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부터 전세, 청약, 주거복지까지! 사회 초년생을 위한, 모르면 손해 보는 부동산 필수 지식!”
대부분의 사회 초년생들이 집을 구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습니다.
부동산 관련 지식이 없어 중개사와 집주인의 무리한 요구에도 아무 말 못 하고 끌려가는 경우가 많죠. 어렵게 집을 구한다 해도 집 수리, 계약 연장, 보증금 반환 등 또 다른 문제에 봉착합니다.
독립을 꿈꾸는 사회 초년생들은 참 괴롭습니다.
부동산 공부의 필요성을 느껴 서점에 가지만, 일확천금을 노린 ‘부동산 투자’를 다루는 재테크 서적만이 즐비할 뿐 정작 필요로 하는 원룸 잘 구하는 방법, 전세 대출 잘 받는 법, 보증금 지키는 법, 계약서 안전하게 작성하는 법, 청약 통장 만들고 활용하는 법 등 주거와 관련된 실전 부동산 지식은 어디서도 알려주지 않습니다.
그래서 사회 초년생들이 집을 구할 때 꼭 필요한 실전 부동산 지식을 총정리한 책을 준비했습니다.
이 책이 부동산을 계약할 때 느끼는 막연한 불안감을 덜어주고, 더 나아가 사기 피해를 방지함은 물론 쾌적한 집을 더 저렴하게 구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Contents
프롤로그
Part 1. 나에게 꼭 맞는 원룸 구하기 - 월세 편
01 월세랑 전세랑 뭐가 달라요?
02 오피스텔? 빌라? 쉐어하우스? 주거 유형 살펴보기
03 비용 계획하는 법
04 라이프 스타일을 고려한 위치 정하기
05 온라인에서 매물을 찾는 방법
06 어려운 부동산 용어 이해하기
07 온라인 허위 매물에 속지 않는 방법
08 오프라인 발품으로 알짜배기 자취방 찾기
09 집 보러 가기 1 - 영업에 넘어가지 않는 법
10 집 보러 가기 2 - 체크리스트 만들기
11 집 보러 가기 3 - 가계약금 걸기
12 계약하기 전 사전 준비
13 계약서 작성하기 1 - 임대차 계약서
14 계약서 작성하기 2 - 등기부등본
15 계약서 작성하기 3 - 보증금 안전한지 계산하는 방법
16 계약서 작성하기 4 - 건축물대장 확인하기
17 계약서 작성하기 5 - 중개대상물 확인설명서 확인하기
18 부동산 계약 당일 준비물과 돌발 변수 대비하기
19 누구보다 똑똑하게 이사하는 법
20 보증금 지키는 전입신고와 확정일자 받기
21 집주인에게 수리를 요구하는 방법
22 보증금 지키면서 이사 나가는 방법
잠깐 쉬어가기
Part 2. 주거복지제도 활용하기
01 청년을 위한 주거복지제도
02 나에게 딱 맞는 주거복지제도 알아보기
잠깐 쉬어가기
Part 3. 나에게 꼭 맞는 전셋집 구하기 - 전세 편
01 전세로 살면 뭐가 좋을까?
02 꼭 서울에 살아야 할까? (서울 VS 근교)
03 은행 대출 상담 전 체크 포인트
04 은행에 대출 상담 받으러 가기
05 온라인 손품 팔기
06 오프라인 발품 팔기
07 이 집이면 대출이 나올까요?
08 계약 전 안전장치 마련하기 & 계약하기
09 전세 대출 신청 및 계약하기
10 잔금 치르기
11 전입신고하기
12 계약 연장하기 or 계약 종료하기
잠깐 쉬어가기
Part 4. 청약으로 내 집 마련하기
01 청약이란 무엇일까?
02 청약 당첨자, 어떻게 뽑을까?
03 투기과열지구란 무엇일까?
04 청약 당첨에 가까워지려면?
05 청약, 실전으로!
잠깐 쉬어가기
감사인사
Author
안선생
‘아는 것이 돈이다’
직장에 다니며 부동산 투자를 했는데, 그 과정에서 많은 실전 지식이 쌓였다. 지인들은 집을 구할 때마다 두렵고 막막하다며 조언을 구해왔고, 답변을 해주는 일이 잦았다. 일일이 답변하는 것에 지칠 때쯤, 한 가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영상으로 만들어놓고 링크를 보내주면 어떨까?’
그렇게 유튜브 채널에 영상을 올리기 시작했다. 지인들을 위해서 만들기 시작한 영상은 전국적으로 퍼져 나갔고, 반응 또한 뜨거웠다. 영상을 보고 자취를 시작했다는 사회 초년생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유튜브 채널은 누적 조회 수 830만 회, 구독자 7만 명을 달성했다. 이번에는 화제가 되었던 그 내용들을 책으로 엮어 전달하고자 한다.
‘아는 것이 돈이다’
직장에 다니며 부동산 투자를 했는데, 그 과정에서 많은 실전 지식이 쌓였다. 지인들은 집을 구할 때마다 두렵고 막막하다며 조언을 구해왔고, 답변을 해주는 일이 잦았다. 일일이 답변하는 것에 지칠 때쯤, 한 가지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영상으로 만들어놓고 링크를 보내주면 어떨까?’
그렇게 유튜브 채널에 영상을 올리기 시작했다. 지인들을 위해서 만들기 시작한 영상은 전국적으로 퍼져 나갔고, 반응 또한 뜨거웠다. 영상을 보고 자취를 시작했다는 사회 초년생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며 유튜브 채널은 누적 조회 수 830만 회, 구독자 7만 명을 달성했다. 이번에는 화제가 되었던 그 내용들을 책으로 엮어 전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