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는 의사소통을 위해 약속된 도구다. 언어를 통해 우리는 서로의 뜻을 확인한다. 남북은 70년 넘는 분단 때문에 정치, 사회,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이질화가 심해졌지만 여전히 공통점은 남아 있다. 바로 언어다. 특히 남북한의 말과 글을 규정한 어문 규범은, 1933년 조선어학회가 만든 [한글 마춤법 통일안]을 기초로 하여 각자의 현실과 언어관에 맞춰 발전해 왔다. 이 책은 조선어학회의 [한글 마춤법 통일안](1933)을 중심으로 남북한의 맞춤법, 띄어쓰기법, 발음법, 문장 부호법, 외래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등 모든 어문 규범의 역사적 변천 과정과 실사용례를 꼼꼼히 살펴본 다음 궁극적으로는 남북한 어문 규범 통일안을 제안한다.
남북 분단이 고착화된 상황에서 통일로 가는 길은 멀게만 보인다. 그럼에도 우리의 평화와 안녕을 위해 통일은 반드시 거쳐야 할 관문이다. 통일이 당장 이룰 수 없는 목표라 하더라도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준비는 필요하다. 남한과 북한은 여러 차이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언어를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각자 자신이 사용하는 말을 한국어 혹은 조선어라 부르지만, 사실 두 언어는 같은 뿌리에서 갈라져 나온 형제이다. 이 책은 통일을 위한 여러 준비 중 하나로 남북 어문 규범 통일안을 제시한다.
Contents
제1장 서론
1.1 연구목적과필요성
1.2 연구의내용
1.3 연구의방법과자료
1.3.1 방법
1.3.2 자료
제2장 남북한 어문 규범의 개념과 범위
2.1 들어가기
2.2 규범의개념과종류
2.2.1 규범과 규정의 개념
2.2.2 규범의 종류
2.3 언어규범과어문규범의개념
2.4 남북한어문규범의범위와종류
2.4.1 남북한 어문 규범의 범위
2.4.2 남북한 어문 규범의 종류
2.5 나가기
제3장 남북한 어문 정책의 사상적 배경과 어문 규범 변천 및 과제
3.1 들어가기
3.2 남북한어문정책의사상적배경
3.2.1 남한 어문 정책의 사상적 배경
3.2.2 북한 어문 정책의 사상적 배경
3.3 남북한어문규범정책의변천
3.3.1 남한 어문 규범 정책의 변천
3.3.2 북한 어문 규범 정책의 변천
3.4 남북한어문규범정책의동질성회복을위한과제
3.4.1 남북한 어문 규범 정책 선도자들의 사상과 실제
3.4.2 남북한 어문 규범 정책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과제
3.5 나가기
제4장 남북한 한글 맞춤법의 원리와 변천 및 과제
4.1 들어가기
4.2 한글맞춤법의성격과원리
4.2.1 한글 맞춤법의 성격
4.2.2 한글 맞춤법의 원리
4.3 분단이전한글맞춤법의변천
4.3.1 〈제1기〉 조선 시대(1443 1894)
4.3.2 〈제2기〉 개화기·대한제국 시기(1894 1910)
4.3.3 〈제3기〉 일제 강점기(1910 1945)
4.4 남한한글맞춤법의변천과과제 〈제4기①〉
4.5 북한한글맞춤법의변천과과제 〈제4기②〉
4.6 나가기
제5장 남북한 띄어쓰기법의 변천과 과제
5.1 들어가기
5.2 남북한띄어쓰기법의사상과변천
5.2.1 한글의 띄어쓰기법 사상
5.2.2 남한 띄어쓰기법의 변천
5.2.3 북한 띄어쓰기법의 변천
5.3 남북한띄어쓰기법의실제와과제
5.3.1 남한 띄어쓰기법의 실제
5.3.2 북한 띄어쓰기법의 실제
5.4 나가기
제6장 남북한 문장 부호법의 변천과 과제
6.1 들어가기
6.2 남한문장부호법의변천
6.2.1 남한 문장 부호법의 변천
6.2.2 남한 문장 부호들의 명칭과 종류
6.3 북한문장부호법의변천
6.3.1 북한 문장 부호법의 변천
6.3.2 북한 문장 부호들의 명칭과 종류
6.4 남북한문장부호법의비교및과제
6.5 나가기
제7장 남북한 표준어와 발음법의 변천과 과제
7.1 들어가기
7.2 남한의표준어규정과표준발음법의제정과정
7.2.1 남한의 표준어와 그 규정
7.2.2 남한의 표준 발음법 제정 과정
7.3 북한의문화어등장과발음법변천
7.3.1 북한의 문화어 등장
7.3.2 북한의 발음법 변천
7.4 남북한의발음법비교및과제
7.4.1 남북한의 발음법 체제 비교
7.4.2 남북한의 발음법 내용 비교
7.5 나가기
제8장 남북한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과 과제
8.1 들어가기
8.2 남한외래어표기법의변천과과제
8.2.1 남한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8.2.2 남한에서 한자 문화권 고유 명사의 원지음주의 표기 문제
8.3 북한외래어표기법의변천과과제
8.3.1 북한 외래어 표기법의 변천
8.3.2 북한에서 한자 문화권 고유 명사의 원지음주의 표기 문제
8.4 나가기
제9장 남북한 로마자 표기법의 변천과 과제
9.1 들어가기
9.2 남한로마자표기법의변천
9.3 북한로마자표기법의변천
9.4 남북한로마자표기법의비교및과제
9.5 나가기
제10장 결론
10.1 요약
10.2 제언
Author
이관규
충청남도 부여에서 출생하고 서울에서 청소년기를 지냈다.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교 대학원에서 박사 공부를 하였다. 부산여자대학교(현 신라대학교)와 홍익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국어교육학회와 한국문법교육학회에서 회장을 역임하였고, 문화관광부 국어심의회 심의위원을 맡는 등 여러 봉사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학교문법론≫, ≪학교문법교육론≫, ≪문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교사를 위한 문법 이야기≫ 등 주로 문법 교육 분야의 저술을 집필하였으며, 최근에는 ≪남북한 어문 규범의 변천과 과제≫를 집필하고 ≪체계기능언어학 개관≫을 발간하는 등 연구 영역을 새로이 확장하고 있다.
충청남도 부여에서 출생하고 서울에서 청소년기를 지냈다. 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동교 대학원에서 박사 공부를 하였다. 부산여자대학교(현 신라대학교)와 홍익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지금은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에서 연구하고 가르치는 일을 하고 있다. 국어교육학회와 한국문법교육학회에서 회장을 역임하였고, 문화관광부 국어심의회 심의위원을 맡는 등 여러 봉사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학교문법론≫, ≪학교문법교육론≫, ≪문법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교사를 위한 문법 이야기≫ 등 주로 문법 교육 분야의 저술을 집필하였으며, 최근에는 ≪남북한 어문 규범의 변천과 과제≫를 집필하고 ≪체계기능언어학 개관≫을 발간하는 등 연구 영역을 새로이 확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