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손병담』은 위서 논쟁의 와중에 있는 『손무병법 82편』 일명 “장장본”에 숨겨진 코드를 풀려는 시도에서 쓰였다. 죽간에서 필사한 초본으로 전해진 손무병법 82편은 일명 장장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현재 중국 손자학회로부터는 추방된 위서이다.
문화 혁명의 마지막 물결이 휩쓸었던 1972년 4월 홍위병 난동의 와중에 산동 은작산에서 발견된 손자, 손빈 병법은 묘갱에 흩어진 죽간들을 순서도 없이 급하게 모은 것을 다시 순서를 맞춘것이다. 죽간의 배열이나 초기 예서?書에서 현대 전승 한자로 옮겨지는 과정의 실수나 착오가 넘쳐나고 있음을 이미 저자의 전작인 『죽간손자논변』에서 이야기를 한 바 있다. 저자는 위서 소송으로 얼룩진 중국 내의 양측 진영 어느 쪽도 가담하지 않는다. 다만, 서적의 진위를 떠나서 “문구”에 포함한 形, 勢, 理를 파악해서 독자와 공감하고자 이 책을 썼다.
손무병법 82편 속의 암호들/ 84
가. 글에 손무孫武라는 이름을 직접 사용한 점/ 84
나. 주오민周吳民, 吳나라인가? 나의 나라인가?/ 86
다. 〈손무병법 82편〉 집필 시기 분석과 손무의 생애 재조정/ 91
라. 손무는 어디에 있었나?/ 104
마. 전차 기동전이 가능한 지역은 어디였나?/ 141
바. 왕도王道와 패도覇道의 이해로 본 〈82편의 성립 시기〉/ 145
사. 82편과 13편 모두에 보이는 漢代 이후의 글자들/ 148
아. 깨우친 노예 민?과 그들의 글 예서?書/ 155
자. 개두문의 “孫子曰” 유무/ 159
차. 과연 처음부터 13편이었나?/ 161
吳나라, 사라진 해양 제국/ 166
가. 吳나라의 국제적 지위와 손자의 역활/ 166
나. 吳의 중심은 어디었나?/ 178
다. 가나 마타이 (가야와 야마타이)/ 208
라. 오왕광검吳王光劍, 중국 역사의 물화 현장/ 215
장장본과 은작산 죽간과의 관계로 나타난 손빈병법의 허구성/ 224
가. 사서에 언급된 손빈孫?/ 224
나. 손빈병법은 왜 전승되지 않았나?/ 227
다. 마릉 전투의 설계자, 다시 孫氏에서 田氏로/ 237
라. 13편에 보이는 손빈의 흔적들/ 245
〈좌전〉에 없는 영웅의 의미 / 256
가. 〈좌전〉의 성격/ 256
나. 섭적葉適의 손자 좌전무대론/ 257
다. 13편에 숨어있는 불편한 영웅들/ 262
라. 손성연의 고민, 〈좌전〉에 없는 손무는 유령인가?/ 274
부록/ 415
1. 〈손자병법〉 문서 가설도/ 416
2. 장장본 초본발문抄本跋文/ 417
3. 장씨가전수초본張氏家傳手抄本 원본 및 해석/ 420
4. 축간 과정 요소(3才와 5事)로 분류한 13편/ 578
5. 손자병법 演流/ 581
참고문헌과 World wide web/ 587
〈老孫兵談〉을 탈고하며/ 592
Author
이창선
1958년 서울생. 20여 년 군 생활 기간 국내외 대학과 교육기관에서 학문의 기쁨을 잃었다. 캘리포니아 빅베어 산에 들어가 동양 고전을 공부하며 학문의 기쁨을 얻었다. 《한국인 탈레반》(2004), 《물속의 섬》(2009), 《죽간손자논변》(2015), 《韓詩內傳》(2016) 등의 저서가 있다.
1958년 서울생. 20여 년 군 생활 기간 국내외 대학과 교육기관에서 학문의 기쁨을 잃었다. 캘리포니아 빅베어 산에 들어가 동양 고전을 공부하며 학문의 기쁨을 얻었다. 《한국인 탈레반》(2004), 《물속의 섬》(2009), 《죽간손자논변》(2015), 《韓詩內傳》(2016) 등의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