젓호박잎쌈―입맛 없는 여름철, 간편하게 밥맛 돋우는 최고의 밥상 ○ 103
송이도 가을밥상―맛도 재미도 행복도 가득한 맛등 체험과 밥상 108
신안
가거도 삿갓조개탕―국물이 그리워질 때 찾는 시원함의 절정 ◑ 112
화도 장어탕―일 년 내내 섬살이에 보탬 되는 효자 보양식 116
우이도 돈목마을 섬밥상―대를 이어 스무 해 넘게 인연 맺어온 섬 맛과 섬사람 119
+ 소금농사꾼의 겨울 122 / + 영산도의 우선멈춤 124
무안
동숭어회―좋은 갯벌이 키운, 부드럽게 혀에 착 감기는 식감 ● 128
도리포 곱창김―고집과 정성으로 되살린 효자 상품, 살아남은 자연 132
운저리회무침과 보리밥비빔밥―가을에 제대로 물오른 맛, 투박하니 보리밥과 어울린다 ◑ 138
운저리회―모양은 거시기해도, 제대로 갖춰 한 상 차리니 아름답다 ◑ 142 / + 갯벌낙지 맨손어업 146
목포
꽃게살비빔밥―가을 길목에 입맛 돋우는 고소하고 담백한 바다의 맛 ◑ 148
준치회무침―가시를 조심해야 하지만 달콤함에 취한다 ◐○ 152
황석어조림―조기보다 작지만 더 진하고 부드러운 그 맛 ◐○ 156
진도
굴포 복탕―재료를 찾는 마음과 손맛이 어우러진, 곰국 같은 복탕과 반찬 159
뜸북국―없으면 짜잔하다는 평을 듣는, 진하디 진한 국물 ◐ 162
남해
완도
고금도 매생이―몸도 춥고 마음도 허할 때 필요한 뜨거운 기운과 응원 ● 168
청산도 전복장―구경도 힘들었던 전복을 한아름 선물로 받아 설렜던 그날 172
장흥·보성
회진 된장물회―어장에서 일하다 만들어 먹던 보양식 176
벌교 가리맛조개탕―오뉴월 조개탕은 통통하고 부드러운 조갯살이 일품인 가리맛조개로 ◐○ 180
벌교 꼬막비빔밥―이제는 보기 힘든 참꼬막, 평생 잊지 못할 맛 ●◐ 186 / + 갯벌을 누비는 ‘뻘배’ 189
고흥
감태지―집집마다 다른 맛, 겨울이면 생각나는 맛 ● 192
굴장 가르기―굴과 소금, 불과 시간으로만 만들어낸 근원적 음식 196
첨도 바지락짓갱―봄 바지락으로 미슐랭 스타 부럽지 않은 고흥 밥상 ◐ 199
칠게간장게장―갯벌이 사라지고 칠게도 사라지니, 인간도 도요새도 낙지도 살기 힘들다 202
취도 진석화젓―겨울 바다의 맛을 두고두고 먹으려고 만든 굴 음식 205
피굴―껍데기의 고갱이까지 오롯이 담아낸 굴 음식의 정수 208
황가오리회―이 생선에서 찰진 한우 생고기 맛은 어찌된 일인가 ○ 211 / + 서해와 남해의 주꾸미볶음 ◐ 214
순천
순천만 대갱이탕―손은 많이 가지만, ‘맛의 방주’에 선정된 잊어서는 안 될 맛 216
와온마을 서대감자조림―햇감자가 더하는 감칠맛, 물 좋고 맛 좋은 계절의 맛 ○◑ 220
순천만 짱뚱어탕―서남해 여행 계획이라면 여름 보양식으로 꼭 드시기를 ○ 224
여수
거문도 삼치회―겨울철 입안에서 펼쳐지는 싱싱한 은빛 향연 ● 227
거문도 엉겅퀴된장국―엉겅퀴의 쌉쌀한 맛, 갈치 살의 달달함이 어우러진 고향 이야기 230
군평선이구이―조기보다 귀한 대접을 받는, 느림으로 만들어진 감칠맛 ○ 234
금오도 쏨뱅이탕―가시와 독이 있지만, 그래서 오래 곁에 있어 고맙다 ●◐ 237
돌게장―볼품은 없어도 착한 가격에 꽃게장 부럽지 않은 밥도둑 240
