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각국사 일연의 삼국유사 (하)

$41.04
SKU
979119157133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2/27
Pages/Weight/Size 150*225*35mm
ISBN 9791191571332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삼국사기』가 합리적이고 공식적인 입장을 취한 정사라면, 『삼국유사』는 초월적이고 종교적인 입장을 견지한 야사에 해당한다. 5권 2책이며, 상권인 1, 2권은 주로 역사 사실을 다루었고, 하권에 해당하는 3, 4, 5권은 불교 사실을 다루었다. 내용은 주제에 따라 왕력·기이·흥법·탑상·의해·신주·감통·피은·효선 등 9편으로 구성되어 있다.‘유사遺事’라는 이름에서 볼 수 있듯이 『삼국사기』에서 빠뜨린 것을 보완한다는 성격을 가진다. 국가의 대사업으로 편찬된 『삼국사기』는 방대하고도 정확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지만, 역사를 기술하는 태도와 자료를 다루는 방식에 있어 편찬자의 시각이 지나치게 합리성을 강조하고, 중국 중심적이어서 중요한 역사적 사실을 소홀히 다루거나 왜곡하는 경우가 있었다. 특히 기존의 역사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불교적 측면을 무시하거나 소홀히 다룬 점은 승려인 일연의 입장에서 수긍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더구나 일연이 이를 저작할 당시는 중국을 지배하게 된 몽골의 침략이 계속되어, 중국에 대한 모화사상이 비판되고 민족자주 의식이 강하게 대두되던 시기였다. 일연의 저술 의도에는 이같은 민족감정이 여실히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삼국사기』에서는 가치가 없다고 제외시키거나 소홀히 다룬 자료들에 대해서 주목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한 결과 『삼국사기』에서는 볼 수 없는 내용도 있고, 다르게 기술하거나 해석한 부분도 적지 않게 있다. 이런 면에서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와 서로 대조적이면서도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가진다.
Contents
하권(권 제3~권 제5)

권 제3
제3 흥법興法第三
순도조려順道肇麗 / 558
순도가 고구려에 불교를 전하다 / 558
고구려 불교가 시작되다 / 559
찬하여 말하다 / 561
난타벽제難?闢濟 / 562
마라난타가 백제 불교를 열다 / 562
찬하여 말하다 / 564
아도기라阿道基羅 / 565
묵호자가 향을 전하다 / 565
묵호자가 향을 피워 왕녀의 병을 치료하다 / 567
아도가 신라에 불법을 전하다 / 568
묵호자와 아도에 대한 논 / 573
담시가 중국에서 불법을 행하다 / 576
찬하여 말하다 / 579
원종흥법 염촉멸신原宗興法 厭?滅身 / 580
법흥왕이 불도를 도울 사람을 구하자, 염촉이 내양하다 / 580
염촉이 자신을 희생하여 불법의 이익됨을 깨닫게 하다 / 583
흥륜사를 세우다 / 586
법흥왕과 진흥왕이 출가한 것에 대한 논 / 590
대통사가 세워지다 / 592
찬하여 말하다 / 594
법왕금살法王禁殺 / 595
법왕이 살생을 금하다 / 595
왕흥사·미륵사가 세워지다 / 596
찬하여 말하다 / 599
보장봉로 보덕이암寶藏奉老 普德移庵 / 600
보장왕이 도교를 따르다 / 600
보덕스님이 절을 옮기다 / 602
양명이 개금으로 환생하다 / 604
개금이 왕에게 도교를 추천하다 / 606
보장왕이 불법을 믿지 않아 나라가 망하다 / 607
보덕스님의 제자 / 610
찬하여 말하다 / 612
동경흥륜사금당십성東京興輪寺金堂十聖 / 613
흥륜사 금당의 10성 / 613
제4 탑상塔像第四
가섭불연좌석迦葉佛宴坐石 / 615
월성 동쪽에 가섭불의 연좌석이 있다 / 615
찬하여 말하다 / 617
일연이 천지개벽 연도를 비평하다 / 618
요동성육왕탑遼東城育王塔 / 621
고구려 성왕이 탑을 세우다 / 621
찬하여 말하다 / 625
금관성파사석탑金官城婆娑石塔 / 626
허황후가 아유타국에서 파사석탑을 가져오다 / 626
찬하여 말하다 / 628
고려영탑사高麗靈塔寺 / 629
보덕이 신인을 만나 영탑사를 세우다 / 629
황룡사장육皇龍寺丈六 / 630
진흥왕이 황룡사를 세우다 / 630
아육왕의 황금황철로 장육상을 조성하다 / 632
찬하여 말하다 / 636
황룡사구층탑皇龍寺九層塔 / 637
자장이 태화지에서 9층탑 건립의 연유를 받다 / 637
백제에서 공장을 요청하여 9층탑을 건립하다 / 640
9층탑의 영험 / 642
찬하여 말하다 / 645
9층탑 관련 기록 / 646
황룡사종 분황사약사 봉덕사종皇龍寺鍾 芬皇寺藥師 奉德寺鍾 / 649
경덕왕이 황룡사종을 주조하다 / 649
경덕왕이 분황사의 약사여래동상을 주조하다 / 650
경덕왕이 주조하고자 한 성덕대왕신종을 혜공왕대 완성하다 / 652
영묘사장육靈妙寺丈六 / 654
선덕왕이 영묘사를 창건하고 경덕왕대 장육존상을 개금하다 / 654
사불산 굴불산 만불산四佛山 掘佛山 萬佛山 / 655
진평왕때 사불산에 사방여래가 떨어졌다 / 655
경덕왕대 굴불사를 창건하다 / 657
경덕왕이 만불산을 조성하다 / 659

