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초등 한글 능력 진단 평가

무한 반복하는 한글 교육은 그만! 이젠 진단을 통해 모르는 글자만 따로 익혀 빨리 한글 뗀다!
$15.12
SKU
9791191061079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2/21 - Thu 02/2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2/18 - Thu 02/2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5/05
Pages/Weight/Size 230*297*9mm
ISBN 9791191061079
Categories 유아 > 유아 학습
Description
‘우리 아이는 한글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하는 물음에서 시작된 교재
진정한 한글 독립을 체계적으로 도와주는, 과학적 한글 진단 평가 프로그램!


아이를 키우시는 부모님들께서는 아이가 걸음마를 시작한 이후부터 자연스레 한글 교육에 지대한 관심을 갖게 됩니다. 자녀 유년기의 ‘한글 떼기’는 부모에게도 아이에게도 해결해야 할 가장 큰 학업 과제와도 같습니다. 지금 당장 인터넷 검색창에 ‘한글 교육’을 검색해 봐도 수많은 정보로 가득합니다. 우리 아이에게 언제부터 어떻게 한글 교육을 시켜야 할지 막막해하면서도 다수가 선택한 방법을 따라 한글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한글 공부에 관해 많은 자료를 찾아보고 교재를 선택할 때 주변의 평을 듣거나 리뷰를 살펴보는 등 나름 많은 시간과 공력을 쏟으셨겠지요. 그간 간단한 브로마이드부터 시작해서 교재, 방문 학습지, 인터넷 학습 프로그램 등 많은 한글 공부 관련 방법과 교재로 아이에게 오랫동안 한글을 가르치셨을 것입니다. 아이의 유년기 내내 “많은 한글 교육이 있었다.”라고 말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그동안 이 질문을 간과해 왔습니다.

‘우리 아이는 한글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우리에게는 이 궁금증을 해결할 마땅한 평가 도구가 없습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한 학기가 지나면 1학년 담임 선생님이 온라인 평가 도구를 사용해서 우리 아이의 한글 능력을 진단합니다. 그렇지만 1학년 2학기는 현실적으로 늦은 시기가 아닌가 걱정도 됩니다. 더구나 이 평가 도구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어서 한글 능력을 정확하게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우리 아이가 정말 한글을 뗐을까?’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 거지?’
‘읽기는 되는데 왜 쓰기는 못 하지?’
‘단어 몇 개 읽을 줄 알면 한글을 아는 것 아니야?’
부모님 입장에서는 머릿속에 끊임없이 생기는 의문을 속 시원하게 해결할 진단 도구가 없어서 답답합니다. 그리고 한글 교육에 계속 시간과 비용을 투자합니다.

이런 비효율적인 한글 공부를 개선하기 위해 최영환 교수님 연구팀에서 학습자의 연령과 학습 정도에 따라 한글 능력을 정확하게 진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진단 평가 교재를 개발하였습니다. 우리 아이가 한글을 모른다고 걱정하지 말고, 한글을 다 안다고 섣불리 판단하지도 말고, 학교에 가면 자연스럽게도 배울 수 있다고 너무 믿지도 말아야 합니다. 한글 능력을 정확하게 진단해야 그에 맞는 도움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글을 가르치기 전에,
한글을 가르치는 중에,
한글을 가르치고 나서,
우리 아이의 한글 능력을 진단하면 한글 교육과 그 이후 교육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우리 아이에게 ‘정확한 진단을 통한 적절한 한글 교육’을 시켜 주세요.
Contents
1단계 간편 진단 평가

1단계 정밀 진단 평가 1회
1-1. 기본 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1-2. 기본 자음 1(ㄱ, ㄴ, ㄷ, ㄹ, ㅁ, ㅂ)
1-3. 기본 자음 2(ㅅ, ㅈ, ㅊ, ㅋ, ㅌ ㅍ, ㅎ)

1단계 정밀 진단 평가 2회
1-4. 기본 받침(ㄱ, ㄴ, ㄹ, ㅁ, ㅂ, ㅅ, ㅇ)
1-5. 복잡한 모음(ㅐ, ㅔ, ㅘ, ㅚ, ㅙ, ㅝ, ㅞ, ㅟ, ㅢ, ㅒ, ㅖ)
1-6. 복잡한 자음(ㄲ, ㄸ, ㅃ, ㅆ, ㅉ)

2단계 간편 진단 평가

2단계 정밀 진단 평가 1회
2-1. 기본 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2-2. 기본 자음 1(ㄱ, ㄴ, ㄷ, ㄹ, ㅁ, ㅂ)
2-3. 기본 자음 2(ㅅ, ㅈ, ㅊ, ㅋ, ㅌ, ㅍ, ㅎ)

2단계 정밀 진단 평가 2회
2-4. 기본 받침(ㄱ, ㄴ, ㄹ, ㅁ, ㅂ, ㅅ, ㅇ)
2-5. 복잡한모음(ㅐ, ㅔ, ㅘ, ㅚ, ㅙ, ㅝ, ㅞ, ㅟ, ㅢ, ㅒ, ㅖ)
2-6. 복잡한 자음(ㄲ, ㄸ, ㅃ, ㅆ, ㅉ)

