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 영상 문화의 모든 부분을 다루는 이 책은 영상 문화를 공부하는 학생과 영상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이들에게는 필독서다. 디지털 미디어와 영상 문화 관련 교육자에게도 참조가 될 것이며 일반 독자들에게도 관련 지식과 시사점을 줄 것이다. 영상의 의미를 제대로 해독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재사용될 때 발생할 문제를 성찰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Contents
1장 서론: 왜 영상은 윤리 문제를 제기하는가?
2장 영상 언어란 무엇인가
1. 이미지와 영상|2. 이미지의 종류|3. 미디어별 이미지 효과|4. 영상 언어의 영향력
REVIEW|ZOOM IN
영화로 성찰하기 1
현실 인식과 영상 미디어: [트루먼 쇼]
3장 영상의 역사
1. 영상 시대를 이끈 이미지의 역사|2. 영상 시대 부흥과 이미지 역사|3.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의 진화
REVIEW|ZOOM IN
영화로 성찰하기 2
생물학적 기관을 지배하는 영상의 영향력: [스트레인지 데이즈]
4장 영상의 의미와 이데올로기
1. 영상의 의미 생산|2. 영상의 이데올로기 효과|3. 영상 이데올로기 분석
REVIEW|ZOOM IN
5장 영상과 현실 인식
1. 영상과 재현|2. 저널리즘 속 영상|3. 현실 영상의 허구성|4. 영상 저널리즘이 제기하는 윤리 문제
REVIEW|ZOOM IN
영화로 성찰하기 3
영상 저널리스트의 윤리적 딜레마: [뱅뱅 클럽]
6장 영상과 성 역할 고정 관념
1. 집단에 기초한 차별과 불평등: 성, 인종, 민족|2. 대중문화 속 젠더 스테레오타입|3. 미디어에서 성 역할 재현|4. 한국 대중문화에서 성을 향한 왜곡된 시선
REVIEW|ZOOM IN
7장 영상과 인종 재현
1. 인종 차별의 역사|2. 세계 속 동아시아인에 대한 고정 관념|3. 한국 사회의 다문화와 인종 재현|4. 대중문화에서 드러나는 우리 안의 오리엔탈리즘
REVIEW|ZOOM IN
영화로 성찰하기 4
이중의 스테레오타입 또는 우리 안의 오리엔탈리즘: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
8장 과학 영상과 영상 문화
1. 영상과 과학|2. 세계화와 영상 문화
REVIEW|ZOOM IN
9장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 시대의 영상
1. 소셜 미디어와 영상|2. 인터넷과 소셜 미디어의 잘못된 사용
REVIEW|ZOOM IN
10장 디지털 시대의 영상 윤리 정립을 위해
1. 영상의 폭력성과 선정성|2. 영상의 윤리 문제에 대한 사회적 대응|3. 영상의 소유권과 윤리|4. 영상과 모방
REVIEW|ZOOM IN
영화로 성찰하기 5
사이버 공간의 양면성: [디스커넥트]
용어 설명
Author
홍석경,정창영,이광훈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프랑스 그르노블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 보르도 3대학 언론정보학과 부교수를 지낸 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미디어 정경의 변화와 세계 속 한류 소통의 구조를 아이돌, 젠더 등 다양한 키워드로 풀어냈다. 대표 저서로는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풀하우스, 강남스타일, 그리고 그 이후』, 『드라마의 모든 것』이 있으며, 「한류연구의 지식연결망 분석」, 「미디어 콘텐츠의 유통과 진화: 디지털 문화와 인터넷 시대의 픽션과 스토리텔링 전략」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불문학과 졸업 후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프랑스 그르노블대학교에서 언론정보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 선임연구원, 보르도 3대학 언론정보학과 부교수를 지낸 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로 부임했다. 미디어 정경의 변화와 세계 속 한류 소통의 구조를 아이돌, 젠더 등 다양한 키워드로 풀어냈다. 대표 저서로는 『세계화와 디지털 문화 시대의 한류: 풀하우스, 강남스타일, 그리고 그 이후』, 『드라마의 모든 것』이 있으며, 「한류연구의 지식연결망 분석」, 「미디어 콘텐츠의 유통과 진화: 디지털 문화와 인터넷 시대의 픽션과 스토리텔링 전략」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