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 실린 7편의 글이 ‘난민’으로부터 출발하지만 동질성/이질성, 다양성, 공존을 주제로 삼고 있는 이유는 현 대세계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가 난민이 아니라 난민을 발생시키고 있는 경제, 정치, 문화라는 것에 공감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자본주의의 위기가 미래지향적인 민주주의와 인권을 심화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반성과 성찰의 계기가 되기보다는 낡은 분할과 혐오의 이데올로기가 동원되어 그러한 길을 가로막고 있는 문화적 위기를 진단하고 있다. 이질적인 것들의 혼종으로 나가는 것만이 민주주의와 인권을 따라 앞으로 나가는 길이다.
Contents
서문: ‘제주 섬’의 역사로 다가가기 위한 이론의 우회 7
다원화된 개인들의 이질적 공존 ▣ 김진선 17
Ⅰ. 머리말 17
Ⅱ. 타자 인정과 공동체적 인식 20
Ⅲ. 다원화 사회의 차이 인식 24
Ⅳ. 이질적 관계-공존의 공간 인식 28
Ⅴ. 맺음말 32
동질성의 신화와 이질성의 현실에서 함께 산다는 것은 ▣ 김준표 37
Ⅰ. 머리말: 경계와 이동 37
Ⅱ. 동질과 이질, 전통문화의 이질성과 다문화 현상 42
Ⅲ. 이질성의 만남과 함께 산다는 것 48
Ⅳ. 한국사회 종교전통들과 이질성의 만남 그리고 초월의 문제 53
Ⅴ. 맺음말: 함께 산다는 것, 이질 구성들의 수행성 62
장소와 공간을 따라 읽는 고려인의 삶과 문학 ▣ 임형모 65
Ⅰ. 머리말: ‘관심의 장’의 전이와 고향 공간 65
Ⅱ. 집단이주와 낯선 장소와의 대면 69
Ⅲ. 카자흐스탄의 고향 공간 74
Ⅳ. 우즈베키스탄의 고향 공간 83
Ⅴ. 맺음말: 돌아오지 않을 권리 87
독일 다문화 사회의 터키인 이주와 커뮤니티의 형성 ▣ 박재영 91
Ⅰ. 머리말 91
Ⅱ. 터키인의 독일 이주 94
Ⅲ. 독일 사회에서 터키인 공동체 103
Ⅳ. 맺음말 109
아프리카의 정치적 위기와 강제이주민 ▣ 김동석 111
Ⅰ. 머리말 111
Ⅱ. 강제이주민 개념 정의 112
Ⅲ. 아프리카 강제이주민 현황 112
Ⅳ. 아프리카 정치적 위기 116
Ⅴ. 맺음말: 한국에의 함의 125
‘우리’를 돌아보게 하는 타자의 이름, ‘난민’ ▣ 서영표 127
Ⅰ. 머리말: 난민, 이주와 이동에 부여된 ‘낯선’ 이름 127
Ⅱ. 난민을 만드는 세상, 난민을 적으로 규정하는 세계 130
Ⅲ. 우리 모두가 난민이다! 133
Ⅳ. 난민 ‘문제’와 마주한 한국 135
Ⅴ. 유적 존재, 인권, 그리고 난민 142
Ⅵ. 맺음말: 근대성 넘어 새로운 합리성 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