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니키아 카르타고 이야기 (큰글자책)

전설로 사라진 역사, 그리스-로마 문명의 라이벌
$49.68
SKU
9791190498593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Mon 05/12 - Fri 05/16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Wed 05/7 - Fri 05/9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12/15
Pages/Weight/Size 210*290*30mm
ISBN 9791190498593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고대 지중해를 주름잡던 항해와 상업의 민족
페니키아-카르타고의 3천 년 역사
알파벳과 갤리선의 발명자들,
그들은 왜 역사에서 지워져버렸는가?

페니키아-카르타고의 역사를 국내 최초로 소개한 통사(通史). 그리스-로마 문명의 조연으로만 머물러 있던 페니키아인들의 사라진 문명을 오롯이 복원하여 흥미진진한 고대 지중해 세계의 한복판으로 독자들을 데려간다. 세계 최초의 항구도시 비블로스의 고고학 유적지에서 출발하여 카르타고의 비극적인 멸망까지 3천 년 역사가 생생한 필치로 펼쳐진다. 책의 전반부는 페니키아인들의 이야기다. 알파벳과 갤리선의 발명자인 페니키아인들이 백향목과 자줏빛 염료로 해양 제국을 일으키고, 아시아 대륙의 거대한 제국들과 상호작용하며, 새롭게 떠오르는 강자 그리스인들과 경쟁한 역사가 소개된다. 책의 후반부는 페니키아인들의 후손인 카르타고인들의 역사다. 오늘날 북아프리카 튀니지에 터전을 마련한 카르타고는 서지중해의 교역망과 패권을 장악했지만, 3차례에 걸친 포에니 전쟁 등 로마와 치열한 투쟁을 벌이다가 잿더미가 되어 사라져버렸다. 이 책은 고대 지중해 세계의 주요한 일원이었던 페니키아-카르타고인들의 이야기, 즉 그리스-로마 문명에 가려 숨겨져 있던 빛나는 반쪽을 복원함으로써 고대사의 새로운 세계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Contents
머리말

1장 페니키아의 탄생과 발전

페니키아, 역사의 무대에 다시 등장하다 | 세계 최고最古의 도시 비블로스
페니키아의 백향목 | 티레의 등장과 자주색 염료 그리고 역청
고대 오리엔트와 페니키아의 격변 | 국제 상업도시 우가리트
철기시대로의 격변

2장 페니키아의 황금시대

페니키아의 장자 시돈 | 페니키아 알파벳 | 티레와 이스라엘 왕국의 밀월
대항해시대와 교역 거점 건설 | 페니키아인이 만든 또 하나의 걸작
티레의 패권 장악과 번영 | 페니키아의 다양한 산업 | 멜카르트의 기둥
페니키아의 성공 이유

3장 제국 사이의 페니키아

초강대국 아시리아 시대의 페니키아 | 신바빌로니아 시대의 페니키아
페르시아 패권 아래서의 부흥

4장 그리스인과의 전쟁과 페니키아 본토의 쇠락

바다의 라이벌 | 페르시아 전쟁의 발단이 페니키아?
이오니아 봉기와 페니키아인 | 숙적 아테네의 부상
아테네의 해군 확장과 페니키아의 출정 | 아르테미시온 참사
살라미스 결전 전야 | 대패와 후유증 | 페니키아와 그리스의 계속되는 전쟁
티레 공방전 | 티레의 몰락과 카르타고의 부상

페니키아인의 이모저모

5장 카르타고의 탄생과 발전

카르타고의 건국신화 | 엘리사 전설의 진상 | 카르타고의 위치
카르타고의 대두 | 카르타고 ‘제국’의 형성 | 그리스인과의 투쟁
시칠리아를 둘러싼 지중해 민족들의 각축 | 말코스의 쿠데타
마고 왕조의 서지중해 패권 장악 | 로마와의 조약 체결
페르시아 전쟁 전야 | 1차 시칠리아 전쟁 | 동맹의 종말 | 농업대국 카르타고
한노의 대항해 | 히밀코의 항해 | 카르타고의 사하라 진출
2차 시칠리아 전쟁 | 3차 시칠리아 전쟁 | 카르타고와 그리스가 서로에게 미친 영향
휴전과 카르타고 공화국 | 4, 5차 시칠리아 전쟁과 디오니시우스의 죽음
20년의 평화와 티몰레온의 등장 | 6차 시칠리아 전쟁 | 카르타고의 두 번째 참패
7차 시칠리아 전쟁 | 시칠리아와 이탈리아의 전란 | 피로스 전쟁
카르타고의 마지막 시라쿠사 포위 | 카르타고-로마 동맹과 피로스의 몰락

