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꼭 한 번은 군주론

현대인을 위한 지혜, 고전으로 미래를 읽는다
$8.32
SKU
9791190312622
+ Wish
[Free shipping over $100]

Standard Shipping estimated by Fri 05/2 - Thu 05/8 (주문일로부 10-14 영업일)

Express Shipping estimated by Tue 04/29 - Thu 05/1 (주문일로부 7-9 영업일)

* 안내되는 배송 완료 예상일은 유통사/배송사의 상황에 따라 예고 없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Publication Date 2022/08/16
Pages/Weight/Size 145*210*15mm
ISBN 9791190312622
Categories 인문 > 서양철학
Description
탁월한 지도자의 조건
리더십, 처세, 인간본성에 관한 통찰
하버드, MIT, 옥스퍼드, 서울대 필독서!


이탈리아 외교관이자 정치가인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저술한 군주 지침서. 절대 권력과 목적 달성을 위해서 행해지는 무자비한 권모술수를 옹호하고 기존의 질서와 도덕을 거스른다는 이유로 금서로 지정됐으나, 수많은 이에게 영감을 불어넣고 현실 정치에 관한 교훈을 선사하여 시대를 초월한 고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세상사에 대한 깊은 통찰, 권력과 정치의 본질, 사람을 내 뜻대로 움직이는 법, 위기를 미리 차단하는 법,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변화하는 법 등 지금 우리 시대에 필요한 리더십과 처세, 인간본성에 관한 지혜를 얻어갈 수 있다.
Contents
헌정사 위대한 로렌초 데 메디치 전하께 올리는 글

제1장 군주국의 종류와 탄생 과정
제2장 세습 군주국의 성격
제3장 복합 군주국의 성격
제4장 다리우스 왕국은 왜 알렉산더 대왕이 죽은 후에
후계자들을 향한 반란을 일으키지 않았는가
제5장 자신들의 법에 따라서 살아온 도시나 군주국을 다스리는 방법
제6장 자신의 무력과 능력으로 얻은 새로운 군주국
제7장 타인의 무력과 호의로 얻은 새로운 군주국
제8장 사악한 방법으로 군주가 된 인물
제9장 시민들의 호의에 의해 군주가 된 인물
제10장 국력은 어떻게 측정되어야 하는가
제11장 교회형 군주국
제12장 용병의 쓸모
제13장 지원군, 혼합군, 자국군에 대하여
제14장 군사를 어떻게 조직해야 하는가
제15장 군주가 칭송받거나 비난받는 일들
제16장 관대함과 인색함
제17장 잔인함과 인자함, 사랑받는 것과 두려움의 대상이 되는 것
제18장 군주는 어떻게 약속을 지켜야 하는가
제19장 경멸과 미움은 어떻게 피해야 하는가
제20장 군주가 매일 하는 일은 과연 유용한가, 무용한가
제21장 명성을 얻기 위해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는가
제22장 군주는 인물 선택에 신중해야 한다
제23장 아첨꾼을 어떻게 피할 것인가
제24장 이탈리아 군주들은 왜 나라를 잃게 되었는가
제25장 운명은 인간사에 얼마나 많은 힘을 행사하는가,
그리고 인간은 어떻게 운명에 대처해야 하는가
제26장 야만인들의 지배로부터 이탈리아를 해방시키기 위한 권고
Author
니콜로 마키아벨리,최윤아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이자 탁월한 정치이론가. 이탈리아(피렌체)의 관료이자 외교관이자 군사 전략가였으나, 말년의 저술로 정치사상가의 반열에 오른 마키아벨리는 피렌체에서 몰락한 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기록은 많지 않은데, 변변치 않은 교육 환경에서 홀로 역사와 정치에 관한 공부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청년 시절에는 말직으로 근무하다가 서른 살이 되어서야 80인회의 사무국의 서기에 임명되었고, 능력을 인정받았는지 곧 10인군사위원회의 사무국장과 서기를 맡았다.

1492년 피렌체가 ‘위대한 로렌초(로렌초 일 마니피코)’의 사망으로 통치력 부재 상황을 맞았을 때, 마키아벨리는 공화국의 외교관으로서 국운이 풍전등화인 피렌체를 살려내려고 강대국 사이를 필사적으로 오갔고, 국제 정치의 민낯을 낱낱이 목격하며 ‘강한 군대, 강한 군주’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교황청에 사절로 파견갔다가 만난 발렌티노 공작(체사레 보르자)에게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해줄 강력한 신생군주의 역할을 기대했지만 체사레는 맥없이 병사해버렸다. 마키아벨리는 시민군 양성을 추진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기울였지만 메디치 가문이 군주로 돌아오자 공화국의 일꾼이었던 죄로 감옥에 갇혔다. 이후 특별사면을 받고 나와서 새 군주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필요한 경우에는 비도덕적인 수단도 행사해서 평화를 지키는 강력한 지도자가 되어라’는 조언을 담은 『군주론』을 썼다.

