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하나님의 구원 사역에 대하여 다양한 신학자들의 견해를 소개하고 선교학을 전공하고 연구한 저자의 예리한 통찰력으로 각 장마다 ‘맺는말’로 종합하여 정리하고 있다. 1장에서는 구원에 대한 다양한 시각, 2장에서는 구원에 대한 성서적 이해, 3장에서는 일반계시에만 접근 가능했던 자들의 운명, 4장에서는 타종교 안에서 구원의 가능성, 5장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최종성, 6장에서는 기독교 신앙을 위한 선교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부록으로는 로잔 언약의 전문을 게재하였다.
저자는 이 책에서 하나님의 구원 사역을 복음주의적 관점으로 여러 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기독교인은 복음을 받아들이지 않은 비기독교인이나 타 종교의 신자들에 대한 교회의 신앙을 적절히 구성하기 위해서 구원론적 문제에 특별히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또한 “하나님께서는 그분의 영광과 세상을 그분의 섭리로 다스리기 위해 선택하신 이 땅의 그리스도인들과 교회 공동체를 사용하실 것이라 믿는다.”라고 정의한다.
Contents
프롤로그
1장 구원에 대한 다양한 시각
1. ‘세 유형론’(the Threefold Typology)
2. 분류 방식의 발전
3. 세 입장의 신학적 배경
4. 맺는말
2장 구원에 대한 성서적 이해
1. 구원에 관한 일반적 설명
2. 죄로부터의 구원
3. 하나님의 고유한 정체성
4. 하나님의 언약이야기
5. 하나님의 주권(The Sovereignty of God)
6. 맺는말
3장 일반계시에만 접근 가능했던 자들의 운명
1. 일반계시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2. 일반계시를 주시는 하나님의 목적
3. 일반계시의 가치에 대한 평가
4. 맺는말
4장 타종교 안에서 구원의 가능성
1. 다양한 이견들
2. 타 종교 안에 있는 하나님의 계시
3. 타 종교 안에 있는 하나님의 섭리
4. 하나님의 자비와 믿음
5. 맺는말
5장 예수 그리스도의 최종성
1. 파니카의 보편적 그리스도(the Universal Christ)
2.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인도의 종교적 이해
3. 폴 니터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고유성(uniqueness)
4. 복음주의의 확신: 예수, 이 세상의 유일한 구원자
5. 맺는말
6장 기독교 신앙을 위한 선교적 시사점
1. ‘회심’(Conversion)에 대한 재검토
2. ‘증인됨’에 대한 재고
3. 교회중심적 태도를 넘어서
4. 대화를 위한 동기와 행동
에필로그
부록
1974 로잔언약(The Lausanne Covenant)
Author
박운조
미국 맥코믹신학교(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석사(M. Div.) 졸업
미국 트리니티신학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석사(The. M.) 졸업
미국 웨스턴신학교(Western Seminary) 재학 중
장로회신학대학원(M. Div.) 재학 중
역서
《기독교와 종교의 다원성》(베드로서원, 2021)
《유일한 하나님 그리고 예수》(베드로서원, 2021)
미국 맥코믹신학교(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 석사(M. Div.) 졸업
미국 트리니티신학교(Trinity Evangelical Divinity School) 석사(The. M.) 졸업
미국 웨스턴신학교(Western Seminary) 재학 중
장로회신학대학원(M. Div.) 재학 중
역서
《기독교와 종교의 다원성》(베드로서원, 2021)
《유일한 하나님 그리고 예수》(베드로서원,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