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다시 건강해지려면

정의로운 건강을 위한 의료윤리학의 질문들
$17.28
SKU
979119210786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6/3 - Fri 06/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29 - Fri 05/3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4/20
Pages/Weight/Size 130*208*20mm
ISBN 9791192107868
Categories 사회 정치 > 사회비평/비판
Description
포스트 코로나 시대, 어떻게 다시 건강해질 것인가

2022년 4월 18일부로 거리두기 조치가 전면 해제되었다. 3년째 이어져온 팬데믹 사태를 점차 ‘엔데믹(풍토병)’ 체제로 전환하는 시도가 이루어지는 셈이다. 그러나 이를 통한 일상 회복은 과거 사스나 메르스에 선언되었던 완전한 종식을 뜻하지 않는다. 정부는 얼마 전 코로나19 종식을 위한 집단면역 달성이 쉽지 않아 “소규모 유행이 계속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 또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를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려우며 “개개인이 스스로 감수할 위험을 계산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진입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각자가 상황을 판단해나가면서도 각자도생으로 흐르지 않고, 어떻게 개인과 사회가 ‘함께’ 다시 건강해질 것인가를 모색하는 일이다.

『우리 다시 건강해지려면』은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코로나19가 제기한 주요한 이슈와 과제를 낱낱이 살피고 그에 답하는 책이다. K-방역, 건강 불평등, 환자의 우선순위, 백신과 인권, 돌봄, 장애와 노화, 가족 이데올로기, 혐오와 차별, 인간중심주의의 한계, 휴먼 챌린지라는 논쟁적 사안에 이르기까지, 첨예하고 근본적인 주제들을 의료윤리의 관점에서 아우른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건강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들이 던져진다. 상태 아닌 동사로서의 건강이란 무엇일까? 사회, 경제, 환경을 건강 자체의 구성 요소로 본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내가 진정 건강하려면 ‘누구’부터 ‘무엇’까지의 건강을 고려해야 할까 국가가 시혜적으로 지키는 국민의 건강 개념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감염병을 둘러싼 14가지 주제를, 건강 개념을 재정의하는 작업이 관통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날카롭고 새로운 질문은 의사이자 의료윤리학자인 저자 김준혁의 이력에서 비롯된다. 의료 현장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 그리고 보건의료 문제에 관한 인문학적 통찰과 감수성을 결합한 접근법의 힘이라 할 만하다. 그로부터 개인의 구체적인 건강 문제부터 보건의료 정책 전반까지를 다각적으로 다뤄낸다. 이제껏 나온 팬데믹 관련 책들이 정치경제 시스템의 변화 같은 거시적 논의를 다루거나 여러 분야 각자의 문제 제기를 엮은 책이 주를 이뤘다면, 이 책은 분명하고 일관된 문제의식에서 팬데믹의 다양한 국면을 세심하게 비평하는 동시에, 팬데믹을 우리 삶의 아주 구체적인 결정 과정과 일상의 과제와 연결 짓는다.
Contents
들어가며 코로나19 이후를 윤리에 묻자

1 K-방역에 질문하기
2 마스크 쓰기라는 건강행동
3 환자에도 순서가 있는가
4 가족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5 백신과 인권
6 노인을 위한다는 것
7 의료는 있으나 돌봄은 없다
8 감염병의 공포
9 누가 학교 폐쇄를 결정하는가
10 코로나 시대의 죽음
11 코로나19 감염에 자원하는 사람들
12 인간 너머의 건강
13 의료에서 인간중심주의를 넘어서기
14 데이터 보호보다 중요한 것

보론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려면
나가며 우리 모두의 건강을 위해
Author
김준혁
의료윤리학자. 의료윤리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인이 서로의 입장을 충분히 살피고, 각 의료적 쟁점의 다양한 맥락을 검토한 뒤 내리는 ‘인간의 건강과 삶에 대한 윤리적 판단’이자 ‘최선의 선택’을 가리킨다. 그 어느 때보다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인이 각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질환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삶과 생활이 깨진 이들을 다시 하나로 불러 모으는 일’은 의료윤리만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약자를 위한 의료, 서로를 보듬어 안는 의료윤리를 꿈꾸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조교수이자 한국의철학회 편집이사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후 동 병원에서 소아치과 수련 과정을 마쳤다. 군의관 복무 중 의료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윤리 및 건강정책 교실에서 생명윤리 석사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의료인문학 박사를 마쳤다. 주요 저·역서로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 『누구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서사의학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응급 상황에서 의료자원 분배 및 백신 접종의 우선순위 설정」, 「능력으로서의 건강 개념과 그 의료정의론적 적용」 등이 있다.
의료윤리학자. 의료윤리는 환자와 보호자, 의료인이 서로의 입장을 충분히 살피고, 각 의료적 쟁점의 다양한 맥락을 검토한 뒤 내리는 ‘인간의 건강과 삶에 대한 윤리적 판단’이자 ‘최선의 선택’을 가리킨다. 그 어느 때보다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는 의료 현장에서 ‘환자와 의료인이 각자의 필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질환으로 인해 몸과 마음이, 삶과 생활이 깨진 이들을 다시 하나로 불러 모으는 일’은 의료윤리만이 할 수 있다고 믿는다. 약자를 위한 의료, 서로를 보듬어 안는 의료윤리를 꿈꾸고 있다.

현재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의학교육학교실 조교수이자 한국의철학회 편집이사다.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 후 동 병원에서 소아치과 수련 과정을 마쳤다. 군의관 복무 중 의료인문학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윤리 및 건강정책 교실에서 생명윤리 석사를,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의료인문학 박사를 마쳤다. 주요 저·역서로 『모두를 위한 의료윤리』, 『누구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 『서사의학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코로나19로 인한 응급 상황에서 의료자원 분배 및 백신 접종의 우선순위 설정」, 「능력으로서의 건강 개념과 그 의료정의론적 적용」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