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당전쟁

건곤일척의 승부
$19.44
SKU
9791190429320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Wed 05/14 - Tue 05/20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Fri 05/9 - Tue 05/13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3/09/06
Pages/Weight/Size 152*225*30mm
ISBN 9791190429320
Categories 역사
Description
신라의 선제공격으로 7년간의 전쟁이 시작되다!

670년(문무왕 10년) 3월, 2만 병력이 전격적으로 압록강을 건넜다. 목표는 오골성. 옛 고구려의 군사 요충지로 지금의 중국 랴오닝성 펑청이다. 요동, 즉 요하(랴오허) 동쪽은 신라가 건국된 이래 한 번도 밟아보지 못한 땅이었다. 신라의 설오유 장군과 고구려 부흥군의 고연무 장군이 각각 1만 명씩 거느리고 요동을 선제공격했다. 이 전격작전으로 나당전쟁이 시작되었다. 앞서 나당연합군이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멸망시킨 상황에서 당은 신라의 기습공격을 받게 되었다. 고구려 멸망 이후 동아시아의 패권을 장악했다고 믿고 있던 당에게 이는 큰 충격이었다. 약소국 신라는 왜 최강대국 당에게 덤벼들었을까?
Contents
책을 펴내며 4
프롤로그 12

1부 · 나당전쟁의 전개

1장 불타는 사비성과 평양성 21
2장 불만과 불신의 시대 31
3장 신라의 전쟁 준비 41
4장 신라의 선제공격 52
5장 고구려 부흥운동과 신라 62
6장 석성 전투와 웅진도독부 72
7장 신라 수군의 활동 83
8장 당군의 남하와 석문 전투 89
9장 신라의 총체적 위기 97
10장 신라의 방어 체계 강화 106
11장 나당 간 숨 고르기 112
12장 결전을 향해 120
13장 매소성 전투와 신라의 승리 130
14장 기벌포 전투와 당군의 철수 140
15장 전쟁의 종결과 전후 수습 149

2부 · 나당전쟁의 이해

1장 나당전쟁과 삼국통일전쟁을 어떻게 불러야 할까 161
2장 한반도 방기론과 종번론은 무엇일까 169
3장 나당전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177
4장 신라는 백제만 통합하려 하였을까 183
5장 나당전쟁 개전 시점을 어떻게 보아야 할까 189
6장 말갈병 참전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195
7장 번장과 객장의 의미는 무엇일까 201
8장 나당전쟁기 상처 치료는 어떻게 하였을까 206
9장 구진천이 제작한 노는 무엇이었을까 212
10장 신라는 전쟁 포로를 어떻게 활용하였을까 218
11장 문두루 비법은 실제 존재하였을까 224
12장 경주의 월지와 월성은 어떤 관계였을까 230
13장 매소성 전투를 둘러싼 문제는 무엇일까 236
14장 신라는 왜 전쟁 중에 인장을 배포하였을까 245
15장 기벌포 전투는 과연 허구일까 251
16장 나당전쟁기 당의 군사 전략은 무엇이었을까 257
17장 당의 군사 전략은 언제 토번 중심으로 변화하였을까 266
18장 신라의 군사 동원 능력은 어떠하였을까 273
19장 신라의 전략과 승리 요인은 무엇이었을까 280
20장 나당전쟁 승리의 의의는 무엇일까 288

에필로그 292
참고문헌 302
Author
이상훈,이정수
우리나라 고대 전쟁사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역사학자다. 현재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관생도에게 한국사와 군사사를 강의하고 있다.
학군ROTC 37기로 육군 제1사단에서 군 복무했고, 경북대학교에서 『나당전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가쿠슈인대학과 중국 베이징사범대학에서 수학했으며,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전임연구원과 영남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KBS, MBC, EBS, 국방TV 등 역사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한편 『아시아경제』 신문에 「이상훈의 한국유사」 전쟁사 칼럼을 6년간 연재했다. 현재 고대군사사연구회, 북악사학회, 한국고대학회, 한국군사사학회 등에서 임원으로 활동하면서 최근에는 군사사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2023 군사사 콘텐츠의 현재와 미래」를 기획하기도 했다.
개인 저서로 『나당전쟁 연구』(201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전략 전술의 한국사』(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신라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2016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전쟁 이후의 한국사』 (2018), 『신라의 통일전쟁』(2021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등이, 번역서로 『군인수지』(2020) 등이 있다.
우리나라 고대 전쟁사를 전문으로 연구하는 역사학자다. 현재 육군사관학교 군사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사관생도에게 한국사와 군사사를 강의하고 있다.
학군ROTC 37기로 육군 제1사단에서 군 복무했고, 경북대학교에서 『나당전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일본 가쿠슈인대학과 중국 베이징사범대학에서 수학했으며,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전임연구원과 영남문화연구원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KBS, MBC, EBS, 국방TV 등 역사 프로그램에 출연하는 한편 『아시아경제』 신문에 「이상훈의 한국유사」 전쟁사 칼럼을 6년간 연재했다. 현재 고대군사사연구회, 북악사학회, 한국고대학회, 한국군사사학회 등에서 임원으로 활동하면서 최근에는 군사사 콘텐츠에 관심을 가지고 「2023 군사사 콘텐츠의 현재와 미래」를 기획하기도 했다.
개인 저서로 『나당전쟁 연구』(2013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전략 전술의 한국사』(2015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신라는 어떻게 살아남았는가』(2016년 세종도서 교양부문), 『전쟁 이후의 한국사』 (2018), 『신라의 통일전쟁』(2021년 세종도서 학술부문) 등이, 번역서로 『군인수지』(2020)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