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그림책은 작가가 『괴물들이 사는 나라』를 오마주 하였습니다. 하지만 서양의 것이 아닌 동양의 것을 표현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괴물들이 사는 나라』에서는 말썽부리는 아이에게 저녁밥도 주지 않고 가두는 폭력적인 상황이 연출됩니다. 아이의 상상의 나라에서도 괴물들에게 저녁밥도 주지 않고 자라고 하는 폭력이 되물림되지요. 아이는 혼자서 먹으라고 넣어 준 밥에 만족해야 하지요. 작가는 『케이크를 먹는 나라』에서 이러한 서양식 해석이 아닌 ‘우리’‘함께’라는 한국식 해석을 했습니다.
『케이크를 먹는 나라』에서 아이는 엄마에게 떼를 쓰다가 마음대로 되지 않자 집으로 돌아와 스스로 방 안에 들어갑니다. 그리고 토끼를 따라 상상의 나라로 갑니다. 상상의 나라에서 아이는 원하던 케이크를 마음껏 얻지만 서로 먹겠다고 싸우며 떼쓰는 동물들을 보고 오히려 중재자 역할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아이 스스로 그 상황의 문제점을 깨닫고 현실로 돌아옵니다. 식탁에는 엄마가 준비한 사랑이 넘치는 저녁밥이 있지요. 아이는 이제 케이크보다 엄마의 사랑이 담긴 밥을 먹고 싶어 합니다.
아이들은 어른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창의적이고 생각이 깊습니다. 조금만 기다려 주고 한 명의 인격체로 대접해 주고 대화를 이끌어 나가다 보면 스스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해 나갈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해 아이의 욕구를 자연스럽게 풀어 주며, 엄마와 아이가 문제에 부딪쳤을 때 지혜롭게 해결해 나갈 수 있기를 바랍니다.
Author
김희진
그린 책으로 『알록달록 성경 동화』 시리즈와 『목욕 중』이 있고, 쓰고 그린 책으로 『케이크를 먹는 나라』 『공룡은 딸기를 좋아해』 등이 있습니다.
“어릴 적에 슈퍼맨이 되고 싶어서 보자기를 펄럭이며 하늘을 향해 뛰고 또 뛰었어요. 어느 날 등 뒤에 달린 투명 망토를 봤어요. 남을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들 때 생기는 것 같았어요. 여러분 등 뒤에도 확인해 보세요. 만약 망토가 보이지 않는다면 그건 투명해서일 거예요. ”
그린 책으로 『알록달록 성경 동화』 시리즈와 『목욕 중』이 있고, 쓰고 그린 책으로 『케이크를 먹는 나라』 『공룡은 딸기를 좋아해』 등이 있습니다.
“어릴 적에 슈퍼맨이 되고 싶어서 보자기를 펄럭이며 하늘을 향해 뛰고 또 뛰었어요. 어느 날 등 뒤에 달린 투명 망토를 봤어요. 남을 도와주고 싶은 마음이 들 때 생기는 것 같았어요. 여러분 등 뒤에도 확인해 보세요. 만약 망토가 보이지 않는다면 그건 투명해서일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