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은 중국의 사회변혁의 실제를 계급분석이라는 새로운 이론적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대규모 사회조사에 의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현대중국 사회계급의 계층구조·성격·상호 간의 영향에 대해 고찰했고, 중국사회의 다양한 분야에 존재하는 불평등의 현황 및 발전 변화하는 추세를 분석했다.
현재 총서(叢書)형식의 출판물이 적지 않고, 사회학 총서도 몇 개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인민대학출판사(中國人民大學出版社)의 위탁을 받아 사회학 총서 출판을 책임지게 되면서 본인은 스스로에게 “단순히 양적으로 총서 하나를 추가할 것인가? 아니면 질적으로 자신의 특징을 갖는 총서를 만드는데 노력할 것인가?” 하는 의문을 던졌다. 이것이 바로 이 총서가 직면해야 할 핵심 문제였다. 생각 끝에 이 총서는 적어도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측면과 관련되어야 한다고 결정하게 되었다.
Contents
서론 사회계층화 연구 및 연구 패러다임의 변화
제1장 현대 사회학에서의 계급분석: 이론적 시각과 분석 패러다임
제1절 계급은 사회학의 유일한 독립변수인가?
제2절 계급분석의 대상: 거시적 대상과 미시적 대상
제3절 분석의 틀: 집단행동자와 생활조건 종합적 신호
제4절 계급분석 중의 다양한 해석논리
제5절 소결론 및 토론
제2장 ‘경제적 결정’에서 ‘권위적 지배’로: 계급분석의 이론적 전향
제1절 경험적 배경과 이론적 곤경
제2절 수도동귀(殊途同歸)의 전향 경로: ‘경제적 결정’에서 ‘권위적 지배’로
제3절 ‘조직’의 소환: 노동력시장 이론의 부흥과 시사점
제4절 소결론 및 토론
제3장 권위관계의 분화와 계급에 대한 정의
제1절 권위 관련 연구 중에 존재하는 문제
제2절 권위의 계급도식 구축의 이론적 원칙
제3절 조직에서의 권위분화와 피고용자 집단의 계급적 위치
제4절 J.GoldthorpeㆍErik Olin Wright 계급도식과의 연관성
제5절 기타 의제
제4장 권위계급체계의 구인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 검사
제1절 권위계급체계 구축의 경험적 조작화
제2절 준거관련 타당도 검사
제5장 권위계급체계의 구인타당도 검사
제1절 계급과 사회경제상황
제2절 계급과 고용상황
제3절 계급과 주관적 평가 및 인지
제4절 계급과 생황방식
제5절 소결론 및 토론
제6장 권위계급체계의 가치와 의의
제1절 이론적 가치와 의의
제2절 권위계급체계의 특징
제3절 존재하는 문제
제7장 ‘특이한 부류’: 현대중국 성진(省鎭) 중산계급에 대한 유형적 분석
제1절 이론적 배경
제2절 두 부류의 중산층: 이론과 연구의 가설
제3절 현대중국 중산층 유형화에 대한 실증적 분석
제4절 소결론
제8장 중산층 사회 ? 정치적 기능에 대한 다차원적 분석의 틀
제1절 중산층의 사회적 기능
제2절 중산층의 기본 성격
제3절 사회 환경적 변수와 중산층의 사회적 기능의 다차원적 모형
제4절 구체적인 영향 변수
제5절 현대 중국사회 중산층의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제9장 현대중국 중산층의 사회적 존재: 계층인식과 정치의식
제1절 분석의 틀ㆍ분석 방법과 데이터에 기초한 해석
제2절 계층인식
제3절 정치의식과 정치참여
제4절 이익분배
제5절 소결론 및 토론
제10장 현대중국 중산층의 사회적 존재: 사회ㆍ생활상황
제1절 분석 방법ㆍ분석의 틀과 데이터에 기초한 해석
제2절 사회ㆍ생활에서의 중산층
제3절 소결론 및 토론
제11장 “공평하지 못함을 불만스러워 하고 공정하지 못함을 더욱 불만스러워 한다.”
- 전환기의 ‘공평감’과 ‘갈등감’ -
제1절 소득 불평등: “공평하지 못함을 불만스러워 하고 공정하지 못함을 더욱 불만스러워
한다.“
제2절 사회갈등인식: 상황과 추세
제3절 양자의 관련성: 분배의 불공평이 갈등을 유발시킬 수 있나?
제4절 소결론 및 토론
제12장 분배에 대한 공평관(公平觀): 국제 비교의 시각
제1절 소득격차에 대한 인식
제2절 사회 불평등의 요인
제3절 분배에 대한 공평관
제4절 결론 : 사회구조의 계층화와 이익관계의 시장화 - 사회 관리에서 직면하게 된 중국의 새로운 도전 -
결론에 대신하여: 사회구조의 계층화와 이익관계의 시장화 - 중국사회의 관리에서 직면하게 된 중국의 새로운 도전 -
참고문헌
Author
리루루,친광창,박연옥
사회학 박사로 중국인민대학 사회와 인구대학(社會與人口學院) 교수로 재직 중이며, 박사과정 지도교수이다. 중국인민대학 중국 조사와 데이터센터(中國調?與數據中心) 부주임을 맡고 있다. 교육부 ‘창장학자(長江學者)’ 특채 교수로 ‘국무원 정부특수수당(國務院政府特殊津貼)’ 대상자이며, 중국사회학회 부회장, 교육부 고등학교사회학교육지도위원회(高等學校社會學類專業?學指導委員會主任委員) 주임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구조와 사회계층화, 단위제도와 조직, 사회의 변천과 사회의 현대화이다.
사회학 박사로 중국인민대학 사회와 인구대학(社會與人口學院) 교수로 재직 중이며, 박사과정 지도교수이다. 중국인민대학 중국 조사와 데이터센터(中國調?與數據中心) 부주임을 맡고 있다. 교육부 ‘창장학자(長江學者)’ 특채 교수로 ‘국무원 정부특수수당(國務院政府特殊津貼)’ 대상자이며, 중국사회학회 부회장, 교육부 고등학교사회학교육지도위원회(高等學校社會學類專業?學指導委員會主任委員) 주임위원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사회구조와 사회계층화, 단위제도와 조직, 사회의 변천과 사회의 현대화이다.