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50년 전 서양 학술 용어와 체계를 번역, 소개한
어느 일본 지식인이 그린 근대지(近代知)의 지도
희철학(希哲學), 가취론(佳趣論), 격물학(格物學), 치지학(致知學), 통고학(通古學), 계지학(計誌學)은 오늘날 어떤 학문을 가리킬까? 이들 각각은 Philosophy(철학), Aesthetics(미학), Physics(물리학), Logic(논리학), Archaeology(고고학), Statistics(통계학)에 대응하는 19세기 번역어로, 서양 학술 체계와 용어를 일본에 도입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계몽사상가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만든 용어다. 니시 아마네는 현대 일본과 한국에서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학술, 과학, 기술, 예술, 연역, 귀납, 심리’ 같은 단어를 창안한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근대 학술사를 독자적으로 연구해온 야마모토 다카미쓰(山本貴光)가, 1870년경 니시 아마네가 ‘서구의 학술’을 쉽게 소개하려고 사숙에서 강의한 내용을 그의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永見裕)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꼼꼼하게 해설한 것이다. 백학연환은 엔사이클로피디아(Encyclopedia)의 번역어로 온갖 학술(百學)이 서로 연결되어 있음(連環)을 뜻한다. 현재 Encyclopedia라고 하면 ‘백과사전’이나 ‘백과전서’를 떠올리지만 이 말의 어원인 그리스어 ‘엔큐클리오스 파이데이아(Ενκυκλιο? παιδεια)’는 ‘기본적인 교육과정’, 오늘날의 ‘일반교양’을 말한다. 니시 아마네의 백학연환 강의는 서양 학술의 지도, 즉 학술의 전체상을 소개하면서 일본 근대지(近代知)의 체계를 구상하려는 시도이기도 했다.
서구 문물을 이입, 흡수하려 했던 메이지 시대에는 모든 학술을 처음 접하는 상태였으므로 니시 아마네의 설명에는 ‘학술’과 관련된 각종 용어를 번역해 만들어내는 작업이 필요했다. 이 책으로 ‘일본의 번역과 근대’ 전체를 조망할 수는 없겠지만, 저자의 꼼꼼한 읽기와 현장감 넘치는 서술 덕분에 특정 학술용어나 학문 분야를 지칭하는 말이 탄생하는 과정을 흥미롭게 지켜볼 수 있을 것이다.
Contents
옮긴이 서문
들어가며
제1장 「백학연환」이라는 문서
우선 전체를 살펴보자/ 차례를 읽다/ 학술기예/ 학술의 방략/ 신치지학/ 진리
제2장 백학연환은 무엇인가
「백학연환」 본문 속으로/ 그리스어 철자 문제/ 철자가 달라지는 이유를 추리하다/ ‘바퀴 안의 동자’의 수수께끼/ 둥근 고리를 이룬 교양/ 지(知)의 릴레이/ 정치학의 엔사이클로피디아?/ ‘정치학의 엔사이클로피디아’의 정체/ 법학의 엔치클로패디/ 문헌학의 엔치클로패디/ 철학의 엔치클로패디/ 학술의 엔사이클로피디아/ 책으로서의 ‘엔사이클로피디아’/ 지식의 나무/ 학역(學域)을 변별하다/ 떡은 떡집에서/ 중국의 학술 분류
제3장 ‘학(學)’이란 무엇인가
동사로 생각하다/ 술, 기, 예의 원뜻/ 왜 Science and Arts인가/ 왜 Scio와 ars인가/ 학문의 정의-해밀턴을 인용/ 아리스토텔레스의 그림자/ 학에는 정의가 있다
제4장 ‘술(術)’이란 무엇인가
이치를 탐구하여 달성하기 쉽게 한다/ 술의 정의가 나오는 출전을 찾다/ ‘아트’를 둘러싼 거대한 말 전달 게임/ 술의 정의는 어디서 인용했을까/ 술의 정의를 둘러싼 지(知)의 연쇄
제5장 학과 술
학과 술의 구별/ 아트와 사이언스는 혼동하기 쉽다고?/ 사이언스의 동의어/ 라틴어 인용문의 출처/ ‘에피스테메’와 ‘테크네’/ 어떤 〈웹스터 영어사전〉인가/ 의학, 의술을 구체적인 예로 들다/ 진리에 관여하는 두 가지 방법
제6장 관찰과 실천
관찰과 실천/ 오용에 주의하라
제7장 지행(知行)
지행이란 무엇인가/ 가상의 적은 누구인가/ 지는 폭넓게, 행은 세부적으로/ 온고지신/ 일신성공/ 지는 위로도 향하고 아래로도 향한다/ 군자는 화합하되 동화되지는 않는다/ 에도의 ‘학술’-가이바라 에키켄의 경우
제8장 학술
‘단순의 학’과 ‘적용의 학’/ ‘기술’과 ‘예술’/ 〈웹스터 영어사전〉의 정의/ 술의 구별을 비교하다/ 만민의 학술과 진정한 학술
제9장 문학
문학 없이는 진정한 학술이 될 수 없다/ 문학의 힘/ 세계 3대 발명/ 동서양 활판 인쇄 사정/ 출판의 자유/ 글은 도를 관통하는 수단이다/ 글은 도를 싣는다/ 글의 힘-일본의 경우/ 하늘의 도를 따라야 한다/ 옛 서양에서는 학술을 칠학으로 정했다/ 휴머니티스/ 문장학을 하려면 다음의 오학을 배워라/ 어원을 밝히는 학문인 산스크리트
제10장 학술의 도구와 수법
학술과 글의 관계/ 학술에 관련된 시설/ 다양한 전문박물관/ 특허청이 박물관이었다고?/ 학에는 실험이 필요하다/ 공리에만 빠지려는 걸 방지하라/ 불립문자/ 서적상의 논의/ 에도 유학자들의 경우/ 글은 모든 사람의 이해를 돕는 게 주목적이다
제11장 논리와 진리
