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신·선仙·후천개벽

$28.75
SKU
979119132917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hu 12/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12/3 - Thu 12/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1/11/01
Pages/Weight/Size 152*223*35mm
ISBN 9791191329179
Categories 종교 > 세계종교
Description
이 책의 제목 〈삼신, 선, 후천개벽〉은 2021년 봄 증산도 문화사상 국제학술대회의 주제였습니다. 누군가가 증산도 진리를 세 가지로 표현하라고 할 때 손꼽을 수 있는 개념이 바로 삼신三神이며, 선仙이며, 후천개벽後天開闢입니다. 삼신은 『도전』의 첫 페이지에 나오는 개념으로 조화성신의 다른 이름이며, 천지만물을 낳고 기르는 원신이자 일신입니다. 그야말로 증산도 신관의 토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동방 9천 년 선문화의 원형은 삼랑선입니다. 선仙 은 증산도 후천 선문화의 주체로 태을선, 후천선, 삼랑선이며, 후천 생활문화의 중심주제입니다. 후천은 곧 선경이며, 선의 세계입니다. 우주의 여름과 가을의 교체기에 인류에게 밀어닥치는 대환란이자 새로운 세상을 여는 터닝 포인트인 후천개벽은 증산도 진리를 크게 분류한 팔관법 전체와 연관되는 핵심 주제입니다. 〈 간행사 중에서 〉
Contents
간행사 / 4
추천사 / 7

주제: 삼신三神

인도의 삼신관 / 19
간달루르 자이데브 수다카르(G. J. Sudhakar)
1. 서론..21
2. 창조의 신 브라흐마...23
3. 유지의 신 비슈누...28
4. 파괴의 신 시바..38
5. 결론..46

시베리아의 샤머니즘 전통과 삼신 문화 / 49
칭기스 아하냐노프 (Chingis Akhanyanov)
1. 서문..51
2. 시베리아 셔먼에서 삼신문화.52
3. 맺음말...79

메이지의 신도행정·신도와 조화삼신 / 85
이시하라 야마토 石原和
1. 들어가며....87
2. 신기관 체제 속의 조화삼신....91
3. 교부성 체제와 조화삼신95
4. 교파신도와 조화삼신...100
1) 교파신도화..102
2) 교파신도 산하 종교인화..104
5. 동아시아의 조화삼신이라는 시점을 향하여..108

한국의 삼신관三神觀 / 115
문계석
1. 들어가는 말.117
2. 삼신에 대한 정의.120
1) 삼신은 창조변화의 근원..120
2) 삼신일체三神一體 하느님125
3. 존재론적 진리로 이법화理法化된 삼신.135
1) 정태적情態的 의미의 삼극사상三極思想....135
2) 동태적動態的 의미의 삼도사상三道思想...142
4. 한민족의 문화양식으로 드러난 삼신....148
1) 삼신 하느님을 모시는 제천단祭天壇과 국조삼성을 모시는 삼신전三神殿..149
2) 삼신의 조화를 상징하는 삼태극三太極 문양 ....152
3) 인간의 탄생과 생명을 주관하는 삼신숭배三神崇拜의 민속...154
4) 삼신하느님의 사자를 상징하는 삼족오三足烏 문양..156
5. 맺음 말158

주제: 선仙

증산도의 조화사상 / 165
유 철
1. 들어가는 말.167
2. 조화調和와 조화造化....169
3. 신교와 선과 조화.173
1) 신교와 선174
2) 선과 조화178
3) 근대의 신교, 동학의 조화사상 183
4. 증산도의 조화사상...190
1) 신교의 맥, 참동학 증산도191
2) 『도전』 1편 1장에 나타난 우주 생성의 조화.194
3) 조화성신造化聖神의 ‘조화’...199
5. 조화의 근원, 신명조화 206
1) 천지조화, 신명조화 206
2) 조화주 증산 상제의 조화법..211
6. 맺는 말.... 220

태을천존 신앙의 연원 / 225
안동준
1. 문제 제기 227
2. 선행 연구 검토.... 230
3. 동방의 천신으로서 동황태을....235
4. 천황대제와 태을천존 . 242
5. 남은 과제.... 252

증산도甑山道의 신선神仙 사상思想 고찰考察 / 257
서대원
1. 들어가며. 259
2. 도교 신선[仙]의 의미....261
1) 신선의 초기 의미.261
2) 통신通神의 선仙.. 263
3) 외단外丹의 선仙.. 268
4) 내단內丹의 선仙.. 270
5) 여론餘論..271
3. 증산도 신선 사상 고찰.... 273
1) 신선의 개념 273
2) 신선의 능력 277
3) 신선의 공능 280
4. 증산도 신선 사상에 대한 평가.283
5. 결론.... 286

