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제조업이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약 25%로 OECD(평균 13%) 회원국 대비 최상위권이다. 이를 고려할 때 한국에서 제조업은 국가 경제발전 과정의 핵심 산업으로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고 볼 수 있다.
제4차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기술, 경제, 사회 등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이 도래하면서 제조산업에서의 변화와 혁신이 촉진되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등 첨단기술의 발전은 생산체계의 변화를 가져왔고, 한편으로는 코로나 팬데믹에 의한 비대면 요구가 증가하면서 제조산업의 디지털 전환 도입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한편 코로나19로 촉발된 글로벌 제조의 공급체인 붕괴와 미·중 간 기술패권 경쟁으로 자국 우선주의, 보호무역, 공급망 내재화 등이 확산되면서 제조업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렇게 급변하는 기술·산업·경제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제조혁신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전통적인 제조산업에서 경쟁력을 가진 우리나라가 제4차 산업혁명의 패러다임 속에서 제조산업의 지속적인 글로벌 역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로봇, 디지털 트윈 등을 바탕으로 한 디지털 전환을 통해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가속화하여 생산성 향상, 비용 절감, 운용 효율성 개선 등 제조산업의 혁신을 보다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Contents
1부 미래 전략과 글로벌화
제1장 인더스트리 5.0 시대의 지속 가능한 제조업
제2장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 전략과 정책적 시사점
제3장 스마트 제조, ICT 기술 활용 산업 동향
제4장 글로벌화의 쇠퇴와 제조업의 재편
2부 제조혁신
제5장 제조산업을 둘러싼 환경변화와 전략적 제조산업 육성 방향
제6장 글로벌 제조강국의 제조혁신 정책과 한국에의 시사점
제7장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제조혁신 방향
제8장 제조혁신과 오픈 이노베이션
제9장 등대공장 현황 및 육성 방안
3부 기술과 산업생태계
제10장 디지털 트윈과 제조혁신
제11장 제조로봇의 산업경쟁력 : 국내 협동로봇
제12장 디지털 트윈 기반 가상 클러스터와 제조혁신
제13장 메타버스로 구현되는 미래공장 3.0 : Return of Manufactu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