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에 수록된 연구 성과들은 붓다 전기 혹은 붓다관의 지역적 형상화 과정과 특징을 다룬다. 기본적으로는 남전과 북전의 전파경로, 그리고 남방불교와 북방 불교에서 형상화한 붓다 전기의 특징적 양상과 그 배경에 대한 개략적 스케치를 제시한다. 불교 내적인 측면의 변화 양상과 외적인 측면 곧 문화 · 민족 · 사회 · 지리 등의 측면과의 연관관계 등에 대한 부분적인 검토 역시 포함되어 있다. 불교의 보편화는 기본적으로 불교의 지역화를 포함하고 있음을 놓치지 않는다는 점에 서도 이 책의 연구 성과들이 시사하는 지적들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불교를 바라보고, 불교에 접근하는 다른 층위의 시각이 불교의 이해를 더욱 풍성하게 하는 동시에 한국불교가 새롭게 사회에 접근하는 방법론적 다 양성을 발견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라 기대한다.
Contents
간행사|불교로 읽는 인문과 사회, 인문과 사회에 응답하는 불교
편집자 서문|왜 붓다전기의 변용 양상에 주목해야 하는가?
떼라와다Theravada의 붓다관
-Pubbakammapiloti를 중심으로_정 덕박청환
Ⅰ. 들어가는 말_____25
Ⅱ. 비 떼라와다 부파들의 관점_____27
Ⅲ. 떼라와다의 관점_____31
Ⅳ. 떼라와다 불교에서의 Pubbakammapiloti_____34
Ⅴ. 맺는말_____46
본생담의 북전과 대승경전으로의 전환
-지역적 특수성과 민족성에 따른 붓다 바라보기 방식의 차이_한지연
Ⅰ. 문제제기: 본생담 번역에 끼친 대승불교의 영향_____51
Ⅱ. 본생담의 북전, 한역漢譯의 역사와 의의_____53
Ⅲ. 믿음의 대상, 붓다에서 경전으로_____61
Ⅳ. 문제제기에 대한 일부 해답과 향후 과제_____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