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당 사변록 연구

$34.56
SKU
9791190727518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hu 05/15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5/6 - Thu 05/8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0/12/30
Pages/Weight/Size 153*225*30mm
ISBN 9791190727518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조선 후기 당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꽃핀 학자적 양심,
서계 박세당의 『사변록』에 관한 최신 연구 성과의 집성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1629~1703)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학자로, 당시 정국을 주도하던 노론계의 반대 입장에 서서 주자학을 비판하면서 독자적 견해를 주장했으며, 학풍과 사상 연구에서 벗어나 실사구시적 학문 태도를 강조했던 인물이다. 그의 대표 저작인 『사변록(思辨錄)』은 『대학』, 『중용』, 『논어』, 『맹자』, 『상서』, 『시경』을 주해한 책으로, 그중 그가 가장 주력한 것은 사서(四書)에 관한 주석이다. 특히, 『대학』과 『중용』에 역점을 두었는데, 박세당은 종래의 권위를 가지고 정통으로 여겨 오던 주자의 설을 비판하면서 동시에 독자적인 해석을 했다. 이에 따라 당시 정계와 학계에 큰 논란이 일어났고, 결국 그는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는 낙인이 찍히기도 했던 문제적 인물이었다.

서계 박세당에 관해서는 오래전부터 연구가 진행되었고, 그 성과들이 다양한 책으로 출간되어 왔다. 특히 실학에 대한 연구가 한국학의 중요한 자산으로 평가받으면서, 그 선구자로서 박세당의 업적이 조명되고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이 책은 서계 박세당의 주요 저작인 『사변록』에 대한 최신 연구 성과를 집성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학술계의 연구가 하나의 저작물인 『사변록』에 대한 전체적인 접근이었다면, 이 책에 담긴 논문들은 『사변록』에 수록된 개별 경전 관련 내용에 대한 연구 성과라는 데 큰 차이가 있다. 즉 『사변록』에 대한 연구가 좀 더 분화되어 점점 더 구체화되고 세밀해지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 책은 앞으로의 『사변록』 연구 과제에 대한 구체적인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Contents
책머리에 / 박용우

서론(緖論)
사문난적(斯文亂賊) 논란과 사서(四書)의 재해석: 박세당의 『사변록』과 김창협의 비판을 중심으로 / 김형찬

사서부(四書部)
『대학 사변록』에 대한 연구 / 이영호
『대학 사변록』에 대한 새로운 정의: 주자학(朱子學)으로써 주자주(朱子註)를 수정한 저술 / 강지은
『사변록』 저술 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 김태년
『대학 사변록』에 나타난 박세당의 ‘격물치지’ 해석과 주희 비판의 성격 / 한재훈
『대학 사변록』에 보이는 박세당의 ‘경세(經世)’ 지향 학문관 / 김용흠
『중용 사변록』의 이해와 학문적 특징 / 신창호
『논어 사변록』에 대한 일고(一考) / 김용재
박세당의 『논어』론: 『논어 사변록』을 중심으로 / 정일균
박세당의 학술 정신과 『맹자 사변록』 / 함영대

삼경부(三經部)
『상서 사변록』의 특징 / 이희재
『시경 사변록』 소고(小考) / 付星星

참고문헌
수록 논문 출처
Author
김형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