〈이하 생략〉
Author
일연
고려 시대의 승려로, 14세에 승려가 되어 22세에 승과 시험에 장원 급제하였습니다. 78세에 최고의 승려로 인정받아 국존이 되었으며 84세 때 입적한 후, 보각이라는 시호를 받았습니다. 몽골의 침략으로 피폐해진 나라를 보고 우리의 역사와 뿌리를 지키고자 〈삼국유사〉를 펴냈습니다.

고려 후기의 고승으로 성은 김이고, 이름은 견명으로 알려져있다. 9세 때인 1214년에 출가하여 22세 때인 1227년 선과(禪科)에 급제한 이후로 포산에서 머무르며 생활했다. 1283년 78세로 국존(國尊)이 되고 이듬해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인각사에 있다가 84세로 입적(入寂)하였다.

고려가 몽골에 항복한 이후 민족의 혼을 되살리기 위해 인각사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고려 후기 충렬왕 년에 출간되었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역사뿐만 아니라 삼국사기에는 누락되었던 고조선과 기자조선가락국 등에 관한 역사까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저서로는 『어록』, 『계승잡저』 등이 있다
고려 시대의 승려로, 14세에 승려가 되어 22세에 승과 시험에 장원 급제하였습니다. 78세에 최고의 승려로 인정받아 국존이 되었으며 84세 때 입적한 후, 보각이라는 시호를 받았습니다. 몽골의 침략으로 피폐해진 나라를 보고 우리의 역사와 뿌리를 지키고자 〈삼국유사〉를 펴냈습니다.

고려 후기의 고승으로 성은 김이고, 이름은 견명으로 알려져있다. 9세 때인 1214년에 출가하여 22세 때인 1227년 선과(禪科)에 급제한 이후로 포산에서 머무르며 생활했다. 1283년 78세로 국존(國尊)이 되고 이듬해 경상북도 군위군에 위치한 인각사에 있다가 84세로 입적(入寂)하였다.

고려가 몽골에 항복한 이후 민족의 혼을 되살리기 위해 인각사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고려 후기 충렬왕 년에 출간되었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역사뿐만 아니라 삼국사기에는 누락되었던 고조선과 기자조선가락국 등에 관한 역사까지를 이야기하고 있다. 저서로는 『어록』, 『계승잡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