새조개삼합―몸값 비싸지만 달콤하고 부드러운 그 맛을 놓칠 수 없다면 ●◐ 243
여자만 새조개 샤부샤부―살짝 데친 시금치와 새조개의 달콤함, 봄을 알리는 맛 ●◐ 246
서대회무침과 서대탕―일 년 열두 달 먹어도 질리지 않는 힐링푸드 ◑ 250
서대찜―얼리고 말리고 해서 일 년 내내 먹을란다 253
붕장어탕과 구이―비싼 갯장어 아니어도 여름 보양식으로 손색이 없다 258
+ 소경도 영등시 262 / + 손죽도 화전놀이 264
남해·통영
멸치쌈밥―봄날 선물처럼 찾아와 허기진 이들을 달래주었던 음식 ◐ 266
견내량 돌미역―돌미역밭, 트릿대 채취어업과 미역국에 담긴 공동체의 마음 269
멍게비빔밥―봄을 듬뿍 머금은 바다의 붉은 꽃, 맛과 향을 살린 음식 ◐ 272 / + 오비도 조개농사 275
물굴젓―바로 먹으면 시원한 맛, 익으면 삭힌 맛, 그 뒤로는 새콤한 맛 ● 277
뽈래기무김치―김장김치가 떨어질 무렵, 밥상을 되살려주는 그 맛 ◐○ 280
우도 해초비빔밥―섬과 바다가 내준 제철 재료들의 향연, 맛도 값도 착하다 283
+ 사량면 별신굿과 허리 펴주는 떡 286 / + 좌도 매화 288
거제·창원
외포 대구탕―적기에 적정한 방법으로 잡은 대구와 손맛으로만 끓여 더 깊고 시원한 맛 ● 290
장목항 조개탕―깊은 바다에서 잡아온 개조개의 시원함 ◐○ 294
진동 미더덕―천덕꾸러기에서 주연급 조연으로 떠오른 은은한 감칠맛 ◐ 297
부산
가덕도 봄숭어―보리 싹이 날 때 육질이 단단하고 기름져 입맛을 사로잡는다 ◐ 300
영도 고등어해장국―국민생선 고등어로 추어탕처럼 끓인 맛이라니 303
+ 낙동강 하구 명지갯벌 308 / + 밀양한천 310
동해
기장
대변항 멸치젓―고된 노동으로 얻은, 멸치젓에 최적화된 멸치 ◐ 316
학리마을 말미잘탕―화려한 외모만큼 좋은 말미잘의 식감, 거기에 붕장어의 진한 육수까지 320
포항·영덕
구룡포 모리국수―팔고 남은 생선들로 만들어 뱃사람들 허기를 달래주던 포항의 명물 324
죽도 꽁치추어탕―청어 대역으로 등장했다가 주연이 된 꽁치 327
물가자미구이―먹을 게 없다고? 구이, 조림, 식해 등 풍성한 요리에 젓가락질 소리만 달그락 달그락 330
삼척
도루묵구이―탱탱한 도루묵알과 함께 겨울에 즐기는 맛 ● 333
섭국―껍데기째 세 개만 넣어도 충분하게 우러나는 감칠맛 ◑● 336
강릉
사천 섭죽―배고픈 시절 허기를 달래주었지만 이제는 귀해진 음식 ◑● 339
장치찜―강원도 땅의 감자와 바다의 장치는 환상의 조합 ● 344
주문진 곰칫국―얼큰하고 칼칼하며 시원한 맛에 피로가 싹 가신다 ● 348 / + 동해안 가자미식해 352
고성
도루묵찌개―추운 겨울 더 깊어지는 맛, 오래 먹고 싶다 ● 354
도치알탕―못생겼지만, 바닷가 사람들의 입맛을 챙기는 효녀 물고기 ● 357
양미리구이―연탄불 위에서 노랗게 구워지는 양미리 냄새에 식도락가들이 찾아온다 ● 362
울릉도
긴잎돌김―거칠지만 오래 씹을수록 은근한 풍미를 주는 자연산 돌김 ● 366
산채밥상―구황식품이었던 울릉도의 산채들, 풍성한 밥상의 주연들 370
손꽁치―손으로 잡은 신선한 꽁치로 만든 물회, 젓갈, 된장국, 경단 ◐ 374 / + 바다식목일 377
제주
제주 음식
