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언어의 표정은 생각 이상으로 다채롭다. 궁극적으로 영화의 욕망이란 곧 영화 언어의 표정을 발굴하려는 작가 정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영화 언어는 크게 대사, 상황 설정, 피사체의 지형도, 이미지, 움직임 등으로 나뉜다. 대사를 듣고 상황을 인식하며 이미지를 음미하고 움직임을 체감하는 행위는 영화 감상의 토대이며, 영화 언어에 대한 지식은 영화를 향한 시선을 풍요롭게 해 준다. 이 책에서는 대사, 상황 설정, 이미지, 움직임을 중심으로 현학적인 지식이 아니라 알고 있으면 우리의 영화 감상을 더욱 풍부하게 해 주는 지식으로서의 영화 언어를 다루었다.
Contents
개정판을 펴내며
들어가는 글
Ⅰ. 내면의 외면‘화’
1. 정보 전달
2. ‘화(化)’, 모양이 바뀌다
3. 영화 언어
4. ‘화’의 양상
5. 설명과 환기
Ⅱ. 설명하는 외면화
1. 설명하는 대사
1) 문어체 대사
2) 영어회화 대사
3) 브리핑하는 대사
4) 상투적 간접화법
2. 도구화된 캐릭터
3. 현재에 종속된 과거
Ⅲ. 환기하는 대사
1. 구어체 대사
2. 비속어의 가치
3. 정서적 대사
4. 아이러니 대사
5. 시적 대사
Ⅳ. 피사체의 지형도
1. 셔레이드, 피사체의 지형도
2. 인물 지형도
3. 접근 양식
4. 공간 지형도
5. 상황적 역설
Ⅴ. 카메라 시선
1. 영화의 구성단위
2. 프레임 역학 : 포함과 배제
3. 내화면과 외화면
1) 내화면 2) 영토 공간
3) 외화면 4) 재현의 윤리
4. 렌즈와 앵글
1) 렌즈 2) 앵글
5. 쇼트
1) 익스트림 롱 쇼트 2) 롱 쇼트
3) 미디엄 쇼트 4) 클로즈업
5) 쇼트 변화
6. 움직임의 역학
1) 피사체의 움직임
2) 카메라의 움직임
3) 움직임의 역학
나오는 글
참고문헌
Author
박우성
동국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학과에서 『이창동 영화의 타자성과 윤리적 재현방식 연구』로 영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반공영화가 반공담론을 구성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로 영화진흥위원회 우수논문상을, 「주술에 취한 탈역사의 풍경―[워낭소리]론」과 『베트남에서 온 여인―[박쥐]론』으로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신인평론상을 수상했다. 영화 전문지 [무비위크]와 [매거진M]에서 영화평론가로 활동했으며 한국영화학회에서 학술이사를 맡고 있다. 현재 상명대, 동국대, 대진대, 성신여대, 인하대, 세종대, 경희대에서 영화미학, 영화감독, 영화비평 등의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
동국대학교 대학원 영화영상학과에서 『이창동 영화의 타자성과 윤리적 재현방식 연구』로 영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반공영화가 반공담론을 구성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로 영화진흥위원회 우수논문상을, 「주술에 취한 탈역사의 풍경―[워낭소리]론」과 『베트남에서 온 여인―[박쥐]론』으로 한국영화평론가협회 신인평론상을 수상했다. 영화 전문지 [무비위크]와 [매거진M]에서 영화평론가로 활동했으며 한국영화학회에서 학술이사를 맡고 있다. 현재 상명대, 동국대, 대진대, 성신여대, 인하대, 세종대, 경희대에서 영화미학, 영화감독, 영화비평 등의 주제로 강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