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4차 산업혁명시대에 있어 이차전지는 국가의 과학기술과 산업 경쟁력 핵심 중의 한 산업분야이다. 기술 패권의 한 축인 것이다. 친환경의 대표적인 전기 자동차를 비롯한 전동화 모빌리티(Mobility)는 물론 차세대 모빌리티를 포괄하는 동력원으로 없어서는 안되는 이차전지는, 전기차 가격의 30~40%를 차지하는 핵심요소기술의 집합체로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산업이다. 그만큼 이차전지를 구성하고 있는 주요 핵심요소인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 분야에 있어 연구개발과 기술의 고도화 경쟁력은 우리가 상상하는 그 이상이다. 그야말로 선의의 경쟁으로 기술 패권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관련된 모듈, 부품, 소재와 더불어 광물 추출 및 가공을 비롯한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등 연계 산업도 계속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저자는 학부와 대학원에서 전기자동차를 비롯한 전장, 메커니즘, 배터리, 이와 관련된 플라스틱 소재와 물성, 응용 등을 비롯한 기계시스템응용설계 그리고 창의적 공학설계특론 등을 가르치며 역공학설계와 기능분석 방법론에 의한 문제 해결과 창의적·개념적 선도기술 구현 등을 동반으로 고도화 선행개발 등을 가 르치며, 연구해왔다.
실제로도 저자는 전동 모빌리티에 있어 주행 시 차체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유지하는 핵심요소기술인 자세복원 메커니즘에 대한 미국, 중국 등에 등록특허와 함께 연관된 특허를 수십 개 보유한 연구 및 기술개발 전문가이기도 하다. 전동 모빌리티에 들어가는 메커니즘과 시스템은 물론 리튬이온 배터리(LIB), 리튬인 산철 배터리(LFP), 슈퍼커패시터 배터리 등의 개발에도 참여했다.
이차전지의 중요성을 이론적으로 그리고 개인용 이동장치인 PM(Personal Mobility)을 연구개발하여 양산하는 과정에서 절실히 깨달아 이를 저서로써 출간하게 된 것이다.
연구개발의 결과인 전문적인 내용보다는 우선 이차전지의 종류, 원리, 특성, 소재, 활용 등을 폭넓게 이해하고, 알기 쉽게 개론적으로 저술하고자 하였다. 이는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은 물론 핵심 내용에 대한 이해와 습득이 용이하도록 하여, 향후 보다 전문적인 학업과 연구개발 그리고 산업기술 현장에서 실무와 적용에 도움이 되도록 한 것이다
Contents
CHAPTER 01 이차전지용 배터리팩 구성요소
01 배터리 셀(Cell)
02 배터리 셀(Battery cell)의 구조
03 이차전지(Secondary cell, Rechargeablebattery)
04 이차전지의 기능분석(Function analysis)
CHAPTER 02 리튬이온 배터리(Li?ion Battery) 정리 및 요점
01 리튬이온 배터리(Li?ion Battery)
CHAPTER 03 리튬이온 배터리 모듈
01 배터리 모듈(Battery Module)의 구조
02 이차전지 배터리팩(Battery Pack)
CHAPTER 04 리튬이온 이차전지 기능분석(Function Analysis)
01 기능분석(Function Analysis)이란?
02 간단한 기능 분석법(Function Analysis Method)
03 리튬이온 이차전지(배터리)의 기능분석 사례연구
04 전기(전지)자동차의 기능분석
05 배터리팩(Battery Pack)의 기능분석
06 배터리팩(Battery Pack)의 기능분석? 공정기술 및 조립성
07 각 구성요소의 기능분석 및 특징 ? 배터리관리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
08 전기차의 배터리 구성
CHAPTER 05 배터리 관련 유사기술의 응용과 활용
01 분리막에 관련된 유사기술과 활용
02 방수와 방진기술
03 전기자동차 · 전장 및 배터리 냉각시스템
04 전기자동차 · 전장의 주요 구성
05 냉각시스템의 적용
06 전기자동차의 종류 및 구조 · 특징
07 전기자동차의 배터리팩과 냉각
08 스마트폰에서의 발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