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손병담

손자병법의 형성 과정을 추적한 서사
$27.00
SKU
9791190631556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10/15
Pages/Weight/Size 152*225*32mm
ISBN 9791190631556
Categories 인문 > 동양철학
Description
장장본 위서 논쟁을 중심으로, 노자와 손자의 대화를 통해 손자 82편의 비밀코드를 풀다

『노손병담』은 위서 논쟁의 와중에 있는 『손무병법 82편』 일명 “장장본”에 숨겨진 코드를 풀려는 시도에서 쓰였다. 죽간에서 필사한 초본으로 전해진 손무병법 82편은 일명 장장본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현재 중국 손자학회로부터는 추방된 위서이다.

문화 혁명의 마지막 물결이 휩쓸었던 1972년 4월 홍위병 난동의 와중에 산동 은작산에서 발견된 손자, 손빈 병법은 묘갱에 흩어진 죽간들을 순서도 없이 급하게 모은 것을 다시 순서를 맞춘것이다. 죽간의 배열이나 초기 예서?書에서 현대 전승 한자로 옮겨지는 과정의 실수나 착오가 넘쳐나고 있음을 이미 저자의 전작인 『죽간손자논변』에서 이야기를 한 바 있다. 저자는 위서 소송으로 얼룩진 중국 내의 양측 진영 어느 쪽도 가담하지 않는다. 다만, 서적의 진위를 떠나서 “문구”에 포함한 形, 勢, 理를 파악해서 독자와 공감하고자 이 책을 썼다.
Contents
일러두기/ 8
들어가면서 / 14

1장. 〈손자병법 장장본 82편〉의 발견/ 21

발견과 전래 / 22
위서논란/ 24
장장본張藏本 속의 발견들/ 31
가. 한신비주韓信批註/ 31
나. 경림간景林簡의 정체/ 52
다. 제齊 안성간安城簡과 진궁秦宮 미오간??簡 / 59
축간縮簡 과정의 산책刪冊과 재조합/ 66
가. 13편은 82편을 축간한 것인가?/ 66
나. 공개된 장장본 82편의 편제 순서와 구신자九神者/ 70
다. 한신韓信의 병법 서차序次/ 73
라. 82편의 출몰/ 74

2장. 장장본으로 풀리는 〈손자병법〉의 비밀/ 83

손무병법 82편 속의 암호들/ 84
가. 글에 손무孫武라는 이름을 직접 사용한 점/ 84
나. 주오민周吳民, 吳나라인가? 나의 나라인가?/ 86
다. 〈손무병법 82편〉 집필 시기 분석과 손무의 생애 재조정/ 91
라. 손무는 어디에 있었나?/ 104
마. 전차 기동전이 가능한 지역은 어디였나?/ 141
바. 왕도王道와 패도覇道의 이해로 본 〈82편의 성립 시기〉/ 145
사. 82편과 13편 모두에 보이는 漢代 이후의 글자들/ 148
아. 깨우친 노예 민?과 그들의 글 예서?書/ 155
자. 개두문의 “孫子曰” 유무/ 159
차. 과연 처음부터 13편이었나?/ 161
吳나라, 사라진 해양 제국/ 166
가. 吳나라의 국제적 지위와 손자의 역활/ 166
나. 吳의 중심은 어디었나?/ 178
다. 가나 마타이 (가야와 야마타이)/ 208
라. 오왕광검吳王光劍, 중국 역사의 물화 현장/ 215
장장본과 은작산 죽간과의 관계로 나타난 손빈병법의 허구성/ 224
가. 사서에 언급된 손빈孫?/ 224
나. 손빈병법은 왜 전승되지 않았나?/ 227
다. 마릉 전투의 설계자, 다시 孫氏에서 田氏로/ 237
라. 13편에 보이는 손빈의 흔적들/ 245
〈좌전〉에 없는 영웅의 의미 / 256
가. 〈좌전〉의 성격/ 256
나. 섭적葉適의 손자 좌전무대론/ 257
다. 13편에 숨어있는 불편한 영웅들/ 262
라. 손성연의 고민, 〈좌전〉에 없는 손무는 유령인가?/ 274

3장. 도가와 병가의 하이브리드, 81편의 둔갑/ 285

立言(머릿말)에 숨겨진 비밀/ 286
가. 九神者/ 287
나. 노자와 손자의 초청 메타버스/ 289
가전家傳과 세전世傳의 분계分界/ 317
가. 잔도棧道의 싸움/ 317
나. 조조曹操와 장로張魯의 대화/ 326
대도大道와 잔도棧道에서의 행공行空/ 338
손은孫恩의 반란/ 349
가. 여산盧山에서 태호太湖까지/ 349
나. 손은孫恩의 반란/ 355
다. 위화존魏華存(서기 252~334)/ 381
전쟁 기록의 모음 〈도덕경〉/ 399

부록/ 415
1. 〈손자병법〉 문서 가설도/ 416
2. 장장본 초본발문抄本跋文/ 417
3. 장씨가전수초본張氏家傳手抄本 원본 및 해석/ 420
4. 축간 과정 요소(3才와 5事)로 분류한 13편/ 578
5. 손자병법 演流/ 581
참고문헌과 World wide web/ 587
〈老孫兵談〉을 탈고하며/ 592
Author
이창선
1958년 서울생. 20여 년 군 생활 기간 국내외 대학과 교육기관에서 학문의 기쁨을 잃었다. 캘리포니아 빅베어 산에 들어가 동양 고전을 공부하며 학문의 기쁨을 얻었다. 《한국인 탈레반》(2004), 《물속의 섬》(2009), 《죽간손자논변》(2015), 《韓詩內傳》(2016) 등의 저서가 있다.
1958년 서울생. 20여 년 군 생활 기간 국내외 대학과 교육기관에서 학문의 기쁨을 잃었다. 캘리포니아 빅베어 산에 들어가 동양 고전을 공부하며 학문의 기쁨을 얻었다. 《한국인 탈레반》(2004), 《물속의 섬》(2009), 《죽간손자논변》(2015), 《韓詩內傳》(2016) 등의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