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장 서비스산업의 미래를 견인할 새로운 일자리
1. 일자리의 소멸 및 감소, 그리고 새로운 직업ㆍ직무
2. 새로운 직업ㆍ직무의 확산 가능성
3. 노동 플랫폼의 등장과 고용 여건 변화
(1) 고용 여건 변화의 핵심, 플랫폼 종사자
(2) 노동 플랫폼의 특징과 고용 여건 변화
4. 일자리의 변화 흐름과 미래에의 대응
(1) 숙련도별 인력 수요의 변화
(2) 숙련 격차와 역량 확보
5. 요약: 정책적 시사점
제4장 한국 서비스산업의 일자리와 고용 여건
1. 서비스산업에서의 고용 변화 추이
(1) 전반적인 고용 현황
(2) 구체적인 서비스산업의 고용 현황
2. 서비스산업의 여건 변화와 일자리 변화 양상
(1) 서비스산업 일자리의 숙련도별 변화 모습
(2) 서비스산업 일자리의 고용 여건 변화
(3) 소결: 정책적 시사점
3. 서비스산업에서의 숙련 수요와 기업의 대응
(1) 신기술 도입에 따른 직무 수행 방식의 변화
(2) 숙련 수요 변화와 신규 인력 채용
(3) 숙련 격차 해소의 대응과 한계
(4) 소결: 정책적 시사점
제5장 서비스산업에서의 일자리 이슈에 대응한 주요국의 정책
1. 디지털화에 따른 일자리에서의 주요 이슈
(1) 일자리 관련 이슈의 식별
(2) 이슈 대응을 위한 정책적 접근 방향
2.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견인할 (첨단기술, 창의) 인력 양성
(1) 독일
(2) 일본
(3) 미국
(4) 영국
3. (긱 워커 등) 저숙련 노동자 지원 정책
(1) 미국 캘리포니아주
(2) 프랑스
(3) 독일
4. 요약: 정책적 시사점
제6장 직업ㆍ직무 전환에 대응한 인력정책 방안
1. 서비스산업의 혁신을 견인할 디지털 관련 직업ㆍ직무
2. 직업ㆍ직무 변화에의 효과적인 인력정책
(1) 일자리와 연관된 정책적 이슈
(2) 시장 선도를 위한 인력 양성 정책
(3) 고용 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