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우리를 어떻게 알까?』는 대승불교 초기의 대표적인 경전으로 대승불교의 인식론과 실천론의 기반을 놓았다고 평가받는 『섭대승론』을 오늘날의 독자들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풀어 쓴 책이다. 『대승기신론』과 『육조단경』 등을 우리말로 옮기고, 『중론』, 『금강경』, 『반야심경』 등에 대한 강의를 묶어 책으로 내는 등, 불교철학의 대중적 수용을 위해 애쓰고 있는 정화 스님은 이 책에서 아뢰야식, 의타기성, 변계소집성, 원성실성 등 난해한 불교유식론의 핵심 개념들을 알기 쉽게 설명하는 한편, 독자들로 하여금 부처님이 설하신 연기설을 바탕으로 생명계 전체가 하나의 수레(一乘)이자 큰 수레(大乘)임을 깨닫고 자리이타(自利利他: 자신과 남을 모두 이롭게 함)의 보살행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돕고 있다.
Contents
머리말
1장 _ 들어가는 말
1. 대승이 수승(殊勝)한 까닭
2. 마음활동의 근거와 양상
2장 _ 인식의 토대 아뢰야식: 기억정보
1. 아뢰야식에 대한 논거
1) 아뢰야식과 아타나식을 설명한 경론
2) 아뢰야식에 상당하는 이름들
2. 아뢰야식에 대한 논리적 근거
1) 아뢰야식에 대한 개념 정리
2) 청정한 인식과 오염된 인식의 토대
3) 종자의 특성과 종자화된다는 것
4) 아뢰야식은 선도 악도 아니다
3장 _ 인식의 활동양상
1. 인식현상의 세 가지 모습
1) 의타기상?:?인지시스템
2) 변계소집상?:?허망분별
3) 원성실상?:?집착 없는 앎
2. 알려진 것은 마음이 만든 이미지
1) 본다는 것
2) 인식된 것은 기억정보를 재구성한 환상
3) 인식주체도 실재하지 않음
3. 세 가지 마음현상에 대한 정리
4. 세 가지 마음현상의 같음과 다름(1)
5. 세 가지 마음현상의 같음과 다름(2)
6. 대승경론을 관통하는 가르침?:?세 가지 마음현상
1) 원성실성의 네 가지 특징
2) 경론의 이야기
3) 깨달음의 근거?:?지성과 불성
4) 기억정보에서 의식으로의 전환
5) 보살수행자가 성취한 서른두 가지 공덕
4장 _ 인식현상 알아차리기
1. 학습과 마음챙김
2. 깨달음을 이루는 마음상태
3. 연기적 자아를 깨달음
4. 집착 없는 마음 씀
5. 무분별상태를 경험함
6. 견도 직전의 수행 경험
1) 난위?:?순결택분
2) 정위
3) 인위
4) 세제일법
7. 도를 봄(見道)
1) 견도에서의 마음챙김
2) 논서의 이야기
5장 _ 육바라밀 수행
1. 유식관
2. 자리이타를 완성하는 수행
1) 육바라밀 수행이 수승한 까닭
2) 수행(因)과 성취된 공덕(果)의 관계
3) 육바라밀의 순서를 보시부터 정한 까닭
4) 육바라밀을 닦는 방법
5) 심상 만들기의 중요성
6) 바라밀 수행을 찬탄함
6장 _ 체화된 선정과 지혜의 강도 차이
1. 견도 이후의 지혜작용
2. 견도 이후의 열 단계 명칭
3. 각 단계의 특징을 다시 설명함
4. 각 단계에서 성취한 선정의 깊이와 지혜의 넓이
5. 마음챙김
1) 지관(止觀) 수행
2) 십바라밀 수행
6. 분별을 넘어서는 의식의 확장
7장 _ 계율, 선정, 지혜를 강도 높게 체화함
1. 계율을 체화함
2. 선정을 체화함
1) 선정의식이 수승한 까닭
2) 보살의 열 가지 원
3) 보살수행자의 깨달음이 깊은 까닭
4) 반어법으로 본 보살수행
5) 부처님의 가르침이 깊은 까닭
3. 지혜를 체화함
1) 무분별지의 특징
2) 법신보살의 의식현상
3) 무분별지의 종류
4) 경전의 이야기를 인용함
5) 보살의 지혜가 수승한 까닭
8장 _ 인식토대의 전환
1. 전환의 의미
2. 전의의 과정
3. 게송으로 정리
9장 _ 전환된 인식의 토대
1. 지혜가 체화된 세 가지 몸
2. 법신부처님에 대한 설명
1) 깨달음이 체화됨
2) 자리이타를 위한 지혜를 성취함
3) 지혜를 자재하게 씀
4) 법신을 의지처로 삼는 것들
5) 법신이 성취한 수행공덕
6)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한 법신
7) 법신과 상응하는 공덕
8) 깊고 깊은 수행공덕
9) 염불수행
10) 법신보살의 보살행
3. 법신보살의 회향
1) 하나 된 생명공동체
2) 중첩된 생명현상
3) 생사 속에서 열반을 삶
4) 수용신은 자성신이 아님
5) 변화신은 자성신이 아님
6) 빈 마음인 여래신
7) 공덕을 나누는 머묾 없는 변화신
8) 법신보살의 큰 울림
10장 _ 나가는 말
Author
무착 스님,정화
원래 이름은 아상가(Asanga)로 무착(無着)은 아상가의 한역이다. 동생인 세친(世親, 바수반두)과 함께 대승불교 초기의 대표적인 사상가이다. 처음에는 설일체유부에 출가했으나 후일 대승의 유가행에 힘썼으며, 아유차국에서 유가행의 스승이었던 마이트레야로부터 학설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식론을 체계화한 『섭대승론』(攝大乘論) 외에도 『육문교수습정론』(六門敎授習定論), 『순중론』(順中論),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毗達磨集論) 등을 저술했다.
원래 이름은 아상가(Asanga)로 무착(無着)은 아상가의 한역이다. 동생인 세친(世親, 바수반두)과 함께 대승불교 초기의 대표적인 사상가이다. 처음에는 설일체유부에 출가했으나 후일 대승의 유가행에 힘썼으며, 아유차국에서 유가행의 스승이었던 마이트레야로부터 학설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식론을 체계화한 『섭대승론』(攝大乘論) 외에도 『육문교수습정론』(六門敎授習定論), 『순중론』(順中論), 『현양성교론』(顯揚聖敎論), 『대승아비달마집론』(大乘阿毗達磨集論) 등을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