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짜 이기적인 교사

각자도생하지 않고 함께 살아가는 행복한 학교를 위한 동력
$17.28
SKU
979119172410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2/25
Pages/Weight/Size 152*225*20mm
ISBN 9791191724103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이기주의와 이타주의, 가장 근본적 질문에 대한 담론

스스로에게 질문을 해보자. 당신은 이기적인가, 이타적인가. 이에 대해 바로 대답을 할 수 없는 까닭은 내가 “나”라는 자신을 잘 몰라서 일 수도 있지만, 자신에 대해 명확한 정의를 갖고 있는 사람도 타인을 의식하거나 혹은 자신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인정하기 싫어서 일 수도 있다. 어쩌면 내심 ‘나는 이기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하면서도 타인의 시선과 마주하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기적이면서도 이타적인 인간이 되기도 한다. ‘죄수의 딜레마’나 ‘공유지의 비극’ 같은 경제학적인 논쟁이 이를 잘 반영한다.

인간은 이기주의적 성향을 기본적으로 품고 있다. 다른 누군가보다 월등하기를 원하는 것. 학생이 좋은 성적을 위해 공부에 힘쓰고, 직장인이 남들보다 더 나은 사회적인 지위나 성취를 위해 애쓰고 매진하는 것에 이기적이라고 욕할 수는 없다. 혹자는 인간이 ‘이기적인 유전자’ 때문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그 반대로 인간은 완벽하게 이타적인 존재일 수도 없다. 남에게 도움이 되는 결과를 추구함으로써 스스로 행복을 달성할 수 있을 뿐이다. 이타적인 행동으로 말미암은 이기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그에게 돌을 던질 수는 없는 문제다. 우리는 흔히 이타주의를 좋은 것으로, 이기주의를 좋지 않은 것으로 막연히 생각하지만, 최근 코로나19 등으로 흔들리는 세상에서 우리는 이기주의와 이타주의에 대한 통념을 되짚어볼 필요가 있다.
Contents
제1장 각자도생(各自圖生) 학교

학교 공유지의 비극 그걸 꼭 내가 해야 하나요? | 항상 배신하라! 언제나 무임승차가 답이다! | 딜레마, 그리고 비극을 희극으로 바꿔쓰는 교사들
각자도생 얽히고설킨 관계? | 교사도 감정노동자다 | 다양한 세대의 공존 | Latte is Horse | 집단지성보다 개인주의
나의 이익 vs 행복한 학교 개인의 이익과 모두의 행복은 갈등한다 | 갈등의 해결, 결국 사람이다
현명하게, 때로는 이기적으로, 때로는 이타적으로 뻔뻔한 이기주의자 | 진지한 이타주의자 | 현명한 이기주의자
함께 참여하기 교사 행복 지수는 얼마나 될까?

제2장 이기적 교사, 협력하지 않는 학교

학교 딜레마 교사 공동 휴게실 관리의 딜레마 | 학교폭력업무 배정의 딜레마
눈에는 눈, 이에는 이 갈등하는 두 교사, 누가 더 옳은가? | 흡혈박쥐 이야기에서 찾은 해답은?
사익 대 공익 BLACK DOG
우물 안 개구리 교실에 고립된 교사들 | 네모의 꿈
눈치 9단 코로나19와 불확실성 | 자율성 축소, 눈치 보는 교사들
불안한 교사 우리 선생님들이 힘들어요!
나만 그래? 난감한 C교사
그냥 하던 대로 해! 새로운 변화 시도는 누구의 몫일까? | 보수주의는 좌절을 가져온다
슈퍼맨 콤플렉스 죄의식과 완벽주의
사촌이 땅을 사면 배가 아프다 질투와 분노는 협력을 어렵게 한다 | 능력주의(Meritocracy)
함께 참여하기 우리 학교의 협력문화 유형은?

