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성적을 넘어 한 뼘 성장을 돕는
$20.52
SKU
979119172420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Tue 05/13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ue 05/6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2/23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91724202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교수평기 일체화’ 저자 김덕년, ‘나의 책 읽기 수업’ 저자 송승훈 적극 추천도서!

교육은 스스로 가치 있다는 것을 보여줄 수 없을 때만 교육이 된다


소수의 성공하는 아이들이 아닌, 교실에서 만나는 다수의 아이들을 제대로 가르치고 싶다는 출발점에서 시작한 한 교사의 고민은 결국 성적이 아닌 성장에 방점을 둔 수업을 만들기 위한 수많은 노력들로 귀결되었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며 ‘어떻게 가르치느냐?’보다 더 중요한 것은 ‘누구에게 무엇을 가르치느냐?’ 더 나아가 ‘누가 무엇을 어떻게 배우느냐?’에 대한 고민이 더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은 저자가 같은 방향을 보고 있는 동료들과 함께 일구어낸 진짜 수업을 위해 몇 번이나 실패하고, 간혹 작은 성공을 이룬 현장의 기록이다. 이 책은 진정한 교사로 나아가고자 하는 일선의 교사들이 학교현장의 우리 아이들에게 성적보다 성장에 방점을 둔 진짜 수업을 만들고, 평가하고, 기록하는 것까지 하나의 줄기로 이어나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Contents
Ⅰ. 수업은 언제나 실패한다, 그래서 늘 수업을 고민해야 한다

1. 수업을 실패하다
2. 관계와 소통을 배우다
3. 다시 수업을 고민하다

Ⅱ. 왜 교육과정을 읽어야 하는가?

1. 교사는 무엇을 하는 사람일까?
가. 고민 1. 교사는 무엇으로 정체성을 말할 수 있는가?
나. 고민 2. ‘학생을 교육한다’는 학생을 ‘가르치다’와 동일한 의미일까?
2. 나와 마주하고 있는 아이들의 배움의 목적은 무엇일까?
가. 고민 3. ‘잘 배움’의 의미가 성적 향상과 성공에만 있을까?
나. 고민 4. 잘 배움의 의미를 성장으로 확장할 수 있을까? 55
3. 교육적 성장과 교육과정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가. 고민 5. 학생들은 어떻게 교육적으로 성장하는 것일까?
나. 고민 6. 교육과정을 왜 읽어야 할까?

Ⅲ. 내 교실로 가져가기 위한 교육과정을 어떻게 디자인할까?

1. 교사가 교육과정을 왜 써야 하는가?
2. 어떤 단계로 교육과정을 쓸 수 있을까?
3. 교과 교육과정을 어떻게 쓸까?
가. 교과서를 활용하여 성취기준 가르치기
나. 방법 1. 성취기준 분석하기
다. 방법 2. 성취기준을 교실 실천용으로 구체화하기
라. 방법 3.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으로 일체화하기
마. 방법 4. 한 학기 교과 교육과정 디자인하고 실행하고 피드백 받기
4. 성취기준을 재구성하는 구체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가. 순서 바꾸어 스토리화하기
나. 구체화하기
다. 압축하기
라. 통합하기

Ⅳ. 내가 만든 교육과정을 어떻게 교실로 가지고 갈까?

1. 수업 방법을 바꾸어야 할까?
가. 수업방법에 골몰하다 수업을 다시 실패하다
나. 누가 무엇을 배우느냐에 따라 어떻게 배우느냐를 결정하다
다. 3단계로 수업을 고민하다
라. 어께에 힘 빼고 수업 나누고 성찰하다
마. 행사를 수업과 연계하다
2. 평가는 어떻게 해야 하나?
가. ‘다시 되묻기’를 평가의 원칙으로 세우다
나. 변별과 피드백 사이에서 고민하다
다. 다시 피드백 평가를 설계하고 실천하다
라. 다시 평가를 생각하다
3. 기록은 어떻게 해야 하나?
가. 학교생활기록부를 쓴다는 것의 의미는?
나. 학교생활기록부(교과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를 어떻게 쓸까?
다. 실제로는 어떻게 썼을까?

ⅴ.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수업에 물들다

1. 교수평기 일체화 수업 활동을 뒤돌아 보다
가. 만들어 가는 교육과정을 혼자 시도해 보다
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수업을 함께 해 보다
2.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의미를 다시 새기다
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동아리 활동을 하다
나.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의 진정한 의미를 성찰하다
다. 진정한 학생중심의 교사교육과정을 꿈꾸다
라. 마치며

부록 | 내 교실에서 바로 써 먹을 수 있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 디자인하기(양식)
Author
이명섭
36년간 국어교사, 10년간 수석교사, 3년간 경희대 교육대학원 혁신전공 겸임교수로 재직하였으며, 공저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실천편)』(2017, 에듀니티), 참여 논문으로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2022, 교육부), 「역량함양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2021, 교육부) 등이 있다. 2015년부터 교수평기일체화 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생 성장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수업과 평가와 기록의 일체화’에 대해 고민하고 성찰하고 실천한 현장 경험을, 다양한 원격연수나 현장 강의를 통해 확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몸집이 커서 아이들이 ‘슈렉’이라고 부른다. 본인은 ‘슈퍼 렉쳐’(대강의자)가 되고 싶어 하나, 아이들은 ‘슈렉샘, 슈렉기, 쓔레기’ 등으로 다양한 평가를 하는 평범한 교사일 뿐이었다. 다만, 영화 속 슈렉이 그랬듯이 기존 통념을 깨고, 교육적 가능성과 상상력을 발휘하고 싶었던 교단 교사로서는 기억되고픈 바람이 있다.
36년간 국어교사, 10년간 수석교사, 3년간 경희대 교육대학원 혁신전공 겸임교수로 재직하였으며, 공저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 일체화(실천편)』(2017, 에듀니티), 참여 논문으로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2022, 교육부), 「역량함양 국어과 교육과정 재구조화 연구」(2021, 교육부) 등이 있다. 2015년부터 교수평기일체화 동아리 활동을 통해 ‘학생 성장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수업과 평가와 기록의 일체화’에 대해 고민하고 성찰하고 실천한 현장 경험을, 다양한 원격연수나 현장 강의를 통해 확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몸집이 커서 아이들이 ‘슈렉’이라고 부른다. 본인은 ‘슈퍼 렉쳐’(대강의자)가 되고 싶어 하나, 아이들은 ‘슈렉샘, 슈렉기, 쓔레기’ 등으로 다양한 평가를 하는 평범한 교사일 뿐이었다. 다만, 영화 속 슈렉이 그랬듯이 기존 통념을 깨고, 교육적 가능성과 상상력을 발휘하고 싶었던 교단 교사로서는 기억되고픈 바람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