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과 인간은 어떤 관계를 맺어왔을까?
자연과 문화의 렌즈로 살펴보는 물의 세계
인간은 물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왔을까?
지구가 품고 있는 다양한 생명군의 기원에 대해서는 아직 누구도 ‘정답’을 외칠 수는 없다. 하지만 물이 지대한 공헌을 했다는 데는 누구도 이견을 달지 못할 것이다. 무한정 써도 상관없을 거라 믿었던, 물. 한없이 믿었기에, 소중하게 다룰 필요를 느끼지 않았던 것이 바로 물이 아닐까? 모든 쓰레기, 오물, 오염, 불순물을 스스로 정제시킬 거라 믿음은 저 먼 과거의 이야기일 뿐, 이제 인류는 어떤 자연의 물도 마음껏 마시기를 두려워한다. 자연 속에 흐르던 물은 사라졌고, 댐에 갇혀 썩어가는 물에 인류는 역공을 받고 있다. 『물의 인문학』은 물과 인간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인간이 물을 어떻게 체험하고, 어떤 믿음과 이해를 갖고 있는지, 그래서 어떻게 물을 이용하는지를 설명한다. 인간은 수많은 문화적 렌즈를 통해 물을 숭배하고 사랑하고 두려워했으며, 물로 연결되고 물 때문에 싸움을 벌였다. 담수 자원을 둘러싼 갈등이 심해지고 심지어는 바다조차도 기후 변화와 오염의 압박을 느끼는 오늘날의 현실에서, 우리와 물의 생명 문화적 관계는 인간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모든 종의 안녕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Contents
들어가는 글 물을 어떻게 다뤄야 하는가?
1. 바다 깊은 곳에서 시작된 생명 _지구 위의 물
2. 모든 것의 시작, 카오스 _살아 있는 물
3. 물은 어디에나 있다 _인간의 삶을 연결하는 물
4. 돌고, 돌고, 돌다 _물의 여정
5. 부와 권력의 상징이 되다 _물을 지배하는 인간
6. 물의 흐름을 막아라 _산업과 물
7. 지구의 수로를 리모델링하다 _공학으로 설계된 물길
8. 댐 건설은 누구를 위한 것인가? _물을 지키려는 사람들
결론 물에도 국경이 있는가?
Author
베로니카 스트랭,하윤숙
더럼대학 인류학 교수이자 고등학술연구회 상임이사로 인간과 환경과 자연, 특히 물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해왔다. 옥스퍼드 대학의 환경변화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웨일즈대학에서 교수로 있으면서 영국의 수자원 문제 조사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왕립 인류학협회의 장학금을 받았다. 이후 뉴질랜드로 넘어가 오클랜드대학에서 인류학과 교수로 근무하며 물 문제에 관한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통합연구를 진행했는데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07년 유네스코의 International Water Prize 중 하나인 Water? Leading Lights를 수상했다. 현재는 더럼대학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물과 문화적 다양성프로그램에도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 《Gardening the World: agency, identity, and the ownership of water》(2009), 《The Meaning of Water》(2004) 등이 있다.
더럼대학 인류학 교수이자 고등학술연구회 상임이사로 인간과 환경과 자연, 특히 물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집중적으로 해왔다. 옥스퍼드 대학의 환경변화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웨일즈대학에서 교수로 있으면서 영국의 수자원 문제 조사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왕립 인류학협회의 장학금을 받았다. 이후 뉴질랜드로 넘어가 오클랜드대학에서 인류학과 교수로 근무하며 물 문제에 관한 사회과학과 자연과학의 통합연구를 진행했는데 이 공로를 인정받아 2007년 유네스코의 International Water Prize 중 하나인 Water? Leading Lights를 수상했다. 현재는 더럼대학에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네스코의 물과 문화적 다양성프로그램에도 참여하고 있다. 저서로 《Gardening the World: agency, identity, and the ownership of water》(2009), 《The Meaning of Water》(2004)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