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평가에 질문하다

평가를 둘러싼 교사 공동체의 학습, 실행, 성찰의 기록
$17.28
SKU
979119163805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hu 05/30 - Wed 06/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Mon 05/27 - Wed 05/2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2/30
Pages/Weight/Size 148*210*17mm
ISBN 9791191638059
Categories 사회 정치 > 교육
Description
학생과 교사가 더불어 성장하는 ‘학생평가’, 어떻게 해야 할까?

사회적 변화, 교육과정의 변화, 학습자의 변화는 더 이상 새로운 이야기가 아닌 너무나 익숙해진 것들이다. 하지만 아무리 외부적 환경이 변한다고 해도 교사 스스로 고민하고 실천하고 성찰한 것이 아니라면 변화로 이어질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교사 스스로가 원하는 변화를 이끌어 낸다면, 그 자체만으로도 교사 자신뿐 아니라 학생들에게도 큰 의미가 될 수 있다. 교사라면 누구나 스스로 이런 질문을 던져 보았을 것이다.

‘나는 왜 교사가 되었는가?’

학생들이 사회적 변화에 잘 대응하도록 돕는 교사, 교육과정을 잘 이수하도록 하는 교사이기 이전에 스스로 다짐한 신념과 목표 그리고 욕구를 떠올려 볼 것이다.

‘나는 어떤 수업을 하고 싶었는가?’, ‘내가 생각하는 평가는 어떤 것인가?’
그런데 현실에서는 이러한 생각을 할 겨를도 없이 많은 교사들이 수업과 평가를 마무리한다. 어쩌면 많은 교사들이 추구하는 수업 평가 혁신은 자신 안의 요구, 신념, 철학보다는 지침과 민원, 마감 등의 행위로부터 떳떳하기 위한 것이 아닐까? 가치를 규명하고 인간의 변화를 관찰·해석하는 행위로서의 ‘평가’가 아닌 나이스 입력을 위한 평가, 입시를 위한 평가에 모든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되돌아볼 일이다.

교사의 ‘수업’이라는 행위는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요구를 수용함과 동시에 자기 내면의 요구와 만남으로써 이뤄져야 한다. 교사에게 요구되는 규범과 사회적 변화만을 따르는 것은 자신에게 ‘나쁜 수업’이 될 것이다. 또한, 자기 내면의 소리에만 귀 기울인 나머지 외부의 규범과 요구를 무시하는 것도 ‘나쁜 수업’이라는 질책을 면하기 어렵다. ‘나쁜 수업’이라는 오명을 벗고, 당당하게 주체 간의 만남인 ‘나’뿐 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자신의 신념과 외부적 요구의 조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외부적 변화, 각종 규정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그리고 교사들에게는 수업과 평가를 돌아볼 시간, 즉 일종의 성찰 행위가 필요하다.

그동안 그토록 많은 평가를 해 오면서도 자신 있게 스스로를 평가 전문가라고 말하기 어려운 현실과 마주하며, 저자들은 각각의 사례를 통해 학생평가를 둘러싼 고민과 학습 그리고 실행과 성찰의 과정을 공유한다. 또한 독자들이 이러한 사례들의 결과보다는 저자들이 맞닥뜨린 고민과 학습, 실행과 성찰의 과정에 초점을 두고 읽기를 권하며, 주위의 동료 교사들과 함께 자신의 맥락 안에서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나가 보자고 한다.
Contents
프롤로그

1장 평가, 다시 짚어 보기_평가 관련 법령, 설계, 관점

1. 교육과정-수업-평가 규정, 얼마나 활용하고 있을까?
교육과정-수업-평가 법령 문해력?
교육과정-수업-평가 관련 법령
교육과정-수업-평가 자율권

2.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을 연계한다는 것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란?
다시, ‘왜 우리는 지금’ 일체화를 얘기하는가?
일체화, ‘어떻게’ 해야 할까?
낯섦, 어벤져스 그리고 수업 철학

3. 과정중심평가, 어떤 관점으로 바라보는가?
‘과정중심평가’란?
과정중심평가, 어떻게 해야 할까?
과정중심평가, ‘아직’과 ‘이미’ 사이

2장 평가, 연구와 실천 그리고 성찰하기_교과별 사례 탐색

1. 평가의 핵심, 타당도에 주목하라!_영어과 사례를 중심으로
선생님, 근데 이거 왜 해요?
타당도의 개념과 의미
타당도, 어떻게 높일 것인가?
타당도에서 아쉬운 지점이 발견된다면?
대화1) 각 과목의 교사들은 타당도를 어떻게 생각할까?

2. 성취평가제, 점수의 기술_수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점수는 어떻게 주어야 할까?
성취평가제, 무엇이 달라졌는가?
성취평가제로 통계 단원 설계하기
성취평가제, 앞으로의 과제는?
대화2) 성취평가제는 학교를 변화시켰을까?

3. 테크놀로지 활용, 어떻게 할까?_국어과 사례를 중심으로
피드백의 늪에 빠지다
테크놀로지 활용의 가능성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수업, 평가, 피드백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대화3)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평가와 피드백, 학생들은 어땠을까?

4. 지필평가, 낯설게 바라보기_과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지필평가는 왜 보는 걸까?
누구나 다 안다고 생각한 지필평가
지필평가, 새롭게 도전하기
여전히 남아 있는 어려움
대화4) 학생들은 지필평가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참고문헌
Author
이은상,김준구,안영석,한얼,김동건
지금, 여기에서 우리가 꿈꾸는 교육에 대해 생각하고, 연구하고, 실천하는 교육자이다. 아득하고 머나먼 ‘아직’과 ‘이미’ 사이에서 말과 글을 통해 이미 와 있는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며, 푸른 희망의 선생님들과 함께 행동하고 있다. 교육공학 전공자로서 미래교육, 학생 중심 수업, 협력적 수업 설계 관련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전국의 선생님과 학습공동체의 수업 설계를 도와 왔다. 저서로는 《세상을 바꾸는 수업: 체인지메이커 교육》, 《대한민국 1호 미래학교》(공저), 《교사, 평가에 질문하다》(공저), 《핀란드교육에서 미래교육의 답을 찾다》(공역)가 있으며 미래교육공감연구소의 교사 연구자들과 함께 수업설계카드를 제작하였다. 학교 현장의 교사이자 대학 강사로서 학생들을 직접 가르치는 삶을 살았으며 현재는 교육 전문직으로서 학교와 선생님들이 연구하고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
지금, 여기에서 우리가 꿈꾸는 교육에 대해 생각하고, 연구하고, 실천하는 교육자이다. 아득하고 머나먼 ‘아직’과 ‘이미’ 사이에서 말과 글을 통해 이미 와 있는 미래에 대해 이야기하며, 푸른 희망의 선생님들과 함께 행동하고 있다. 교육공학 전공자로서 미래교육, 학생 중심 수업, 협력적 수업 설계 관련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전국의 선생님과 학습공동체의 수업 설계를 도와 왔다. 저서로는 《세상을 바꾸는 수업: 체인지메이커 교육》, 《대한민국 1호 미래학교》(공저), 《교사, 평가에 질문하다》(공저), 《핀란드교육에서 미래교육의 답을 찾다》(공역)가 있으며 미래교육공감연구소의 교사 연구자들과 함께 수업설계카드를 제작하였다. 학교 현장의 교사이자 대학 강사로서 학생들을 직접 가르치는 삶을 살았으며 현재는 교육 전문직으로서 학교와 선생님들이 연구하고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