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문명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만나게 되는 최초의 신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마고麻姑입니다. 한국인과 인류의 시원역사가 발원한 2만 5천 년 전 ‘마고신’은 여(성)신이라는 한계를 넘어 인류 수행문화와 선문화의 근원이며 무병장수문화의 바탕이었습니다. 특히 이번에 출간하는 『마고와 여신』은 동양의 여신관에 한정되었던 ‘마고’를 동서 여신문화의 공통 분모로 조명했다는 면에서 그 가치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수부 · 태모 · 마고 · 지모신’은 오늘날 인류가 온갖 대립과 갈등을 넘어 마침내 뭇 생명이 조화와 화합과 통일을 이루는 후천개벽시대, 그리고 후천의 선仙문화 원류를 제대로 깨우치게 하는 핵심주제입니다. - 간행사 중에서
1. 머리말
2. 야쿠티아 지역의 일반 정보
3. 빌류이저수지 근처 죽음의 계곡
4. 부랴티아의 마고여신 숭배의 고고학 유물
5. 알타이의 마고여신 숭배의 고고학 유물
6. 맺는 말
한국의 여신 문화
김화경
1. 머리말
2. 지모신 신앙의 성립
3. 지모신 신앙과 출현 신화
4. 산악신앙과 성모 신화
5. 맺음말
음양론 관점에서 본 서왕모 인식 변화 고찰
조민환
1. 들어가는 말
2. 유가와 도가의 음양론에 관한 개괄적 이해
3. 음양론 관점에서 이해된 서왕모
4. 절세미인으로서 장식미인인 서왕모의 음유지미
5. 나오는 말
중국 여와女 신화와 생명원리
이유라
1. 들어가는 말
2. 창조신
3. 지모신
4. 문화영웅
5. 마치는 말
트라키아의 대모신 숭배 전통과 동아시아 마고 숭배 간의 유사성 고찰
넬리 루스
1. 들어가는 말
2. 대모신의 역할
3. 벤디스, 그리고 트라키아 대모신의 여러 다른 이름
4. 성스러운 혼인을 통한 권력 획득
5. 트라키아 내세관에서의 대모신: 통치자의 영웅화
6. 그리스 예술에서 나타난 벤디스: 아르테미스, 그리고 아르테미스 모니치아와의 관계
7. 트라키아 예술에 나타난 벤디스
8. 유라시아 대모신 숭배 전통에서 본 트라키아 대모신 숭배
인도의 성모와 여신문화
난디타 크리슈나
1. 들어가기
2. 인도의 샥티 숭배
3. 다양한 성모 여신
4. 샥티의 원리
5. 결론
마하락쉬미 여신의 신성과 영적 의미 및 주요 경전
로밀라 수다카르
1. 들어가는 말
2. 도상학적 표현
3. 락쉬미 관련 경전
4. 라마누자와 마다바차르야의 저술 속의 마하락쉬미
5. 맺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