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 대선 후보가 지방 국립대를 찾은 자리에서 ‘인문학이라는 것은 공학이나 자연과학 분야를 공부하며 병행해도 되는 것’이라는 발언을 해 논란이 되었다. 현재 한국 사회에서 인문학을, 대학 교육을 바라보는 지배적인 관점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발언이다. 대학은 기업에서 쓰일 인력을 생산하는 곳이므로 인문학보다는 ‘실용적인’ 전공이 우선시되어야 한다는 관점이다. 한국 사회에서 ‘인문학의 위기’가 대두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2010년을 전후하여 본격화된 대학의 인문학 전공 통폐합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학령인구 감소와 더불어 대학 구조조정이 논의되면서 가장 먼저 타깃이 된 것도 인문학이었다.
전통적인 인문학, 즉 문사철 학과들은 좀 더 실용적이라고 여겨지는, 학생들을 모집하기 용이한 길고 낯선 이름으로 간판을 바꿔 달고 있다. 이런 흐름과 더불어 인문학의 ‘쓸모’에 관한 논의도 등장했다. 인문학의 존재 가치를 그 실용적 쓰임새에서 찾으려는 흐름인데, 이를테면 ‘인문학적 경영’이나 ‘비즈니스 인문학’ 등의 트렌드가 그것이다. 여기에 더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동안 오프라인 강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그간 쌓여온 고등교육 시스템의 문제가 전면화되기도 했다. ‘수백만 원짜리 인강’이라는 비아냥을 받으며 대학 교육 무용론이 대두된 것이다.
이런 총체적인 인문학의 위기, 대학의 위기 상황에서 ‘인문학의 미래’라는 제목의 책을 펼치는 것은 새삼스럽다. 미국의 학자 월터 카우프만은 『인문학의 미래』에서 1970년대 당시 미국 대학의 현실과 인문학 교육에 관해 날카롭게 진단하고, 인문학자는 어떤 자질을 갖추어야 하는가부터 인문학을 어떻게 가르치고 배워야 하는가까지 종합적인 접근을 시도한다. 철학자, 교수, 번역가, 서평가, 편집자, 시인 등 다양한 이력으로 활동한 카우프만은 단순히 추상적인 논의에 그치지 않는, 대단히 구체적이고 실제 학술, 출판, 교육 영역에 밀착해 있는 논의를 전개한다.
『인문학의 미래』는 한국에도 세 번째로 소개가 되는 책이다. 1998년, 2011년에 번역되어 학계 안팎에서 널리 읽혔던 이 책을 전면 새롭게 번역하여 다시 펴냈다. 1970년대 미국 상황에 바탕해 쓰인 책이지만, 오늘날 한국에서도 대단히 동시대적인 논의로 읽힌다. ‘정량 측정’이 가장 중요한 척도가 되고, 학술적 진보는 자연과학 모델에 의존하고, 대학은 자율성을 잃고 기업과 자본에 종속되어가던 당시 미국 학계의 상황이, 바로 지금 한국의 고등교육 현실과 크게 다르지 않은 까닭이다.
Contents
서론 9
1장 네 가지 종류의 정신 25
2장 읽기의 기술 91
3장 서평의 정치학, 번역과 편집의 윤리학 143
4장 고등 교육에서 종교의 위치 199
5장 선견은 가르칠 수 있다. 하지만…… 237
6장 학제 간 시대 275
감사의 말 315
개정판 서문(솔 골드워서) 319
해제│소크라테스적 질문을 되살리기 위한 브레이크는 어디에?(조형근) 342
옮긴이의 말│21세기에 다시 묻는 인문학의 미래(박중서) 348
찾아보기 357
Author
월터 카우프만,박중서
1921년 독일의 유대계 가문에서 태어나 열일곱 살에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니체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7년부터 1980년에 타계할 때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의 철학 교수로 재직했다. 종교철학, 역사철학, 미학 등을 넘나들며 다수의 철학서를 쓰고 번역했으며, 니체 전집을 편집하고 번역하면서 니체 전문가로 명성을 얻었다. 철학자, 교수, 번역가, 서평가, 편집자, 시인 등 다양한 이력으로 활동하며 인문학과 인문학 교육 방식에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했다. 저서로는 『이단자의 믿음(The Faith of a Heretic)』, 『죄의식과 정의 없이(Without Guilt and Justice)』, 『네 가지 차원의 종교(Religions in Four Dimensions)』, 그리고 실존주의에 관한 여러 권의 뛰어난 편저서가 있다.
1921년 독일의 유대계 가문에서 태어나 열일곱 살에 나치의 박해를 피해 미국으로 건너갔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니체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47년부터 1980년에 타계할 때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의 철학 교수로 재직했다. 종교철학, 역사철학, 미학 등을 넘나들며 다수의 철학서를 쓰고 번역했으며, 니체 전집을 편집하고 번역하면서 니체 전문가로 명성을 얻었다. 철학자, 교수, 번역가, 서평가, 편집자, 시인 등 다양한 이력으로 활동하며 인문학과 인문학 교육 방식에 날카로운 비판을 제기했다. 저서로는 『이단자의 믿음(The Faith of a Heretic)』, 『죄의식과 정의 없이(Without Guilt and Justice)』, 『네 가지 차원의 종교(Religions in Four Dimensions)』, 그리고 실존주의에 관한 여러 권의 뛰어난 편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