주제: 후천개벽後天開闢

후천개벽과 천지굿 / 291
원정근
1. 후천개벽과 풀이문화 . 293
2. 신명풀이란 무엇인가 . 296
3. 천지판과 신명풀이 . 300
4. 천지굿과 신명풀이 . 304
5. 신명풀이의 의의...315

선후천과 개벽 / 319
양재학
1. 선후천의 교체가 왜 내일의 해답인가....323
1) 19세기 동북아에서 싹튼 새로운 선후천론....323
2) 선후천과 후천개벽의 참뜻- 상극에서 상생으로 . 329
3) 생장염장과 방탕신도.. 334
4) 후천개벽과 우주1년337
2. 신도로 열리는 후천개벽.. 343
1) 신도로 돌아가는 세상. 343
2) 신으로 가득 찬 천지 .. 345
3) 상제의 존재방식. 349
3. 생명과 시간의 새로운 창조..353
1) 천간지지天干地支에 담긴 시간의 비밀.353
2) 시간의 방정식- 순역운동356
3) 하늘과 땅의 숨결[天地之用].361
4) 생명 완성의 길- 3변성도三變成道 .. 364
4. 선후천 전환의 핵심- 조화선경 374
1) 후천선경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윤역에서 정역으로 .... 374
2) 정음정양의 후천선경....378
3) 간방艮方에서 새문명이 싹트다382
4) 후천선경의 주체는 누구인가....385

홍익인간과 상생 / 395
황경선
1. 머리말 397
2. 상생의 의미.398
1) 살림, 생의 의미....398
2) 신유학新儒學에서 생生의 의미401
3) 살림의 성격 404
3. 홍익인간. 407
1) 살림의 겨레 동이 407
2) 인즉선人卽仙...412
3) 성통공완性通功完415
4. 증산도의 상생 사상 423
5. 맺음말 435

[번역 원문]
The View of the Triadic God of India / 441
-Prof. GJ Sudhakar
1. INTRODUCTION:.... 443
2. THE CREATOR - BRAHMA 445
3. THE PRESERVER - VISHNU .. 450
4. THE DESTROYER - SHIVA.. 459
5. CONCLUSION: ... 466

The Shamanist Tradition of Siberia and Samsin Culture / 469
-Chingis Akhanyanov, Ph.D
1. Introduction. 469
2. Cultures of the Samsin in Siberian shamanism....470
3. Conclusion.... 497

明治の神道行政ㅇ神道と造化三神 / 505
-石原和(立命館大?)
1. 神祇官?制のなかの造化三神... 508
2. ?部省?制と造化三神...511
3. ?派神道と造化三神..516
1) ?派神道化.519
2) ?派神道の配下宗?者化..521
4. 東アジアの造化三神という視点に向けて... 524
Author
간달루르 자이데브 수다카르
간달루르 자이데브 수다카르는 역사학자이다. 인도 첸나이 소재 마드라스 크리스챤 대학교를 졸업하고 뉴델리의 자와하르랄 네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여러 대학에서 역사학 강의를 하였으며, 많은 박사학위 연구생들을 지도하였다. 그는 여러 책과 논문을 저술하였고 편집하였는데, 「인도 역사의 도시화 고찰, 「1750-1857년 타밀나두를 중심으로 본 인도인들의 항쟁」 등이 있다. 그는 현재 인도국립역사학회 집행위원회의 위원이며, 마드라스 대학교와 연계한 시피 라마스와미 아이야르 인도학 연구소의 명예교수이다. 또한 그는 「인도의 역사와 문화 학회지」의 편집위원이다.
간달루르 자이데브 수다카르는 역사학자이다. 인도 첸나이 소재 마드라스 크리스챤 대학교를 졸업하고 뉴델리의 자와하르랄 네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는 여러 대학에서 역사학 강의를 하였으며, 많은 박사학위 연구생들을 지도하였다. 그는 여러 책과 논문을 저술하였고 편집하였는데, 「인도 역사의 도시화 고찰, 「1750-1857년 타밀나두를 중심으로 본 인도인들의 항쟁」 등이 있다. 그는 현재 인도국립역사학회 집행위원회의 위원이며, 마드라스 대학교와 연계한 시피 라마스와미 아이야르 인도학 연구소의 명예교수이다. 또한 그는 「인도의 역사와 문화 학회지」의 편집위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