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大學)』, 왜 고등학문의 바탕인가?

주자학의 시선
$13.80
SKU
979119083101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12/11 - Tue 12/17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12/6 - Tue 12/10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02/10
Pages/Weight/Size 152*223*20mm
ISBN 9791190831013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급변하는 사회는 공등학문 또는 고등교육의 세계를 뿌리채 흔들고 있다. 학문[교육]의 목적이나 목표, 내용이나 방법은 물론, 그 존재 의의까지도 고심하게 만든다. 이런 사태는 전통 대학과 현재 대학의 간극(間隙)으로 인해 빚어진 현상이다. 대한민국에서의 고등교육을 다시 한번 생각해봐야할 때이다. 이전과 동일한 방식의 ‘교육-연구-봉사’가 이 시대와 불협화음을 일으킨다. 그것은 시대정신을 제대로 담지 못하고 있다는 의미와 동일하다. 어떻게 할 것인가?

이전에 이루어진 고등학문의 본질을 분명하게 알아야, 그 한계를 지적할 수 있다! 어떤 사안이건, 한계를 인식할 때, 그것을 극복하는 창조가 가능하다! 이는 ‘온고이지신(溫故而知新)’의 행위이다. 온고이지신 가운데서도 이전의 한계, 전통을 탐구하는 작업은 온고(溫故)에 해당한다. 온고 가운데, 동양의 전통 고등학문을 다루는 『대학』을 집중적으로 다룬다. 여기에서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조그마한 실마리를 기대해 볼 수 있다.
Contents
머리말| 6

제1장. 고등교육이 학문성을 담보해야 하는 이유| 13

1. 대학, 고등교육기관의 사명| 15
2. 전통 대학, 그 고등학문의 근원| 22

제2장. 『대학』, 고등학문의 지위 부여| 33

1. 『대학장구』 서문의 기여| 35
2. 유학적 인간관과 고등학문의 존재 이유| 39
3. 고등학문의 마당과 학습의 과정| 49
4. 고등학문의 원칙과 방식| 64
5. 고등학문의 흥망과 표준| 70
6. 전통 고등학문의 특징 | 76

제3장. 고등학문의 기본원리; 3강령| 85

1. 제1원리 ‘명명덕(明明德)’; 자기성찰과 개혁의 명증성| 87
2. 제2원리 ‘신민(新民)’; 타자 배려와 협력의 혁신성| 99
3. 제3원리 ‘지어지선(止於至善)’; 최고선의 일상화와 학문의 지속성| 107
4. ‘3강령’의 유기체적 맥락| 118

제4장. 고등학문의 실천 구조; 8조목| 125

1. 대상의 파악과 장악; 격물(格物)-치지(致知)| 127
2. 자기 의지와 정체성 확립; 성의(誠意)-정심(正心)-수신(修身)| 145
3. 공동체의 질서와 평안; 제가(齊家)-치국(治國)-평천하(平天下)| 157
4. 8조목의 실천과 유기체적 특성| 167
1) 개인 확립의 인격화; 격물-수신| 167
2) 공동체 지속의 사회화; 제가-평천하| 178
3) 8조목의 유기체| 184

제5장. 현대 고등학문에 주는 시사| 191

참고문헌| 202
Author
신창호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서양철학 및 한국철학,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서양 교육철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 전통 사상을 비롯하여 동서양 고전의 현대 교육학적 독해 및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후학들에게는 교육학 및 한국 전통교육 사상을 강의하면서,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등 동양학 및 한국학, 교육학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전통교육의 현대적 의미를 성찰하고 재조명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사서의 수기론’, ‘중용의 교육사상’, ‘인간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 ‘공자평전’, ‘노자평전’, ‘공부 그 삶의 여정’, ‘관자’, ‘함양과 체찰’ ‘주역절중’ 등의 저역서가 있고 ‘유교의 학습철학’, ‘유교의 자아실현관과 삶의 맥락’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과 철학을 공부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동서양철학 및 한국철학,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서양 교육철학을 연구하였다. 현재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한국 전통 사상을 비롯하여 동서양 고전의 현대 교육학적 독해 및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후학들에게는 교육학 및 한국 전통교육 사상을 강의하면서, 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한중철학회 회장, 한국교육학회 부회장 등 동양학 및 한국학, 교육학 관련 학회에서 활동하며, 한국전통교육의 현대적 의미를 성찰하고 재조명하는 데 관심을 쏟고 있다. 주요 논저로는 ‘사서의 수기론’, ‘중용의 교육사상’, ‘인간 왜 가르치고 배우는가’, ‘공자평전’, ‘노자평전’, ‘공부 그 삶의 여정’, ‘관자’, ‘함양과 체찰’ ‘주역절중’ 등의 저역서가 있고 ‘유교의 학습철학’, ‘유교의 자아실현관과 삶의 맥락’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