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철학을 통해 시를 해석하고 시를 통해 철학을 넘어서는 길을 모색하는 비평서이다. 책에서는 당대 여러 시인들의 시(디카시)를 읽어내면서 현재 우리 문학의 징후를 발견함과 동시에 여러 철학자의 담론을 통해 그들의 시가 접하고 있는 대지와 이를 통해 일으켜 세우는 세계의 양상을 면밀하게 들여다보고자 했다. 이 책은 ‘철학’이라는 앎과 ‘시’라는 제작과 ‘정치’라는 윤리적 실천 사이의 관계 속에서 철학을 통해 시를 사유하고 시를 통해 철학을 넘어서는 하나의 도주선을 더듬어 보고자 하는 데 작은 의미가 있다. 그런 의미에서 ‘시의 세계, 철학의 대지’라는 이 책의 부제는 예술과 현실의 작동 원리와 그 사이를 가로지르는 미학의 정치성을 내포하고 있어, 이를 통해 발견하게 된 우리 시문학의 현 단계는 우리 문학의 풍향계로서도 일정 부분 기여하게 될 것이다.
일찍이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 활동의 세 가지 유형을 테오리아(theoria), 포이에시스(poiesis), 프락시스(praxis)로 정의한 바 있다. 이는 각각 이론적 탐구, 제작 활동, 윤리적 실천을 가리킨다. 시는 포이에시스의 어원이 가리키는 바와 같이 하나의 제작이며 창조 행위이다. 시는 재현이 아닌 생산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제작 활동은 다시 윤리적(사회적) 실천으로 이어지고 이 과정에서 하나의 이론이 정립되며 이 이론은 또 다른 제작의 기반이 됨과 동시에 이를 넘어서기 위한 도약의 발판이 된다. 이와 같은 인간 활동의 범주가 역동적으로 작용하여 인류의 역사가 진보를 거듭해 온 것이다.
조르주 귀스도르프 식으로 말하자면 구체적 발화체로서의 파롤은 추상적인 언어 목록인 랑그에 의해서 운용되지만 새로운 파롤은 항시 랑그에 대한 반역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앞서 얘기한 바와 같이 하나의 창조임과 동시에 기존의 랑그 체계를 무력화시키는 정동적 에네르기를 동반한다.
들뢰즈는 “인간은 절편적 동물”이라고 말한다. 우리 사회의 무수한 이항적 절편 구조를 보면 이는 명확해진다. 파시즘이 무서운 것은 이러한 절편화 작용을 통해서 여러 사회적 배치물들을 정교하게 위치시키기 때문이다. 조르조 아감벤 식으로 말하자면 이는 일종의 장치로서 주체를 생산하는 “담론, 제도, 법, 경찰, 더 나아가 철학적 명제”들의 정교한 절편 구조를 가리킨다. 그의 장치학의 핵심은 이러한 장치들에 대한 개입과 통치될 수 없는 분할의 지점들에 대한 발명 혹은 발견을 통해 무수한 이접을 만들어 간다는 데 있다.
Contents
track 00
여는 글: 시와 철학의 존재 방식―포이에시스와 테오리아…9
track 01
바흐친 · 마수미 · 들뢰즈 · 라캉의 철학과 디카시―디카시의 철학적 가능성에 대한 시론…15
track 02
바흐친의 기호 이론과 디카시―시적 순간 혹은 말 너머의 세계…37
track 03
귀스도르프의 언어철학과 디카시―사이-내 존재entre-deux로서의 마술어…49
track 04
퐁티의 현상학과 시―사물의 기척을 듣다…63
track 05
하이데거의 존재론과 시―존재 망각을 꿰뚫는 통찰의 시들…77
track 06
사르트르의 존재론과 시―부재를 견디는 두 겹의 노래…91
track 07
들뢰즈의 도주선과 시―‘시의 삶-되기’, ‘삶의 시-되기’…109
track 08
벤야민 · 베르그송 · 라캉 · 보드리야르 · 드보르의 철학과 시…127
track 09
동서양의 우주론과 시―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의 우주론…151
track 10
미학의 정치성에 관한 두 가지 시선―不二 혹은 不異의 세계…165
track 11
언어의 외전外典, 존재자의 저편…177
참고 서지…189
찾아보기…193
Author
김겸
한양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현대문학」에 평론이, 2007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에 소설이, 2021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김겸’이라는 필명으로 시가 각각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펴낸 책으로 문학평론집 『비평의 오쿨루스』, 소설집 『잘 가라, 미소』(2012년 우수문학도서), 장편소설 『여행의 기술: Hommage to Route7』(2014년 우수문학도서), 학술서 『도시는 무엇을 꿈꾸는가』(2022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 시집 『하루 종일 슬픔이 차오르길 기다렸다』 등 다수가 있다. 현재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에 재직하며 연구와 창작을 병행하고 있다.
한양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02년 「현대문학」에 평론이, 2007년 「매일신문」 신춘문예에 소설이, 2021년 「강원일보」 신춘문예에 ‘김겸’이라는 필명으로 시가 각각 당선되어 등단하였다. 펴낸 책으로 문학평론집 『비평의 오쿨루스』, 소설집 『잘 가라, 미소』(2012년 우수문학도서), 장편소설 『여행의 기술: Hommage to Route7』(2014년 우수문학도서), 학술서 『도시는 무엇을 꿈꾸는가』(2022년 세종도서 학술 부문 선정), 시집 『하루 종일 슬픔이 차오르길 기다렸다』 등 다수가 있다. 현재 가톨릭관동대학교 VERUM교양대학에 재직하며 연구와 창작을 병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