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쓴 정책학

BOOKK(부크크) 출간 상품은 주문 제작 도서로 주문취소 및 반품이 불가하며, 배송완료까지 KBOOKSTORE 배송 일정 기준 +7일이 추가됩니다.
$27.22
SKU
9791191503951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2/15
Pages/Weight/Size 173*243*30mm
ISBN 9791191503951
Categories 대학교재 > 사회과학 계열
Description
이 책은 기존 초판에서 현재의 상황과 바뀐 제도 및 사례가 전부 개정되었다. 그리고 새롭게 제11장에 빅데이터, 지방소멸, 동물복지, 커뮤니티 웰빙 등 새로운 정책학의 이슈를 제시하고 있다.
Contents
제1장 정책의 의의
| 제1절 | 정책의 의의
1. 정책의 개념
2. 정책의 중요성
| 제2절 | 정책연구의 필요성
1. 정책학의 특징
2. 정책학의 필요성
| 제3절 | 정책학의 역사
1. 정책학의 등장
2. 현대 정책학의 발전 과정
3. 한국 정책학의 역사

제2장 정책 과정의 참여자
| 제1절 | 정책참여자의 의의
| 제2절 | 공식적 참여자
1. 입법부(의회)
2. 대통령(국무위원)
3. 관료집단
4.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5. 사법부
| 제3절 | 비공식적 참여자
1. 정당
2. 비정부단체(NGO)
3. 이익집단
4. 전문가집단
5. 언론과 여론
6. 일반시민

제3장 정책의 유형
| 제1절 | 의의
| 제2절 | 정책 유형
1. 로위의 정책 유형 분류
2. 앨먼드와 파월의 정책 유형 분류
3. 리플리와 프랭클린의 정책 유형 분류
4. 챔프니의 정책 유형 분류
5. 샐리스버리의 정책 유형 분류

제4장 정책 과정의 이론
| 제1절 | 국가와 권력
| 제2절 | 권력구조론적 관점
1. 다원주의이론
2. 코포라티즘(조합주의)
3. 뉴거버넌스
4. 엘리트이론
| 제3절 | 계급이론적 관점
1. 마르크스이론
2. 관료적 권위주의

제5장 정책의제의 형성
| 제1절 | 개념적 논의
1. 의의
2. 의제설정의 중요성
| 제2절 | 정책문제의 구조화
1. 사회문제와 정책문제
2. 정책의 창
3. 정책문제의 세 가지 유형
| 제3절 | 정책의제 형성 과정
1. 개인문제 : 사회문제로의 인지
2. 사회문제 : 사회적 쟁점화
3. 정책문제 : 쟁점의 공중의제화
4. 정책의제 : 쟁점의 공식의제화
| 제4절 | 정책의제 설정모형
1. 코브와 엘더의 모형
2. 코브, 로스와 로스의 모형 : 주도 집단에 따른 의제형성 모형
3. 킹던의 정책의 창 모형
| 제5절 | 정책의제 채택 영향 요인
1. 정책의제의 의미와 성격
2. 정책의제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3. 정부의제로 전환되지 못하는 원인

제6장 정책 결정 및 대안의 분석
| 제1절 | 정책결정모형
1. 정책 결정의 의의와 중요성
2. 정책결정모형의 유형 기준으로서 합리성과 권력
3. 정책결정 이론모형
| 제2절 | 정책대안 설정 과정
1. 정책문제
2. 정책 목표와 수단
3. 정책대안의 개발
| 제3절 | 정책대안의 분석: 미래예측 방법과 의미
1. 정책 결과의 예측
2. 정책대안의 미래예측 방법 : 추세 연장, 이론, 판단

제7장 정책 집행
| 제1절 | 정책 집행의 개념
| 제2절 | 정책집행연구의 접근 방법
1. 고전적 정책집행관과 현대적 정책집행관
2. 하향적, 상향적 및 통합적 접근방법
| 제3절 | 정책 집행의 영향 요인과 정책순응
1. 정책 집행의 영향 요인
2. 정책순응과 정책불응

제8장 정책평가
| 제1절 | 정책평가의 개념 및 필요성
1. 정책평가의 배경 및 의의
2. 정책평가의 필요성 및 목적
| 제2절 | 정책평가의 유형 및 기준
1. 정책평가의 유형
2. 정책평가의 기준
| 제3절 | 정책평가의 설계
1. 정책평가의 과정
2. 정책평가의 방법과 활용

제9장 정책 변동
| 제1절 | 정책 변동의 의의
1. 정책 변동의 개념
2. 정책 변동의 유형
3. 정책 변동의 저해 요인
| 제2절 | 정책 변동의 이론적 모형
1. 호퍼베르트의 정책산출 변동모형
2. 무치아로니의 이익집단 위상 변동모형
3. 다중흐름모형
4. 옹호연합모형

제10장 우리나라의 정책평가제도
| 제1절 | 정책평가의 의의
| 제2절 | 정부업무 평가제도의 연혁
1. 정부업무 평가 변천 개요
2. 정부업무 평가제도 및 추진 체계의 변화
| 제3절 | 한국의 정부업무 평가제도
1. 기본 개념
2. 정부업무 평가의 목적 및 기본 원칙
3. 정부업무 평가 추진 체계
4. 정부업무 평가 종류 및 절차
5. 정부업무 평가 결과의 공개 및 활용

제11장 정책학의 새로운 이슈
| 제1절 | 기후환경: 탄소중립정책
1. 의의
2. 변화의 방향과 주요 내용
| 제2절 | 제4차 산업혁명
1. 의의
2. 변화의 방향과 주요 내용
| 제3절 | 지방소멸
1. 의의
2. 변화의 방향과 주요 내용
| 제4절 | 지역행복: 커뮤니티 웰빙의 관점에서
1. 의의
2. 변화의 방향과 주요 내용
| 제5절 | 반려동물 정책
1. 의의
2. 변화의 방향과 주요 내용
| 제6절 | 소결: 정책학의 이론적 시사점
Author
이용모,주운현,홍성우,정원희,서인석
미국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관심 분야는 재정, 지방분권, 계량분석 등이고, 최근 논문으로는 “무조건부 보조금의 끈끈이 효과에 관한 분석”(2020), “재정분권이 지방정부 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2020) 등이 있다.
미국 뉴욕대학교(New York Universit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연구 관심 분야는 재정, 지방분권, 계량분석 등이고, 최근 논문으로는 “무조건부 보조금의 끈끈이 효과에 관한 분석”(2020), “재정분권이 지방정부 재정지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202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