1506년에 피렌체 시민군의 조직을 계획하여 이듬해 9인위원회의 서기장이 되어 피렌체의 정복 전쟁에서 군대를 양성하는 책임을 맡았다. 1512년에 공직을 떠난 그는 산 카스치아노 근처의 저택에서 집필하며 루첼라이 가문의 소유인 오르티 오리첼라리 정원에서 여러 문인을 만났다. 이때 그는 메디치가의 요청을 받아 주로 통치론에 관한 글을 써 권력자들에게 헌정했다. 그러나 그는 불우한 말년을 보내다 1527년에 사망했다.

대표 저서로는 『군주론』을 포함하여 『카스트루치오 카스트라카니의 생애』, 『결혼한 악마 벨파고르』, 『리비우스 역사 논고』, 『만드라골라』, 『우리나라의 언어에 관한 연구 또는 대화』, 『이탈리아 10년사: 1494~1504』, 『전술론』, 『카피톨리』, 『클리치아』, 『트리시노』, 『프랑스 사정기事情記』, 『피렌체 정부 개혁론』, 『피렌체사』, 『황금 나귀』, 『후회에 대한 권고』 등이 있다.
르네상스 시대 피렌체 공화국의 외교관이자 탁월한 정치이론가. 이탈리아(피렌체)의 관료이자 외교관이자 군사 전략가였으나, 말년의 저술로 정치사상가의 반열에 오른 마키아벨리는 피렌체에서 몰락한 귀족의 아들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의 기록은 많지 않은데, 변변치 않은 교육 환경에서 홀로 역사와 정치에 관한 공부를 시작한 것으로 보인다. 청년 시절에는 말직으로 근무하다가 서른 살이 되어서야 80인회의 사무국의 서기에 임명되었고, 능력을 인정받았는지 곧 10인군사위원회의 사무국장과 서기를 맡았다.

1492년 피렌체가 ‘위대한 로렌초(로렌초 일 마니피코)’의 사망으로 통치력 부재 상황을 맞았을 때, 마키아벨리는 공화국의 외교관으로서 국운이 풍전등화인 피렌체를 살려내려고 강대국 사이를 필사적으로 오갔고, 국제 정치의 민낯을 낱낱이 목격하며 ‘강한 군대, 강한 군주’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교황청에 사절로 파견갔다가 만난 발렌티노 공작(체사레 보르자)에게 이탈리아 반도를 통일해줄 강력한 신생군주의 역할을 기대했지만 체사레는 맥없이 병사해버렸다. 마키아벨리는 시민군 양성을 추진하는 등 나름의 노력을 기울였지만 메디치 가문이 군주로 돌아오자 공화국의 일꾼이었던 죄로 감옥에 갇혔다. 이후 특별사면을 받고 나와서 새 군주 로렌초 데 메디치에게 ‘필요한 경우에는 비도덕적인 수단도 행사해서 평화를 지키는 강력한 지도자가 되어라’는 조언을 담은 『군주론』을 썼다.

1506년에 피렌체 시민군의 조직을 계획하여 이듬해 9인위원회의 서기장이 되어 피렌체의 정복 전쟁에서 군대를 양성하는 책임을 맡았다. 1512년에 공직을 떠난 그는 산 카스치아노 근처의 저택에서 집필하며 루첼라이 가문의 소유인 오르티 오리첼라리 정원에서 여러 문인을 만났다. 이때 그는 메디치가의 요청을 받아 주로 통치론에 관한 글을 써 권력자들에게 헌정했다. 그러나 그는 불우한 말년을 보내다 1527년에 사망했다.

대표 저서로는 『군주론』을 포함하여 『카스트루치오 카스트라카니의 생애』, 『결혼한 악마 벨파고르』, 『리비우스 역사 논고』, 『만드라골라』, 『우리나라의 언어에 관한 연구 또는 대화』, 『이탈리아 10년사: 1494~1504』, 『전술론』, 『카피톨리』, 『클리치아』, 『트리시노』, 『프랑스 사정기事情記』, 『피렌체 정부 개혁론』, 『피렌체사』, 『황금 나귀』, 『후회에 대한 권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