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의 성장을 돕고 공동체의 행복을 위한 첫 걸음
네 명의 전문가가 말하는 ‘결과가 아닌 과정을 중시하는 공간혁신’,
세상과 소통하는 공동체의 내일을 위해 꿈꾸고 그리고 설계하다.
교육은 백년대계(百年大計)를 넘어 만년대계(萬年大計)다. 큰 그림을 보면서 시작하는 교육이니 만큼 어떤 한계를 두고 무언가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는 건 이제 상식이 되었다. 즉 우리는 온 세상을 통해 배운다. 학교 밖 세상에 내가 마주치는 모든 이들로부터, 모든 공간에서 우리는 배운다. 마찬가지로 아이들만 배우는 것도 아니라는 말이다. 학교라는 물리적 공간은 그에 속한 학생들에게 선생님이 일방적인 배움을 주는 공간처럼 느껴진 것이 우리의 전통적인 학교 공간이었다면, 학교가 지역사회의 중심이 되도록 학교 시설을 지역과 공유하며,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상호교류가 가능한 열린 공간이 되는 게 바로 미래학교이고, 미래교육이다.
Contents
제1장 미래학교 공간의 의미찾기
I. 왜 공간인가?
II. 서구학교 공간 변화의 움직임
19~20세기 전환기, 개혁교육운동기의 상황│1970년대 이후의 상황
III. 공간체험 : 공간과의 내적 교류 혹은 공간에 대한 정서적 느낌의 문제
IV. 교육과정의 실현을 위한 공간 문제
V. 가상 공간과 자연 공간
가상공간│자연공간
VI. 공간의 상상력을 더하기 위해
* 부록 한국서원이 주는 학교 공간에 대한 영감
* 부록 한옥학교 건축 실천사례_정수초 한옥도서관-인터뷰를 통해서 보기
제2장 미래학교 상상하기
I. 미래사회를 대비하는 학교의 변화
OECD 미래학교 6단계 시나리오│스마트한 미래학교를 상상하다
II. 왜 학교 공간은 변화해야 하는가?
III. 미래학교는 공동체의 행복을 위해 스스로 질문한다
모두가 반기는 공간│사용자 참여=민주주의의 시작
IV. 우리는 새로운 환경에서 배울 준비가 되어 있는가?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배움 환경을 재구조화하자│혁신적 운영 모델을 위해서 새로운 학습환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교육과정과 연계한 공간재구조화, 미래학교로 모두 함께 가보자!!
V. 미래학교와 주체별 역할
유기적인 관계와 미래지향적인 시대의 요구│미래학교의 중요한 가치 찾기
VI. 미래학교를 준비하고 있다면
미래학교에 가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꿈꾸어야 하는가│‘왜 학교 공간이 바뀌어야 하는가’에 대해 알기│과정을 즐길 줄 아는 여유 찾기│3년간의 장기간 프로젝트 학습과정│미래학교를 기획한다는 것은?│학생의 성장을 짓는 미래학교
제3장 학습자를 위한 공간재구조화
I. 학교 공간이 지녀야 할 본질
인간은 잠재적 공간이 필요하다│인간을 신뢰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인간의 창의성은 다양한 공간을 필요로 한다│인간은 친환경적인 공간이 필요하다
II. 학교 공간 재구조화의 정의와 방향 설정
학교 공간 재구조화의 재정의│학교 사용자는 학생만 있는 것이 아니다│학교 공간을 보면 아이들에 대한 생각이 보인다│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
III. 학교 공간 재구조화 디자인 가이드
위치선정이 공간 활용의 70퍼센트를 좌우한다│벽을 허물어야 공간이 혁신된다│내구성이 높은 마감 재료를 사용해야 한다│범죄예방 환경설계를 적용하면 활용도가 높아진다
IV. 사용자 참여디자인 운영원칙
단순히 의견을 들어주는 것은 사용자 참여디자인이 아니다│그냥 나오는 아이디어는 없다│워크숍의 주체는 학생이 아니고 모두이다│인사이트 투어는 관람 시간이 아니다
제4장 미래학교 사전기획, 무엇을 담을까
I. 교육기획 접근하기
II. ‘우리’라는 공간으로 초대하기
교육공동체의 일상으로 함께 하기│교육기획 워크숍 약속 정하기
III. 공감대 형성하기
미래학교 구성원 캐릭터 설정과 변화된 모습 상상하기│현재 학교 공간하면 떠오르는 이미지 그리기│우리 학교에서 인상적인 공간과 이유 나누기│모둠별 상황 상상하고 이어쓰기│관련 영상자료를 보고 모둠원과 나누기│미래학교에 대한 이해도 높이기│우리 학교가 속한 지역에 대한 SWOT분석하기
IV. 미래교육을 위한 질문하기
학생과 교사의 모습 바라보기│2030의 사회, 학교, 교사 상상하기│개인이 느끼는 미래교육 공유하기│미래교육에 관한 Y 토론
V. 미래학교로 구체화하기
우리 학교의 미래교육 비전 생각해보기│미래 학습자 역량과 이를 지원하는 수업│미래학교로 가는 과정 정리│미래 학교로 가는 과정의 이해관계자
VI. 교육기획 설계하기
VII. 미래교육, 학교 공간 재구조화와 연결하기
교육기획 과정 공유하기│미래학교 공간 상상하기│메타버스로 미래학교 공간 구현해보기
Author
송순재,김은미,박성철,송경훈
독일 튀빙겐대학교(Eberhard Karls Universitat in Tubingen) 사회과학 박사(교육철학 전공).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서울시교육연수원장,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저, 역서로 『상상력으로 교육에 말걸기』(저서), 『사유하는 교사』(역서), 『덴마크 자유교육』(편저), 『혁신학교, 한국교육의 미래를 열다』(편저), 『꿈의 학교, 헬레네 랑에』(역서), 「근대 기독교 민족운동에서 기독교와 민족 간의 관계 해명: 함석헌과 그룬트비(N.F.S. Grundtvig)의 관점에 비추어」(논문) 외 다수가 있다.
독일 튀빙겐대학교(Eberhard Karls Universitat in Tubingen) 사회과학 박사(교육철학 전공). 감리교신학대학교 교수, 서울시교육연수원장,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저, 역서로 『상상력으로 교육에 말걸기』(저서), 『사유하는 교사』(역서), 『덴마크 자유교육』(편저), 『혁신학교, 한국교육의 미래를 열다』(편저), 『꿈의 학교, 헬레네 랑에』(역서), 「근대 기독교 민족운동에서 기독교와 민족 간의 관계 해명: 함석헌과 그룬트비(N.F.S. Grundtvig)의 관점에 비추어」(논문) 외 다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