6장 1차 포에니 전쟁 전야

정치제도 비교 | 군사력 비교 | 카르타고의 경제력

7장 1차 포에니 전쟁

어이없는 시작 | 아크라가스의 혈투 | 로마 해군의 탄생 | 밀라이 해전
넓어지는 전장 | 에크노무스 해전과 로마군의 아프리카 침공
바그라다스 전투와 대해난 사고 | 늪으로 빠져드는 두 강대국
코끼리부대의 궤멸 | 릴리바이움 공방전 | 드레파눔 해전
카르타고의 태만과 하밀카르의 등장 | 카르타고의 효웅, 하밀카르 바르카
전쟁의 승패를 가른 두 나라의 재정정책 | 로마 함대의 부활과 혁신
로마와 카르타고 함대의 재등장 | 아이가테스 해전과 강화조약
1차 포에니 전쟁 총평

8장 두 전쟁의 막간

용병 전쟁과 하밀카르의 와신상담 | 스페인의 바르카 가문
로마와의 조약과 한니발의 등장 | 한니발의 데뷔전

9장 2차 포에니 전쟁

사군툼 그리고 개전 | 대원정 준비 | 전설적인 대원정의 시작
알프스를 넘다 | 북이탈리아의 갈리아인 | 티키누스 전투 | 트레비아 전투
아르노 습지 횡단 | 트라시메노 전투 | 마케도니아의 접근
굼벵이 파비우스의 등장 | 칸나이 전투 | 한니발의 딜레마
원로원을 중심으로 뭉친 로마인 | 남부 이탈리아의 ‘지배자’ 한니발
시라쿠사와 사르데냐가 반로마 연합에 가세하다
한니발과 필리포스 5세의 동맹 | 캄파니아의 한니발 | 시라쿠사 함락
타렌툼 함락 | 한니발 대 로마 | 여전한 한니발의 위력
성문에 한니발이 있다 | 빛을 잃은 한니발 | 한니발과 마르켈루스의 용쟁호투
마르켈루스의 어이없는 전사 | 바르카 대 스키피오 | 스키피오의 등장
카르타헤나 함락 | 바이쿨라 전투 | 메타우루스 전투 | 일리파 전투
너무 젊은 집정관 | 스키피오의 아프리카 상륙 | 누미디아의 상실
한니발, 이탈리아를 떠나다! | 자마 전투

10장 마지막 번영

수페트 한니발 | 한니발의 망명 | 시리아의 대패
한니발의 2차 망명 | 스키피오의 재판과 죽음
한니발의 최후 | 카르타고는 멸망해야 한다!

11장 포에니의 바다가 사라지다

3차 포에니 전쟁의 배경 | 마지막 전쟁의 시작
결사항전에 나선 카르타고인들 | 카르타고의 구조와 방어
카르타고의 승리 | 마시니사와 카토의 죽음 | 소스키피오의 등장
궁지에 몰린 카르타고 | 생지옥으로 변한 카르타고
최후의 보루 비르사 언덕 | 뒷이야기

맺음말

페니키아-카르타고 연표
참고 문헌
찾아보기
Author
한종수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롯데관광과 한국토지공사(현 LH), 세종시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근무했다. 여의도청년회의소와 역사민주올레모임, 사마천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전쟁사를 비롯해 다양한 주제의 역사를 연구하며 집필과 답사, 강연에 전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대표작 『강남의 탄생』(2016)을 비롯하여 『2차대전의 마이너리그』(2015, 진중문고 선정), 『서서울에 가면 우리는』(2018, 세종도서 선정), 『구호기사단 천 년의 서사시』(2023), 『이스라엘 국방군 제7기갑여단사』(2023), 『미 해병대 이야기』(2021), 『라면의 재발견』(2021), 『제갈량과 한니발, 두 남자 이야기』(2013), 『세상을 만든 여행자들』(2010)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영락제』(2017), 『환관 이야기』(2015), 『제국은 어떻게 망가지는가』(2012) 등이 있다.
서울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롯데관광과 한국토지공사(현 LH), 세종시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근무했다. 여의도청년회의소와 역사민주올레모임, 사마천학회 등에서 활동하고 있다. 전쟁사를 비롯해 다양한 주제의 역사를 연구하며 집필과 답사, 강연에 전념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대표작 『강남의 탄생』(2016)을 비롯하여 『2차대전의 마이너리그』(2015, 진중문고 선정), 『서서울에 가면 우리는』(2018, 세종도서 선정), 『구호기사단 천 년의 서사시』(2023), 『이스라엘 국방군 제7기갑여단사』(2023), 『미 해병대 이야기』(2021), 『라면의 재발견』(2021), 『제갈량과 한니발, 두 남자 이야기』(2013), 『세상을 만든 여행자들』(2010) 등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영락제』(2017), 『환관 이야기』(2015), 『제국은 어떻게 망가지는가』(2012)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