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런 버핏, 영화 [빅쇼트]로 스타가 된 마이클 버리, 부실채권?부실기업 투자의 최고봉인 세스 클라만과 하워드 막스, 행동주의 투자 분야에서 성공한 빌 애크먼의 공통점은? 바로 특수상황투자를 영리하게 활용해 큰 수익을 달성하며 위대한 투자자로 성장했다는 것이다. 특수상황투자는 가치투자의 일종으로, 인수, 합병, 청산, 공개매수 등 특정한 기업의 활동에서 이익을 얻는 투자를 의미한다.
이 책의 저자 모리스 실러는 특수상황투자의 선구자로서, 최초로 다양한 특수상황의 사례를 모으고 구조화했다. 그는 실제 사례를 토대로 누구나 특수상황투자 기회를 분석하고 찾아낼 수 있는 투자 방법을 창조했으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1955년부터 1970년 사이에 5권의 투자서와 1편의 긴 에세이를 썼다. 실러는 첫 책을 출간하며 이렇게 말했다. “이 책에 나오는 내용을 다룬 책은 지금까지 없었다. (특수상황투자는) 내 스스로 고안한 것이다.” 이 책은 그가 출간한 5권의 투자서를 하나로 엮은 값진 결과물이다.
Contents
들어가며
1부 특수상황투자란 무엇인가
제1장 특수상황을 알아보는 방법
제2장 특수상황투자를 위한 배경지식
제3장 특수상황투자에 대한 이론적 분석
제9장 주식매수청구권
제10장 신주인수권과 초과청약
제11장 인수와 합병
제12장 파산을 앞둔 상황에서의 구조조정
제13장 자본구조의 변경
3부 개별적인 유형의 특수상황투자
제14장 호전의 특수상황
제15장 사업의 전환
제16장 현금이 많은 기업
제17장 엠파이어 빌더
제18장 구조적인 성장
마무리하며
Author
모리스 실러,최형규,심혜섭
특수상황투자의 선구자로, 1922년 월스트리트에서 애널리스트로 일을 시작했다. 당시 미국 주식시장의 잘못된 관행과 1929년의 대공황으로 인한 엄청난 시장 폭락을 지켜보았고, 이를 계기로 개인 투자자의 위험을 극도로 제한하는 특수상황투자에 뛰어들었다. 이후 뉴버거(Research at Newburger), 롭앤코(Loeb & Co.)에서 두각을 나타내 리서치 임원의 자리에 오르면서, 더욱 적극적으로 특수상황투자 방법을 연구했다. 이로 인해 그의 투자자들은 주식시장에서 거의 위험을 부담하지 않고도 수익을 낼 수 있었다. 1955년부터 1970년 사이에 5권의 투자서와 1편의 긴 에세이를 썼다.
특수상황투자의 선구자로, 1922년 월스트리트에서 애널리스트로 일을 시작했다. 당시 미국 주식시장의 잘못된 관행과 1929년의 대공황으로 인한 엄청난 시장 폭락을 지켜보았고, 이를 계기로 개인 투자자의 위험을 극도로 제한하는 특수상황투자에 뛰어들었다. 이후 뉴버거(Research at Newburger), 롭앤코(Loeb & Co.)에서 두각을 나타내 리서치 임원의 자리에 오르면서, 더욱 적극적으로 특수상황투자 방법을 연구했다. 이로 인해 그의 투자자들은 주식시장에서 거의 위험을 부담하지 않고도 수익을 낼 수 있었다. 1955년부터 1970년 사이에 5권의 투자서와 1편의 긴 에세이를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