각재깃국―간단한 조리법에 신선한 재료면 된다 ○ 382
객주리콩조림―입맛 떨어지는 여름 짭짤한 것이 당길 때면 꼭 한 번 ○ 385
고사리육개장―왕에게 진상했던, 산에서 나는 쇠고기 ◐ 388
멜국―상처 없이 싱싱한 멸치로 끓여 복국을 능가하는 시원한 국 ◐ 392
몸국―제주에서 특별한 돼지와 모자반, 메밀로 끓인, 특별한 날 먹는 음식 395
빙떡―척박한 땅에서 자라 든든하게 속을 채워주는 메밀로 만든 떡 398
우미냉국―우뭇가사리를 씻고 말리고 삶고 거르고 식혀 고되게 만든 음식을, 호로록 금세 먹었다 ○ 402
자리물회―더위도 겨울 감기도 이겨내는, 서귀포가 자랑하는 맛 ○ 406
조기내장탕―조기탕보다 조기내장탕, 이제 내장탕의 으뜸은 조기내장탕 ● 409
선흘마을 가시낭칼국수―효자나무 가시낭도 곶자왈 동백동산이 있어 가능하다 414
구좌 돗죽―신들에게 올리고 마을 주민이 함께 나누던 음식 418
우도 성게미역국―부드럽고 고소한 한 그릇 끝에 해녀의 삶을 떠올려본다 ○ 424
성게비빔밥―여름 제주바다의 맛, 그리고 해양 생태계를 지키는 성게 물질 ○ 428
제주 문화
고망낚시―작은 돌 틈에서 물고기를 낚는 적정기술이자 삶의 방식 432
낭쉐몰이―소 방목, 품앗이가 만들어낸 제주 공동체 농경문화 435
낭푼밥상 공동체―제주를 지켜온 힘, 나눔의 미학 439
신흥리 방사탑―온 마을이 화를 막으려 쌓았던 탑이 코로나도 물리쳐주기를 442
먹는 날―닭으로 몸과 마음을 보하는 제주식 여름나기 445
종달리 〈해녀의 부엌〉―해녀마을에 활기를 불어넣어주는 무대 448
Author
김준
전남 곡성 산골 마을에서 태어나 중학교를 졸업하고 광주로 이사를 했다. 광주’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대학시절 답사를 다니면서다. 광주와 전남은 물론 전북까지 오가며 역사, 문화, 생태 그리고 사람들의 일상에 관심을 가졌다. 1990년대 지역신문에 광주와 전남의 이야기를 인물과 사회운동 중심으로 연재하면서 지역 근현대사와 생활사에 깊이 천착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했다. 병역을 마치고 동 대학원에 진학해 사회사, 미시사, 지역사에 관심을 가졌다. 농촌과 농민운동 연구로 석사학위를 마친 후 어촌 공동체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도서문화연구원에서 10여 년 동안 연구교수로 있으면서 섬 문화·어촌 공동체·갯벌 문화 등을 연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한 어촌 사회학의 연구 대상과 방법을 찾고자 했다. 2008년부터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섬·어촌·문화·관광 관련 정책을 발굴하며, 섬과 갯벌의 가치를 사람들과 나누는 글을 쓰고 있다. 또 슬로피시 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30여 년을 섬과 바다를 배회한 것은 섬살이와 갯살림에서 오래된 미래를 찾을 수 있다는 희망에서다.
