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 방법 및 추진체계
Ⅱ. 선행연구 검토
1. 한국보육교사회에 관한 논의
2. 보육정책과 보육정책 변동에 관한 논의
3.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논의
4. 소결
Ⅲ 한국보육교사회의 활동과 의미 분석
1. 탁아운동의 시작, 빈민ㆍ여성 노동운동의 결합
지역사회탁아소연합회1기(1987년 6월~1991년7월
2. 탁아운동에서 민간 보육 비영리화 운동으로 전환:
지역사회탁아소연합회 2기(19991년 하반기~19994년)
3.보육의 질 제고를 뉘한 보육교사 대중운동 준비:
지역사회 탁아소연합회 3-1기(1995년~1997년 상반기)
4. 보육교사 대중운동의 정체성 확립 및 역량강화:
한국보육교사회 3-2기(19997년 하반기~2000년)
5. 새로운 보육 토양 조성을 위한 한국보육교사회의 산화
지역사회탁아소연합회 3-3기(2001년~2006년)
Ⅳ 결론 및 함의
1. 결론 및 연구의 의의
2. 정책적 개선 방향: 보육교사 정책입안 과정 참여
강화 방안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