3단계 간편 진단 평가

3단계 정밀 진단 평가 1회
3-1. 기본 모음(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3-2. 기본 자음 1(ㄱ, ㄴ, ㄷ)
3-3. 기본 자음 2(ㄹ, ㅁ, ㅂ)

3단계 정밀 진단 평가 2회
3-4. 기본 자음 3(ㅅ, ㅈ, ㅊ)
3-5. 기본 자음 4(ㅋ, ㅌ, ㅍ, ㅎ)

3단계 정밀 진단 평가 3회
3-6. 기본 받침 1(ㄱ, ㄴ, ㄹ)
3-7. 기본 받침 2(ㅁ, ㅂ, ㅅ, ㅇ)

3단계 정밀 진단 평가 4회
3-8. 복잡한 모음 1(ㅐ, ㅔ, ㅘ, ㅟ, ㅢ)
3-9. 복잡한 모음 2(ㅚ, ㅙ, ㅝ, ㅞ, ㅒ, ㅖ)
3-10. 복잡한 자음(ㄲ, ㄸ, ㅃ, ㅆ, ㅉ)
Author
최영환,민병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국어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경인(인천)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 현장에서 바르고 실용적인 국어교육에 대한 남다른 철학을 갖고 학생들을 지도하며, 왕성한 집필 활동과 학회 활동을 하고 있다.

교사들을 양성하는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만큼 그의 저술에는 국어교육법에 대한 연구서가 다수를 차지하지만 그의 국어 교육 노하우와 지식의 깊이를 직접 느낄 수 있는 책들은 바로 이제 막 국어 학습을 시작하는 어린이들을 위한 책이다. 초등 교과서를 집필해 본 경험이 있는 저자는 그저 암기식의 받아쓰기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들의 언어습득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하여 총 40단계로 구성된 『기적의 받아쓰기』를 제작했다. 우리 말 받아쓰기는 가끔 어른들도 헷갈려 하는 것이 많은 쉽지 않은 영역이다. 최영환 교수는 과학적인 한글은 그 쓰기 원리를 파악하면 누구나 어려움 없이 올바른 맞춤법을 구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어린이들의 한글 능력이 놀랍도록 향상되는 것도 경험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언어 습득 과정에 대한 그의 치밀한 연구 활동 또한 경험할 수 있다.

그 밖의 그의 저서로는 『국어교육학의 지향』(2004 대한민국 학술원 기초 학문 분야 우수 학술 도서), 『국어과 수행중심 평가』『효과적인 읽기 수업 어떻게 할까』『남북한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 연구』등이 있다. 제5차 국어과 고등 학교 교사용 지도서 집필, 제6차 국어과 교육과정 심의위원, 제7차 국어과 초, 중, 고등 교과서 집필,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 출제위원을 역임하기도 한 그는 한글 교육과 관련하여, 전 세계 한글학교에 보급하는 한글 학습 교재를 집필하기도 했다. 현재 EBS [한글이 야호] 프로그램의 자문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에서 국어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 강사를 역임하였고, 현재 경인(인천)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초등 교사를 양성하는 교육 현장에서 바르고 실용적인 국어교육에 대한 남다른 철학을 갖고 학생들을 지도하며, 왕성한 집필 활동과 학회 활동을 하고 있다.

교사들을 양성하는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만큼 그의 저술에는 국어교육법에 대한 연구서가 다수를 차지하지만 그의 국어 교육 노하우와 지식의 깊이를 직접 느낄 수 있는 책들은 바로 이제 막 국어 학습을 시작하는 어린이들을 위한 책이다. 초등 교과서를 집필해 본 경험이 있는 저자는 그저 암기식의 받아쓰기를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어린이들의 언어습득 과정을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하여 총 40단계로 구성된 『기적의 받아쓰기』를 제작했다. 우리 말 받아쓰기는 가끔 어른들도 헷갈려 하는 것이 많은 쉽지 않은 영역이다. 최영환 교수는 과학적인 한글은 그 쓰기 원리를 파악하면 누구나 어려움 없이 올바른 맞춤법을 구사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어린이들의 한글 능력이 놀랍도록 향상되는 것도 경험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언어 습득 과정에 대한 그의 치밀한 연구 활동 또한 경험할 수 있다.

그 밖의 그의 저서로는 『국어교육학의 지향』(2004 대한민국 학술원 기초 학문 분야 우수 학술 도서), 『국어과 수행중심 평가』『효과적인 읽기 수업 어떻게 할까』『남북한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 연구』등이 있다. 제5차 국어과 고등 학교 교사용 지도서 집필, 제6차 국어과 교육과정 심의위원, 제7차 국어과 초, 중, 고등 교과서 집필, 대학입학수학능력시험 언어영역 출제위원을 역임하기도 한 그는 한글 교육과 관련하여, 전 세계 한글학교에 보급하는 한글 학습 교재를 집필하기도 했다. 현재 EBS [한글이 야호] 프로그램의 자문교수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