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수업 평가

$23.00
SKU
979119172462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4/06/20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91724622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다양한 실천 방안 제공
학생 주도성을 위한 준비와 실행 과정을 수업과 사례 중심으로 구체적 제시
기초소양을 키우는 AI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안 제시
성취기준 기반의 논·서술형 평가 방안과 루브릭 제작 방법 소개

2022 개정 교육과정은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해 ‘핵심 아이디어 중심의 수업 설계, 교과 내 영역 간 및 교과 간 내용의 연계성 고려, 삶과 연계한 의미 있는 학습, 탐구 방법의 학습 및 학습에 대한 성찰, 기초소양 학습’ 등을 강조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새롭게 등장한 개념인 핵심 아이디어는 해당 교과의 얼개를 드러낸 것으로, 교사가 가르치는 게 아니다. 학생들의 주도성과 역량을 키웠을 때 이해하고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하게 보일 수 있다. 이런 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안내서가 바로 이 책이다.

AI 디지털 교과서(AIDT)가 등장했지만, 수업의 모든 것을 AI 디지털이 해결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수업은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조화를 추구해야 우수한 성과를 낼 수 있다. AI 시대에도 학교 교육은 학생과 교사가 함께 주도성을 발휘하여 사유 역량을 키워야 한다.

AI로만 수업하는 실험은 미국에서 진행된 적 있고 실패로 판가름 났다. AI 디지털 교과서는 수업의 한 요소다. 미래형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주도하게 되고 AI 교과서를 활용하기도, 다른 교재로 공부할 수도 있다(정제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원장). 이런 맥락에서 이 책은 깊이 있는 학습의 전반에 관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더불어 협력 학습과 개별 학습의 실천을 위한 준비와 실천 과정도 자세히 안내하고 있다.

이 책의 안내에 따라 수업 평가를 설계하면 모든 교과(목)에서 2022 개정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의 가치를 더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론을 최소화하여 실용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다양한 활동을 활동지와 함께 제공하고 있다. 이것은 이 책이 가지는 가장 큰 미덕이다.
Contents
책을 펴내며

1장.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이해

1. 수업 평가 차원의 총체적 이해
2. 교과 교육과정 문서체제의 변화
(1) 내용 체계 변화
(2) 핵심 아이디어의 이해
(3) 핵심 아이디어 발견을 위한 수업
(4) 내용 요소의 이해
(5) 성취기준의 이해
(6) 성취기준 기반의 수업 · 평가 · 질문의 설계
3. 깊이 있는 학습과 역량 구현 교육과정
(1) 깊이 있는 학습의 의미
(2) 깊이 있는 학습과 역량 구현
(3) 전이로서의 역량

2장.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수업 평가

1. 핵심 아이디어 중심의 수업 설계
(1) 핵심 아이디어 중심의 수업 설계 이해
(2) 핵심 아이디어 중심의 수업 설계 사례
2. 교과 내 영역 간 연계성을 고려한 학습
(1) 한 교과 내 영역 간 전이 역량 키우기
(2) 한 교과의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전이 역량 키우기
3. 교과 간 내용의 연계성을 고려한 학습
(1) 두 개 교과의 성취기준을 기반으로 전이 역량 키우기
(2) 교과 간 내용 연계성을 고려한 전이 역량 키우기
4. 삶과 연계한 의미 있는 학습
(1) 삶과 연계한 의미 있는 학습의 이해
(2) 삶과 연계한 의미 있는 학습 활동
5. 탐구 방법의 학습 및 학습에 대한 성찰
6. 기초소양 학습
(1) 기초소양의 이해
(2) 기초소양을 키우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3) 언어 소양을 키우는 수업
(4) 수리 소양을 키우는 수업
(5) 디지털 소양을 키우는 수업

3장. 학생 주도성의 이해

1. 현실 상황을 고려한 이해
2. 개념 차원의 이해
3. 성취기준 차원의 이해
4. 학생 주도성 신장을 위한 고려 사항

4장.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수업 평가 준비

1. 역량 검사와 모둠 구성 및 질문과 발표 방법 설계
2. 인지적 영역의 역량 검사하기
3. 정의적 영역의 역량 검사하기
4. 학습 역량 프로파일 구성하기
5. 협력적 소통을 위한 모둠 구성하기
6. 탐구 역량을 키우는 질문 설계하기
(1) 핵심 질문 만들기
(2) 성취기준 수준 핵심 질문 만들기
(3) 내용 요소 중심의 탐구 질문 만들기
(4)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질문 만들기
(5)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을 위한 질문 만들기
7. 창의적 발표 방법 설계하기
(1) 스토리텔링(storytelling) 방식의 발표
(2) 핫시팅(hot seating) 방식의 발표
(3) 역할 전환 방식의 발표
(4) 창의적 아이디어를 활용하는 방식의 발표
(5) 모둠을 창의적으로 조합하는 방식의 발표

