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미안

$11.88
SKU
979119081836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Mon 05/12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hu 05/1 - Mon 05/5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5/04/25
Pages/Weight/Size 135*210*20mm
ISBN 9791190818360
Categories 소설/시/희곡 > 고전문학
Description
“나는 다만 내 마음속에서 저절로 우러나오는 삶을 살아가려고 했을 뿐이다.
그것이 어째서 그토록 어려웠을까?”

데미안이 우리 시대 젊은이에게 주는 메시지
자기 자신을 찾고 내면의 자유를 찾는 여정

헤르만 헤세가 쓴 소설 가운데 우리나라 독자들이 가장 사랑하는 작품은 단연 『데미안』이다. 『데미안』은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직후인 1919년 ‘데미안, 에밀 싱클레어의 젊은 날 이야기’라는 제목으로 처음 발표되었다. 헤세는 『데미안』에서 에밀 싱클레어에 자신을 이입해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내면의 목소리를 듣고, 자신만의 길을 찾는다. 이렇듯 헤르만 헤세의 성장 과정이 투영된 『데미안』은 정신의 공황을 떨쳐버리지 못하던 전쟁 세대 젊은이들에게 갱생의 길을 안내하는 이정표 역할을 했다.

“지금도 내 관심을 사로잡는 유일한 것은 나 자신에게 이르고자 내가 디뎠던 인생의 발걸음뿐”이라는 싱클레어의 고백은 전쟁으로 몸과 마음에 깊은 상처를 입은 당시 젊은이들에게 새로운 길을 암시해 준다. 그 새로운 길은 켜켜이 쌓인 상처와 트라우마 속에서도 변함없이 살아 숨 쉬는 ‘나 자신’을 만나는 것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의 상처가 아직 아물지 않은 1920년대 수많은 독일인과 유럽인이 『데미안』을 읽고 절망의 밑바닥에서 다시금 일어섰듯이 녹록지 않은 현재를 살아가는 독자들 또한 데미안이라는 길동무를 만나 ‘나 자신에게 이르는 길’을 발견하기를 기대한다.
Contents
1. 두 세계
2. 카인
3. 십자가에 못 박힌 강도
4. 베아트리체
5. 새는 알을 깨고 나오려 투쟁한다
6. 야곱의 싸움
7. 에바 부인
8. 종말의 시작

부록: 헤르만 헤세의 문학 세계를 기리며(토마스 만)
옮긴이 해설: 진정한 ‘나 자신’을 만나는 내면의 여정
헤르만 헤세 연보
Author
헤르만 헤세,송용구
1877년 독일 남부 칼프에서 선교사 부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신학교에 입학했으나 기숙사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망쳐 나왔으며, 서점과 시계 공장에서 일하며 작가로서의 꿈을 키웠다. 첫 시집《낭만적인 노래》가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인정을 받았고, 1904년《페터 카멘친트》가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1906년 자전적 소설《수레바퀴 아래서》를 출간했고, 1919년 필명 ‘에밀 싱클레어’로《데미안》을 출간했다. 가장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한 1920년에는《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클라인과 바그너》《방랑》《혼란 속으로 향한 시선》을 출간했다. 1946년《유리알 유희》로 노벨문학상과 괴테상을 수상했다. 1962년 8월 9일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전 세계인들에게 사랑받는 소설과 시, 수많은 그림을 남겼고, 평생을 통해 진정한 자유와 행복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
1877년 독일 남부 칼프에서 선교사 부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신학교에 입학했으나 기숙사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도망쳐 나왔으며, 서점과 시계 공장에서 일하며 작가로서의 꿈을 키웠다. 첫 시집《낭만적인 노래》가 라이너 마리아 릴케의 인정을 받았고, 1904년《페터 카멘친트》가 문단의 주목을 받았다. 1906년 자전적 소설《수레바퀴 아래서》를 출간했고, 1919년 필명 ‘에밀 싱클레어’로《데미안》을 출간했다. 가장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한 1920년에는《클링조어의 마지막 여름》《클라인과 바그너》《방랑》《혼란 속으로 향한 시선》을 출간했다. 1946년《유리알 유희》로 노벨문학상과 괴테상을 수상했다. 1962년 8월 9일 세상을 떠날 때까지 전 세계인들에게 사랑받는 소설과 시, 수많은 그림을 남겼고, 평생을 통해 진정한 자유와 행복의 의미를 찾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