제3장 이기적 교사, 그래도 협력하는 학교

찝찝한 이기주의 만약, 선생님이라면? | Give and Take
우리가 남이가! 학연, 지연 | 학연, 지연이 없다면?
우리, 끼리끼리 동(同) 학년 협력 | 동 학년 간, 교과 간 협력으로
Lei it go! 의도된 협력 | 협력은 저절로 일어날까?
전문적 학습공동체 ‘전’ 빠진 학공 | 공학전 | 상호작용의 시작
뭉쳐야 살아남는다 학교 밖 전학공 | 네트워크 | 무늬만 전학공 협력의 제도화 학교자치기구의 제도화 | 제도와 문화의 줄타기
조건부 협력 품새 : TFT | 실전 : 반복과 평판
‘협력’ 다시 생각하기 갈탄광 vs 포도주 | 포도주를 찾아서
함께 참여하기 최후통첩 게임과 신뢰 게임 : 과연 인간은 이기적인가?

제4장 진짜 이기적 교사, 협력의 가치로 학교 문법을 다시 쓰다

협력의 걸림돌 치우기 협력은 정서의 문제인가? | 협력은 태도의 문제인가? | 협력하는 방식(상호작용)의 문제인가? | 협력과 경쟁의 이분법을 넘어 : ‘협력형 경쟁’(co-opetition)으로~ | ‘협력형 경쟁’ : 무조건 협력 vs. 조건부 협력
진짜 이기적인 교사는 무엇으로 사는가? 유연한 협력 : 이기성과 이타성의 경계 허물기 | ‘블랙박스 속 협력’ | ‘저분은 참 TFT하다’… | 협력의 지렛대, TFT vs. WSLS | 학교 협력 지수(CQ) = DQ + EQ | ‘현명한 이기주의’에서 ‘온전한 이기주의’로
찐 교사 방정식 기초적인 인적 자본 | 왜, 제 실력을 발휘하지 못할까요? | 함께 도생하는 인적 자본 | 당기고 밀고 찌르는 사회적 자본 | 문제는 관계를 통한 신뢰 | ABC에서 SBC로 | Pulling, Pushing, Nudging | 함께 만들어가는 의사결정적 자본 | 협력하는 형태, 내용 바꾸기 | 집단적 의사결정, 효능감으로 돌아오다 | 야, 우리 찐 하자!
협력의 촉진자로서의 교장 교장을 벙커에 가두지 말라 | 교사, 학부모, 교장의 동상이몽 | 교장의 협력적 리더십 | 명확한 원칙주의자 | 따뜻한 배려주의자
협력의 확장 : 범위와 층위, 관점의 전환 ‘동료로서의 관심’ vs. ‘타자로서의 무관심’ | 일상성, 동료성, 합리성과 공정성, 연계와 통합 | 학교가 신발을 신는 사이, 학교 밖은 세상의 절반을 달린다! | 학교 협력의 관점 : 학교마피아(?)에서 학교생태주의로
함께 참여하기 우리 학교의 사회적 자본 점수는 얼마나 될까?
Author
이지명,이병희,이진희,최종철,홍석노,이대성
경기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정책과 장학관, 교육학박사-윤리교육전공. 경기도교육청에서 근무하며 학교민주주의와 민주적 학교문화 구현을 지원하였다. 현재는 학교, 교육지원청, 도교육청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학교 밖 교육과 학교교육의 관계성 속에서 시민으로서 살기 위해 필요한 도구인 리터러시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에 적응하고, 미래를 꿈꾸는 시민으로 살기 위한 전제는 자신이 처해 있는 세계를 정면으로 응시하며 삶의 방식과 양상을 다양한 관점으로 독해하여, 이를 바탕으로 참여하고 행동하는 역량이 필요한 시대이기 때문이라고 믿고 있다.
경기도교육청 마을교육공동체정책과 장학관, 교육학박사-윤리교육전공. 경기도교육청에서 근무하며 학교민주주의와 민주적 학교문화 구현을 지원하였다. 현재는 학교, 교육지원청, 도교육청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학교 밖 교육과 학교교육의 관계성 속에서 시민으로서 살기 위해 필요한 도구인 리터러시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급변하는 시대에 적응하고, 미래를 꿈꾸는 시민으로 살기 위한 전제는 자신이 처해 있는 세계를 정면으로 응시하며 삶의 방식과 양상을 다양한 관점으로 독해하여, 이를 바탕으로 참여하고 행동하는 역량이 필요한 시대이기 때문이라고 믿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