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와 상담심리가 만나다

엉켜버린 마음을 마법처럼 풀어주는 영화치료의 모든 것
$21.38
SKU
979119088824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5 - Fri 05/9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4/30 - Fri 05/2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7/10
Pages/Weight/Size 148*210*30mm
ISBN 9791190888240
Categories 인문 > 심리
Description
우리는 이미 삶 속에서 스스로를 돕기 위해
영화를 활용하고 있으며
일상에서 영화치료가 이루어지고 있다
― 게리 솔로몬(영화치료의 선구자)

“어서 오세요. 영화치료 상담실입니다”
상담심리전문가가 영화치료로 마음에 묵은 상처를 치유합니다


이 책의 주인공은 상담심리고, 조연은 영화와 영화치료다. 영화치료는 우리가 보면서 웃고 울고 때론 분노하고 감동하는 영화를 치료적 수단 혹은 심리치료의 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이때 영화치료의 핵심은 영화 내용에 관한 토론이 아니다. 관람자 혹은 내담자에게 어떤 장면이 어떻게 영향을 주었는지 민감하게 살펴보고 그 이유를 찾아가며 자신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있다.
영화를 상담에 활용한 영화치료를 좀 더 쉽고 이해할 수 있도록 영화 속 멋진 상담자와 주옥같은 ‘상담적 대사’들 위주로 들려준다. 사람의 심리와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영화 속 캐릭터도 소환하였다. 영화 속 캐릭터는 스크린 밖의 우리와 많이 닮아있어서 ‘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영화치료의 선구자로서 한국영상영화치료학회장을 역임했고, 1급 전문 수련감독자로서 후진을 양성하고 있는 저자는 심리상담, 특히 영화치료를 배우고자 하는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마음에 묵은 상처를 지닌 모두에게 위로와 치유를 선물하고 있다.
Contents
추천사
저자의 말

1장. 인간의 욕망을 비추는 영화 ― 추앙해요, 당신을

· 의식적으로, 자각하며
· 영화는 볼록렌즈
· 욕망을, 보다
· A or B, A and B
· 선택 그리고 완벽한 실패

2장. 마음의 통찰, 영화치료 ― 쉿! 비밀이야

· 아, 통찰!
· 나만의 랍비
· 아프게 만나고, 멋지게 이별하기
· 표현, 놀랍고도 신기한
· ‘좋은’이라는 단어의 정의
· 하루하루가 신기한

3장. 상담자로 살아간다는 것 ― 인생도 영화처럼 편집한다면

· 나는, 당신을 봅니다
· 상담자도 크게 다르지 않아
· 진심이 맞닿을 수 있도록
· 꾸밈없이, 진솔하게
· 다르게 보기, 다르게 살기
· 누군가의 somebody
· 우리들의 해방일지
· 외롭고 긴 여정의 동행

4장. 영화와 사례로 만나는 상담심리 ― 누군가의 마음, 모두의 상처

· 곰, 양, 때론 고양이
· 어쩌면 낯설고 불쾌한
· 나, 너, 그리고 우리 관계
· 내가 행복하지 않을 때
· 미묘한 관계의 불편함
· 감정에 정답이 있을까?

Plus Page. 영화 『기생충』의 기택! 상담자를 만나다
· 심리 렌즈로 바라본 캐릭터 기택
· 영화 『기생충』 기택과의 가상 상담 축어록과 해석 풀이

부록. 영화치료 10문 10답
Author
김은지,소우
상담심리학자이자 상담심리전문가. 상담심리학 석사와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여성가족부 산하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상담자와 기관장으로서 18년간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활동하였다. 이후 상담 수련 전문기관 및 상담센터를 운영하면서 한국상담심리학회 주 수련감독자,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자, 1급 청소년상담사로서 상담자를 양성하였다. 우수 상담기관 장관상, 우수상담원 표창, 청소년유공자 장관상 표창, 부모교육 우수기관상, 영화치료를 활용해 우수 프로그램 개발상을 수상하였다. SBC방송국에서 생활칼럼을 진행하였고, 상담 전문 사이트 카운피아에서 영화치료 칼럼, 대구매일신문에서 매일춘추칼럼, 카카오 브런치에서 수년간 영화치료 및 사진치료 칼럼을 기고하였다.
국내 영화치료의 선구자로서 한국영상영화치료학회장을 역임했고, 1급 전문 수련 감독자로서 후진을 양성하고 있다. 영남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에서 객원 및 겸임교수로서 상담심리학과 영화·사진치료 수업을 진행하였고, 현재 경성대학교에서 후배 상담자들을 지도하면서 보람과 기쁨을 누리고 있다.
상담심리학자이자 상담심리전문가. 상담심리학 석사와 심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여성가족부 산하 청소년상담복지센터에서 상담자와 기관장으로서 18년간 지역사회 정신건강 증진을 위해 활동하였다. 이후 상담 수련 전문기관 및 상담센터를 운영하면서 한국상담심리학회 주 수련감독자, 한국상담학회 수련감독자, 1급 청소년상담사로서 상담자를 양성하였다. 우수 상담기관 장관상, 우수상담원 표창, 청소년유공자 장관상 표창, 부모교육 우수기관상, 영화치료를 활용해 우수 프로그램 개발상을 수상하였다. SBC방송국에서 생활칼럼을 진행하였고, 상담 전문 사이트 카운피아에서 영화치료 칼럼, 대구매일신문에서 매일춘추칼럼, 카카오 브런치에서 수년간 영화치료 및 사진치료 칼럼을 기고하였다.
국내 영화치료의 선구자로서 한국영상영화치료학회장을 역임했고, 1급 전문 수련 감독자로서 후진을 양성하고 있다. 영남대학교, 서울사이버대학교에서 객원 및 겸임교수로서 상담심리학과 영화·사진치료 수업을 진행하였고, 현재 경성대학교에서 후배 상담자들을 지도하면서 보람과 기쁨을 누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