5장.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수업 평가 설계

1.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수업 평가 설계
(1)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수업 평가 설계의 의미
(2)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수업 평가 설계 방법
2. 사유 역량을 키우는 활동지 만들기
(1) 빈칸 중심의 활동지 만들기
(2)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포괄하는 활동지 만들기
(3) 수행과제 처리에 적합한 활동지 만들기
(4) 모둠마다 다른 활동지 만들기
(5) 디지털과 아날로그의 조화를 추구하는 활동지 만들기
(6) 창의력을 키우는 활동지 만들기
(7) 내용 요소 중심의 활동지 만들기
(8) 학생들이 직접 활동지 만들기
(9)KWL 일람표 형식의 활동지

6장. 학생 주도성을 강화하는 수업 평가 활동

1. 학생 주도성을 강화하는 수업 활동
(1) 협력적 소통을 위한 협력 학습
(2) 다양성과 선택권을 존중하는 개별 학습
2. 2022 개정 교육과정과 평가
3. 학생 주도성을 강화하는 평가
(1) 평가 관점에 대한 사고 전환
(2) 학습의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3) 공동 주도성을 키우는 평가
(4) 외부평가 기회 부여
(5) 유쾌한 상상력을 키우는 평가
4. 성취기준 기반의 논 · 서술형 평가
(1) 성취기준 기반의 논 · 서술형 평가의 이해와 절차
(2) 성취기준 기반의 논 · 서술형 평가의 교과목별 사례
(3) 논 · 서술형 평가를 위한 수업
(4) 배움의 목표에 따른 논 · 서술형 평가 결정
5. 정의적 영역 평가를 위한 루브릭 만들기
(1) 정의적 영역 평가의 이해
(2) 정의적 영역 평가를 위한 루브릭 제작의 이해
(3) 정의적 영역 평가를 위한 루브릭 구성 사례
(4) 루브릭의 기대 효과
6. 학생 주도성을 키우는 피드백 활동
(1) 피드백의 의미와 원칙
(2)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의 균형 잡힌 피드백
(3) 과정과 결과의 조화로운 피드백
(4) 구두 피드백과 서면 피드백의 선택
(5) 자기평가와 동료평가를 통한 피드백
(6) 핵심 질문 중심의 피드백
(7) 총괄평가 중심의 피드백
(8) 학생과 교사의 공동 피드백
Author
권영부
미디어 교육 1세대로서 신문활용교육(NIE), 뉴스 리터러시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의 변화 과정에 알맞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천하고 있다. 교육부, 전국 시도교육청과 교육연수원, 초·중·고등학교, 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원, 학생 대상 미디어 교육 강사로 활동하고 있고,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신문협회, 시청자미디어재단,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전국 도서관 등에서 강사, 학부모, 교사, 교장, 교감 선생님 대상 강의도 하고 있다. 그동안 『신문을 활용한 교과지도·수행평가·논술지도』, 『신문으로 논술잡기』, 『신문으로 하는 인성교육』(공저), 『뉴스, 제대로 알고 즐기기』 등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책을 발간했다. 프랑스국립미디어교육센터(CLEMI) 교육과정을 이수했고, 현재 서울 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로 재직 중이며, NIE한국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을 키우는 수업·평가 활동을 교육 현장에서 실천하면서 이 분야의 강의도 하고 있다. 그 밖에도 논술교육, 융합교육 등의 강의를 초·중·고등학교, 언론기관과 사회교육기관 등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
미디어 교육 1세대로서 신문활용교육(NIE), 뉴스 리터러시 교육,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의 변화 과정에 알맞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천하고 있다. 교육부, 전국 시도교육청과 교육연수원, 초·중·고등학교, 대학과 대학원에서 교원, 학생 대상 미디어 교육 강사로 활동하고 있고,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신문협회, 시청자미디어재단, 한국콘텐츠진흥원,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전국 도서관 등에서 강사, 학부모, 교사, 교장, 교감 선생님 대상 강의도 하고 있다. 그동안 『신문을 활용한 교과지도·수행평가·논술지도』, 『신문으로 논술잡기』, 『신문으로 하는 인성교육』(공저), 『뉴스, 제대로 알고 즐기기』 등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책을 발간했다. 프랑스국립미디어교육센터(CLEMI) 교육과정을 이수했고, 현재 서울 동북고등학교 수석교사로 재직 중이며, NIE한국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최근에는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을 키우는 수업·평가 활동을 교육 현장에서 실천하면서 이 분야의 강의도 하고 있다. 그 밖에도 논술교육, 융합교육 등의 강의를 초·중·고등학교, 언론기관과 사회교육기관 등을 통해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