신치지학-진리를 탐구하는 방법/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논리학/ 왜 ‘연역’이라고 했는가/ 연역을 고양이와 쥐에 비유하다/ 서적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 양명은 학문에서 마음을 중요시했지만/ 귀납법을 반찬 먹기에 비유하다/ 사과와 만유인력/ 귀납법-정치학의 경우/ 여러 학문이 탐구하는 진리의 예
제12장 진리를 깨닫는 길
진리를 탐구하는 것은 학(學), 진리를 응용하는 것은 술(術)이라 한다/ 아는 것이 힘이다. 하지만.../ 진리의 가치를 중국 고전에 따라 말하자면/ 지식의 연상 작용/ 니시 아마네식 노트 필기법/ 경계해야 할 돌팔이 의사/ 진리를 아는 두 가지 길/ ‘음표’를 천문학에 비유하자면/ ‘무반’이란 무엇인가/ 소극은 적극으로 이어진다/ 우주에서 보면 극미물/ 분광분석까지 거론하다/ 산초어라는 기괴한 물고기/ 주인과 도둑
제13장 지(知)를 둘러싼 함정
혹닉과 억단이라는 두 가지 함정/ result와 knowledge의 구별/ 호랑이라는 말만 들어도 안색이 변하다/ 학문의 대율/ 삼단계설/ 천둥의 삼단계/ 학에서 술로-응용의 삼단계/ 학술에도 재능의 유무가 있다/ 영민둔완(?敏鈍頑)/ 학술에는 재(才)와 식(識)이 있다/ 존 로크가 말하기를/ 재식을 그릇에 비유하다
제14장 체계와 방법
체계와 방법/ 체계-진리를 통합하다/ 체계-건축과 중국의 우주론을 예로 들다/ 기술적(記術的) 학문/ 체계화된 역사학이란/ 방법이란 무엇인가
제15장 학술의 분류와 사슬
사슬로 연결된 이미지/ 보통학과 개별학/ ‘보통’이란 무엇인가/ ‘개별’이란 무엇인가/ 심리와 물리/ 심리와 물리를 군사 용어에 비유하다/ 심리와 물리의 관계/ 학술 분류의 변화/ 새로운 학술 지도를 위하여
후기
역시 웹스터 사전!/ 이 책을 내기까지/ 감사의 말/ 마치며
부록
『니시 아마네 전집』 총목차
「백학연환」 총목차
「백학연환」 전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Author
야마모토 다카미쓰,지비원
1971년생. 독립 연구자이자 게임 크리에이터. ‘메이지현인연구회(明治賢人?究?)’ 회원. 어릴 때부터 학술과 학술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연구해왔다. 에도 말기, 메이지 시기 계몽사상가이자 서양 철학자였던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1870년경 ‘서구의 학술’을 소개한 강의를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永見裕)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파고들어 분석했고, 이를 웹사이트 ‘워드와이즈웹(WORD-WISE WEB)’에 총 133회에 걸쳐 연재한 후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2009년에 히토쓰바시 대학원에서 ‘새로운 「백학연환」-학술 편’을 강의했다.
게임 <전국무쌍(??無?)>의 개발에 참여했다. 저서로 『뇌를 이해하면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까(?がわかれば心がわかるか)』, 『문제가 문제다(問題がモンダイなのだ)』, 『컴퓨터의 비밀(コンピュ?タのひみつ)』, 『문체의 과학(文?の科?)』이 있고, 역서로 『마인드-마음의 철학(MiND―心の哲?)』, 『룰스 오브 플레이(ル?ルズ?オブ?プレイ)』 등이 있다. 홈페이지 ‘철학의 극장(哲?の劇場)’을 운영하고 있다.
1971년생. 독립 연구자이자 게임 크리에이터. ‘메이지현인연구회(明治賢人?究?)’ 회원. 어릴 때부터 학술과 학술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연구해왔다. 에도 말기, 메이지 시기 계몽사상가이자 서양 철학자였던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1870년경 ‘서구의 학술’을 소개한 강의를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永見裕)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파고들어 분석했고, 이를 웹사이트 ‘워드와이즈웹(WORD-WISE WEB)’에 총 133회에 걸쳐 연재한 후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2009년에 히토쓰바시 대학원에서 ‘새로운 「백학연환」-학술 편’을 강의했다.
게임 <That’s QT> <전국무쌍(??無?)>의 개발에 참여했다. 저서로 『뇌를 이해하면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까(?がわかれば心がわかるか)』, 『문제가 문제다(問題がモンダイなのだ)』, 『컴퓨터의 비밀(コンピュ?タのひみつ)』, 『문체의 과학(文?の科?)』이 있고, 역서로 『마인드-마음의 철학(MiND―心の哲?)』, 『룰스 오브 플레이(ル?ルズ?オブ?プレイ)』 등이 있다. 홈페이지 ‘철학의 극장(哲?の劇場)’을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