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셜(A. Marshall)이 제시한 사회권은 인간의 생존과 삶에 필요한 여러 요소가 부족하지 않도록 국가에 대해 요구할 수 있는 시민의 권리 중 하나라고 보고 있습니다. 마셜이 주장했던 사회권을 시민 모두가 인식하도록 돕고, 연대를 통해 국민의 집을 만들어 가는 역할이 바로 사회복지행정이 추구해야 할 가치로 판단됩니다.
이 책은 이런 배경을 염두에 두고 총 4부로 구성, 14장의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사회복지학 전공 학생들의 사회복지행정론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사회복지사 1급 자격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에게는 이론적 기반을 단단히 하도록 돕는 교재가 될 수 있게 하였고, 일선 사회복지사들을 포함한 시민들에게는 끊임없이 자신의 존재와 공동체의 의미를 되새기며,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해 실천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이드로도 활용할 수 있는 있도록 만들어진 도서입니다.
Contents
PART 01 사회복지행정의 기초
Chapter 01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1) 사회복지의 개념
2)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2. 사회복지행정의 특성
3. 사회복지행정의 가치
1) 효과성
2) 효율성
3) 공평성
4) 접근성
4. 사회복지행정의 과정
1) 기획
2) 조직
3) 인사
4) 지시·감독
5) 조정
6) 보고
7) 예산·재정
8) 평가
5. 사회복지행정의 영역
1) 수평적 영역
2) 수직적 영역
3) 관리기술 영역
6. 사회복지행정가의 역할과 태도
1) 수용(accepting)
2) 관심과 보호(caring)
3) 창의성 발휘(creating)
4) 민주성 발휘(democratizing)
5) 신뢰(trusting)
6) 인정(approving)
7) 개인적 균형과 조화의 유지(maintaining balance & harmony)
8) 기획(planning)
9) 조직화(organizing)
10) 우선순위 결정(prioritizing)
11) 위임(delegating)
12) 지역사회 및 타 전문직과의 관계 유지(maintaining relationships)
13) 의사결정(decision)
14) 행동 촉진 및 조정(facilitating)
15) 의사소통(communicating)
16) 직원 발전의 촉진(building others up)
17) 동기부여(motivating)
Chapter 02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미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인식기(19세기 후반~1920년대)
2) 기초 정립기(1930~1950년대)
3) 정체기(1960년대)
4) 발달기(1970~1980년대)
5) 도전과 응전기(1990년대 이후)
2. 영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엘리자베스 구빈법(1601년)
2) 구빈법의 변천(1601~1834년)
3) 사회개혁과 탈구빈법(1886~1911년)
4) 복지국가의 성립(1930년대~1960년대)
5) 복지국가의 위기와 대응(1970년대 이후)
3. 일본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사회복지행정의 기초 정립기(1945~1959년)와 확대기(1960년대~1973년)
2) 전환기(1974년~1990년)와 지역복지 정착기(1991년 이후)
4.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태동기(1945년 이전)
2) 기틀 마련기(1946년~ 1970년대)
3) 발달기(1980년~1990년대)
4) 확립기(2000년대~ 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