그 과정에서 『바닷마을 인문학』(2020년 우수환경도서), 『한국 어촌 사회학』, 『섬:살이』, 『물고기가 왜?』(2016년 우수환경도서, 2017년 책따세 추천도서), 『어떤 소금을 먹을까?』(2014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청소년 권장하고 사람에 취하도서, 2014년 한국과학창의재단 우수과학도서), 『대한민국 갯벌 문화 사전』, 『김준의 갯벌 이야기』, 『바다에 취는 섬 여행』, 『새만금은 갯벌이다』, 『갯벌을 가다』, 『섬문화 답사기』(전5권), 『바다맛 기행』(전3권) 등의 책을 펴냈다. 또 바다와 갯벌 냄새가 물씬 나는 ‘섬과 여성’, ‘바닷물 백 바가지 소금 한 줌’, ‘갯살림을 하다’, ‘소금밭에 머물다’ 등 해양 문화 사진전을 열기도 했다. 지금도 갯벌과 바다, 섬과 어촌을 찾고 그 가치를 기록하고 있다.
전남 곡성 산골 마을에서 태어나 중학교를 졸업하고 광주로 이사를 했다. 광주’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은 대학시절 답사를 다니면서다. 광주와 전남은 물론 전북까지 오가며 역사, 문화, 생태 그리고 사람들의 일상에 관심을 가졌다. 1990년대 지역신문에 광주와 전남의 이야기를 인물과 사회운동 중심으로 연재하면서 지역 근현대사와 생활사에 깊이 천착했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전남대학교 사회학과에 입학했다. 병역을 마치고 동 대학원에 진학해 사회사, 미시사, 지역사에 관심을 가졌다. 농촌과 농민운동 연구로 석사학위를 마친 후 어촌 공동체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도서문화연구원에서 10여 년 동안 연구교수로 있으면서 섬 문화·어촌 공동체·갯벌 문화 등을 연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생소한 어촌 사회학의 연구 대상과 방법을 찾고자 했다. 2008년부터 광주전남연구원 책임연구위원으로 섬·어촌·문화·관광 관련 정책을 발굴하며, 섬과 갯벌의 가치를 사람들과 나누는 글을 쓰고 있다. 또 슬로피시 운동에도 참여하고 있다. 30여 년을 섬과 바다를 배회한 것은 섬살이와 갯살림에서 오래된 미래를 찾을 수 있다는 희망에서다.
그 과정에서 『바닷마을 인문학』(2020년 우수환경도서), 『한국 어촌 사회학』, 『섬:살이』, 『물고기가 왜?』(2016년 우수환경도서, 2017년 책따세 추천도서), 『어떤 소금을 먹을까?』(2014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청소년 권장하고 사람에 취하도서, 2014년 한국과학창의재단 우수과학도서), 『대한민국 갯벌 문화 사전』, 『김준의 갯벌 이야기』, 『바다에 취는 섬 여행』, 『새만금은 갯벌이다』, 『갯벌을 가다』, 『섬문화 답사기』(전5권), 『바다맛 기행』(전3권) 등의 책을 펴냈다. 또 바다와 갯벌 냄새가 물씬 나는 ‘섬과 여성’, ‘바닷물 백 바가지 소금 한 줌’, ‘갯살림을 하다’, ‘소금밭에 머물다’ 등 해양 문화 사진전을 열기도 했다. 지금도 갯벌과 바다, 섬과 어촌을 찾고 그 가치를 기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