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이 순간에도 벌어지고 있는 위구르족을 겨냥한
중국의 ‘대테러’ 정책의 맥락과 실상을 파헤치고,
세계 최악의 인도주의적 참극인 위구르 제노사이드의 전말을 밝힌다!
이 책은 위구르족의 민족주의 역사를 소개하면서 중국과 위구르족의 관계를 밝히고, 현재의 위구르족이 처한 상황과 이에 대한 복잡다단한 지정학적 맥락을 짚어주며 중국이 위구르족을 겨냥해 벌이고 있는 ‘대테러’ 정책의 실상을 날카롭고 상세하게 파헤치고 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이 내세웠던 ‘테러와의 전쟁’을 중국이 어떻게 위구르족을 탄압하기 위한 명분으로 이용해왔는지 보여주는데, 중국은 신장위구르자치구의 무슬림 주민에게서 나타나는 ‘극단주의’를 근절하기 위해 ‘대테러’ 정책을 펼친다며 중국에 거주하는 1,100만 명의 위구르족 중 100만 명이 넘는 이들을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구금시설 및 감시 프로그램의 대상으로 전락시켜 ‘재교육’ 캠프에 감금했다. 이 ‘재교육’ 캠프에서는 21세기의 첨단 기술을 이용한 통제, 고문, 실종, 강제 불임시술 및 장기적출(臟器摘出)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으며, 이 디스토피아적인 감옥국가에서 100만∼300만 명에 달하는 위구르족이 스러져갔다.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된 첫 5개월 사이에는 대규모 인원을 감금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위구르족 아동을 가족과 분리시키거나 위구르족 노동자를 다른 지역으로 옮긴 후 외부와 격리된 합숙시설에서 강제노동을 시키는 방식으로 중국의 정책이 바뀌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고 한다. ‘재교육’ 캠프가 위구르족의 민족문화적 정체성을 제거하고 독립적인 민족 집단으로서 이들의 존재를 실질적으로 지워버리려는 것이라면, 이는 한때 위구르족들로 번성했던 지방 도시들을 공동화(空洞化)하고 위구르 문화를 구성하는 가족과 공동체의 유대를 파괴하는 것으로, 이에 참여하는 위구르족들을 ‘개조’하는 것은 물론이고, 위구르 지역에서 위구르족의 비중을 감소시키는, 제한된 수준이나마 인종 청소(ethnic cleansing) 효과도 가져오는 것이다.
이 책은 이와 같이 위구르족이라는 종족적?문화적 또는 종교적 집단의 독자적인 정체성을 파괴하고 있는 중국의 ‘문화적 민족 말살(cultural genocide)’을 명쾌하고도 깊이 있게 분석하며, 저자가 직접 위구르어를 구사하며 다양한 위구르족들과 인터뷰하여 인도주의적 비극의 희생자들인 그들의 목소리를 생생하게 담아 바깥세상에 있는 우리에게 전하고 있다.
30여 년간 위구르 문제를 연구해온 저자가 위구르어 자료를 활용하고 해당 지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지식을 총동원하여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위구르족 탄압 사태를 정면으로, 본격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다룬 첫 책이다. 중국 내의 위구르족 및 다른 소수민족들의 운명과 관련하여 올바른 정보와 허위 정보가 뒤엉켜 점점 더 정치적 난제가 되어가고 있는 즈음에 위구르 문제에 대한 전체적인 실상을 올바로 파악하도록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그리고 저자는 지금도 자행되고 있는 중국의 ‘대테러 정책’이라는 미명 아래 위구르족을 겨냥한 말살적 범죄에 국제사회의 긴급한 조치가 필요함을 촉구하며, 중국의 문화적 민족 말살에 반대하는 풀뿌리 시민운동을 호소하고 있다.
Contents
추천사
한국어판 머리말
서장
제1장 식민 지배, 1759~2001년
제2장 ‘테러리스트’가 되어버린 위구르족들
제3장 ‘위구르 테러리즘 위협’의 신화와 진실
제4장 식민 지배와 대테러 정책의 결합, 2002~2012년
제5장 자기실현적 예언과 ‘반테러 인민전쟁’, 2013~2016년
제6장 문화적 민족 말살, 2017~2020년
결 론
연구방법론
감사의 말
옮긴이의 말: 보편적 가치의 선별적 소비, 그리고 중국몽의 오래된 미래
미 주
찾아보기
Author
숀 R. 로버츠,장성준
보딘 칼리지에서 러시아어와 역사학을 공부한 후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국제개발처(USAID)에서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민주주의와 국정 운영 프로그램, 시민사회 및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를 설계?관리했고, 교육개발아카데미에서는 수단 다르푸르의 평화 구축 프로젝트와 몰도바의 부패 방지 프로젝트 책임자로 활동했다. 2008년부터 조지워싱턴대학교 엘리엇 국제관계학교 교수이자 국제개발연구 프로그램의 책임자로 재직하고 있다. 위구르어를 구사할 수 있는 연구자로서, 1990년에 위구르 지역을 처음 방문한 이후 30여 년 동안 세계 각지의 위구르족들과 직접 소통하며 위구르족과 위구르 문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저자가 수행한 프로젝트와 연구 성과는 https://seanrroberts.squarespac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보딘 칼리지에서 러시아어와 역사학을 공부한 후 서던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박사 학위를 받았다. 미국국제개발처(USAID)에서 카자흐스탄과 키르기스스탄의 민주주의와 국정 운영 프로그램, 시민사회 및 지역사회 개발 프로젝트를 설계?관리했고, 교육개발아카데미에서는 수단 다르푸르의 평화 구축 프로젝트와 몰도바의 부패 방지 프로젝트 책임자로 활동했다. 2008년부터 조지워싱턴대학교 엘리엇 국제관계학교 교수이자 국제개발연구 프로그램의 책임자로 재직하고 있다. 위구르어를 구사할 수 있는 연구자로서, 1990년에 위구르 지역을 처음 방문한 이후 30여 년 동안 세계 각지의 위구르족들과 직접 소통하며 위구르족과 위구르 문제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저자가 수행한 프로젝트와 연구 성과는 https://seanrroberts.squarespac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